철학의 필요성과 윤리학의 주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학의 필요성과 윤리학의 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철학이 한국 학생들에게 필요한 이유
1. 서론
2. 본론
1) 들어가는 말
2) 말과 철학 그리고 말의 중요성
3) 말과 논리의 교육
4) 맺는 말
3. 결론

윤리학의 주제 : 도덕과 선한 삶
1. 서론
2. 본론
1)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2) 선한/좋은/훌륭한 삶(Good Life)
3. 결론

본문내용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삶의 다른 목표나 야망으로 얼룩져 있을 때가 아니라 모든 다른 목표가 그것 밑으로 종속되어서 그것만이 순전히 삶의 목표가 되었을 때를 말하는 것이다. 즉, 진정으로 종교적인 사람은 자신이 믿고 있는 종교가 그 밖의 모든 것에 스며들어서, 종교적 행위가 그의 삶에서 최우선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종교적 삶은 종종 선한 삶에 대한 다른 개념들과 갈등을 일으킨다.
여태까지 살펴본 훌륭한 삶에 대한 개념들은 모두가 특유한 것들이며, 각각의 것들은 우리가 바라는 여러 것들 중에 하나의 것만 목표로 한다. 쾌락주의는 인생의 쾌락만을, 금욕주의는 살아감에 있어 금욕만을, 성공은 행복과 우정 같은 것들을 모두 배제한 오로지 성공만을 주장하듯이 매우 일방적이라고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쾌락을 즐기면서 성공하면 좋지 않을까? 종교적 신앙이 약화되지 않고 세속 세계의 복을 즐길 수 있다면 더 좋지 않을까? 이렇듯 훌륭한 삶이란 어떤 하나의 목표가 많은 사람들에게 아무리 숭고해 보여도 단지 그 목표 하나만을 갖는 것이 아니라, 더 포괄적인 목표를 갖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7) 행복
아리스토텔레스는 훌륭한 삶에 대한 여러 일방적 개념들 중에 쾌락과 성공(정치적인 성공)을 검토 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두 가지 개념을 갖지 않고서는 행복한 삶을 살 수 없다고 했다. 그렇다고 해서 이 두 가지 개념이 옳다는 것은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두 가지 개념이 훌륭한 삶의 필요조건이지, 훌륭한 삶 그 자체는 될 수 없다고 거부하였다. 그러고 나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들 대부분이 동의하는 유일한 개념인 ‘행복’이란 개념을 택했고, 행복은 선한(훌륭한) 삶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서 행복을 원하는 것이지, 훌륭한 삶을 살기 위해서 행복을 원하는 것은 아니라고 규정지었다. 결국은 행복이란 인생의 목적이지, 다른 것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이란 개념은, 오늘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안녕 혹은 복지(Well-being)라는 의미가 아니라, 모든 덕목들과 행운 그리고 그것을 감상할 수 있는 철학적 지혜를 통합하는 삶을 의미했다. 또한 행복은 훌륭한 삶의 모든 부분이 균형을 이룬 전체적으로 훌륭한 삶을 말한다. 결국에는 앞에서 다루었던 훌륭한 삶을 지향하는 다른 여러 일방적인 개념들과는 다르게, 전체적이고 포괄적이고 조화로운 것이었다.
우리는 가끔 이런 말들을 한다. ‘그래도 고등학교 때는 행복했었는데’ 이런 말들은 틀린 말은 아니다 왜냐하면 고등학교 때 친한 친구들과 즐거운 일이 많았는데, 대학에 진학하면서 그런 일들이 없어져 좋지 않을 때는 그렇게 표현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행복은 순간의 시간이 아닌, 그 사람의 전체 삶에 기초해서, 즉 일생 동안의 훌륭한 삶을 말하는 것이다. 심지어 그는 죽고 나서 불행해질 수도 있다고 암시적으로 말한 적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죽고 나서 그 자식이 가문을 불명예스럽게 한다면 그는 불행하다고 말할 수 있다는 것처럼 말이다. 우리가 알고 있고, 느끼는 행복은 내적인 것이기에, 다른 사람이 뭐라고 생각하든 자신에게 주어진 것에 만족해한다면 그를 행복하다고 믿을 수 있으며, 그가 매우 불행하다고 다른 사람들이 생각해도 그는 행복하다고 믿을 수 있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가 살았던 시대에서의 행복 즉 훌륭한 삶이란 공적이고 사회적이며 객관적인 것으로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이렇듯 행복의 이상은 여전히 많은 질문의 여지가 있다. 내적인 행복과 외적인 훌륭한 삶의 대립, 이것은 아직도 많은 질문을 안고 있다.
3. 결론
우리가 여태까지 살펴본 훌륭한 삶의 개념으로서 쾌락, 성공, 금욕주의, 자유, 권력, 창조력, 종교, 행복 중 어떤 것은 누구나 다 얻을 수 있지만, 다른 것들은 단지 행운이 있는 소수에게만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모든 개념들은 한결같이 각각의 개념으로서 설명할 때 모자란 듯 한 느낌을 받게 되며, 이러한 개념들은 모두 자기중심적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우리의 역할은 이러한 개념들을 무작정 따르기 보다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윤리적 탐구를 통한 검토와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좀 더 나은 답을 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 우리가 윤리학을 하는 이유이고, 진정으로 선한 삶에 한 걸음 더 다가가기 위한 방법일 테니 말이다.

키워드

철학,   윤리학,   선한 삶,   대화,   논리,   주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6.05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95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