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스미스의 국부론 그리고 철학과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스코틀랜드의 계몽주의
1.1 계몽주의?
1.2 스코틀랜드의 계몽주의

II. 아담 스미스의 생애

III. 아담 스미스의 철학과 이론
3.1 도덕
3.2 법률
3.3 가치이론
3.4 분배이론
3.5 화폐론
3.6 분업론
3.7 생산적 노동
3.8 저축, 투자, 자본 및 조세

IV. 나의 생각

본문내용

생각했다.
3.8 저축, 투자, 자본 및 조세
스미스는 절약과 저축을 강조하면서 중상주의와 유사성을 두었다. 이는 소비나 지출을 강조했던 아리스토텔레스 등과는 구분된다. 또한, 투자에 대해서는 고용증대효과에 따라 그 효과가 큰 투자가 생산적이라고 규정했고, 자본에 대해서는 유동자본과, 고정자본의 구분을 보다 명확히 했다. 조세에 대해서는 공평성, 확실성, 지불의 편의, 그리고 징수비용 최소화 등 과세원칙을 제시했으며, 조세의 전가를 논의했다.
4. 나의 생각
아담 스미스는 경제학의 아버지이다. 나 또한 한 사람의 경제학자로서 스미스의 업적과 문헌을 살피며 감탄을 금치 못 한다. 국부론을 통한 위대한 업적의 배경에는 스코틀랜드가 존재한다. 물질적인 풍요와, 사상적인 안정이 모두 필요한 지리적, 경제적 여건 속에서 아담스미스는 연구를 해 왔고 《도덕감정론》에서《국부론》에 이르기까지의 여정을 거치게 된다. 어떻게 보면 수많은 이론을 보기 좋게 짜 맞춘 것 같은 느낌도 들지만, 그것 자체가 놀라운 시도였고 확실한 수확이었다. 하지만 그는 프리드리히 리스트(1789-1846)의 말처럼 국민주의 경제학이라는 모순을 남겼다. 그는 '보이지 않는 손'을 주장하며 정부의 축소를 주장하는데 이를 국제 무역에까지 적용시키길 원했다. 하지만 이것은 나라별로 성장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위험한 발상임에 분명하다. 특히 이 시대에는 독일의 성장속도가 늦었으므로 영국에 우수한 물건과 경쟁하게 되면 독일의 시장은 붕괴되고 말 것이다. 결국 아담스미스가 주장하던 이타심이나 동정과는 거리가 멀게 된다. 물질적 풍요가 국가에 해가 된다고 말 했던 그는 국부론을 통해 국가가 최대한 풍요를 느릴 수 있는 방법을 서술하는 아이러니를 보인다.
그는 조국을 사랑하는 사람이었던 것 같다. 평생을 독신으로 연구에만 매달렸던 그가 자신의 아이러니를 몰랐을까? 스코틀랜드를 대표하는 학자로 우뚝 선 그에게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을지도 모른다. 죽기 직전에 태워 버렸다는 그의 국부론 이후의 연구 자료가 매우 안타깝다.
참고문헌
피터게이(주명철 옮김), 계몽주의의 기원 (The)enlightenment : An interpretation, 민음사, 1998
김수행, 영국 보수주의의 경제적 귀결, 『이론』, 13집, 1995.
홍훈, 경제학의 역사, 박영사, 2007
서기원외 , 경제학설사, 문영사, 2000
네이버 학문 공유 카페 '가우리 공동체''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6.18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