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지 만들어 버린다. 그리고 이런 관점이 오랜 시간동안 신화 속에서 인류의 사고과정을 지배해왔다. 또 현재에도 이런 신화들의 관점은 무의식속에 우리의 사고에 절대적인 역할을 행사한다. 나는 완전한 양성평등을 이룩하고 더 나아가 그 인류의 평등에 바탕을 둔 진정한 의미의 인류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라면 신화에 대한 적극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대부분의 행동이나 사고를 무의식적으로 당연하다고 생각하는데, 그런 행동이나 사고가 위에서 보았듯이 종종 부당하고 이상한 것인 때가 많기 때문이다. 물론 오랜 시간을 걸쳐 형성된 문화와 오래전부터 이어져 오던 신화를 한순간에 바꿔버릴 수는 없다. 하지만 온고지신의 자세로 우리의 고정관념이나 가치관을 바꿔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단군 설화
고조선사에 대한 인식변천-단군과 기자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단군 조선에 대한 고찰
삼국유사 번역본에 실려 있는 건국신화를 하나 골라 내용을 읽은 다음, 현대인이 교훈으로 삼...
단군조선에대해
[한국구비문학론]한국의 신화 분석
단군사상과 민족통일
[백제][백제시대]백제(백제시대)의 신화, 백제(백제시대)의 왕위계승, 백제(백제시대)의 복식...
신시 * 단군조선사 연구 (한국문화사)
[책요약] 고대 메소포타미아에 새겨진 한국신화의 비밀
우리 나라의 건국 신화
[한민족학] 시조신화에서 나타난 천손설화와 난생설화의 특징과 대표적인 국가들의 시조설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