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어떤 나라에 비해서도 ‘경제적 합리성’을 중요시하는 데 있어서 빠지지 않을 우리나라는 이러한 운동이 조금 늦게 들어오긴 했지만 올해 초부터 시작된 시민단체들의 활동을 통해 현재는 대형 마트에서도 페어트레이드 제품을 볼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 세계적으로 페어트레이드 운동을 통한 거래는 전체 무역량의 약 1% 정도에 그치고 있지만, 그 1%를 통해 제 3세계의 많은 생산자들이 지금까지와는 다른 삶을 누리고 있다. 지금까지보다 조금 높은 가격을 지불하더라도, 그것을 통해 생산자들이 정당한 대가를 받고 불평등이 해소될 수 있다면, 그렇게 진정한 세계화가 되어 지구촌이 하나가 될 수 있다면 이보다 더 합리적인 일이 있을까. 1%는 결코 적은 숫자가 아니다. 변화를 이끌어 내는 새로운 합리성의 시작인 것이다.
추천자료
포스트모더니즘과 여가
교사는 지성인이다.-요약하기
프랑크푸르트 학파
Maw Weber의 리더쉽 이론
한국사회 부정부패와 학력주의 및 학력경쟁의 도덕성회복 과제
합리적 개인과 비합리적 한국사회의 거시적 구조
포스트모더니즘과 여가
모럴 헤저드의 극복 - 유교자본주의의 부활
자본주의에 대한 맑스와 베버의 대립에 대한 모든것(완벽분석)
하버마스 의사소통행위이론 '목적합리적 행위'와 '의사소통적 행위'의 비교
법전문직의 성격과 역사 및 법학교육과 법률가 양성
학교경영의 정의와 원리
막스와 베버의 사회
프로테스탄트 윤리 자본주의 정신- 자본주의의 발전 흐름,세속적 금욕주의의 종교적 토대,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