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새 나라 조선이 서다
2. 유교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3. 훈민정음을 만들다
2. 유교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3. 훈민정음을 만들다
본문내용
때문일 것이다. 민을 나라의 근본으로 삼는 정치를 민본 정치라 한다. 그리고 오늘 우리는 민본 정치가 가장 잘 실천된 시기를 세종 때로 기억한다.
세종은 민을 가르치기 위한 문자를 만들어 용비어천가란 노래를 짓는 데 가장 먼저 쓰였다. '임금에게 충성하는 민 만들기', 그것이야말로 새 문자를 만드는데 온 정열을 다 바치게 한 이유였다. 그래서 붙여진 이름이 '민을 가르치기 위한 문자'라는 뜻의 훈민정음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새 문자를 갖게 된 민들은 통치자들의 뜻대로만 이 문자를 쓰지는 않았다. 관리들이 잘못을 저질렀을 때, 심지어 왕이 잘못을 저질렀을 때에도 그것을 비판하는 글을 새 문자로 적어 도성 곳곳에 붙였다. 새 문자는 이제 저항의 무기가 될 수도 있었다.
참고문헌: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세종은 민을 가르치기 위한 문자를 만들어 용비어천가란 노래를 짓는 데 가장 먼저 쓰였다. '임금에게 충성하는 민 만들기', 그것이야말로 새 문자를 만드는데 온 정열을 다 바치게 한 이유였다. 그래서 붙여진 이름이 '민을 가르치기 위한 문자'라는 뜻의 훈민정음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새 문자를 갖게 된 민들은 통치자들의 뜻대로만 이 문자를 쓰지는 않았다. 관리들이 잘못을 저질렀을 때, 심지어 왕이 잘못을 저질렀을 때에도 그것을 비판하는 글을 새 문자로 적어 도성 곳곳에 붙였다. 새 문자는 이제 저항의 무기가 될 수도 있었다.
참고문헌: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키워드
추천자료
역사란 무엇인가-한국사
일본 역사교과서에 기재된 한국 역사 왜곡에 관한 연구
감정이입을 통한 역사교육의 이해
7차 역사 교과서 분석(국사, 세계사, 한국 근현대사,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신학에 있어 철학적 역사의 의미와 한국기독교 역사인식의 반성적 성찰
감정이입적 역사 이해
한국고대사의 역사속인물되기
한국자본주의의 역사(한국현대사레포트)
영국사회복지의 역사와 한국사회복지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영국 사회복지의 역사
[사회복지 개론]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의 시초 및 한국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
[문화인류학과 한국사회의 역사] 여성의 역사
[문화인류학과 한국사회의 역사] 역사서술의 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 - 의례, 계급, 공동체 -
[공연예술의 이해와 감상] 공연예술의 대중화를 선도하는 현대적인 공연예술인 뮤지컬의 역사...
한국의 가족역사에 대해 논하고, 급변해가는 가족구도에 대한 부정적인 면에서의 대응방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