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스러운 국제 협정은 없을 것이고, 외교는 항상 솔직하고 일반이 보는데서 이루어질 것이다.
- 제 생각에 이 조항은 다른나라 몰래 특정동맹국들간의 긴밀한 군사 협력이나,
외교장벽을 없애고자 한 조항 같습니다. 물론 그때 당시 세계 대전을 쟁점으로 하여 이러한 조항을 발표하였겠지만, 이 조항은 현대에도 계속 맞아떨어지는 조항입니다.
현재의 북한의 핵문제처럼 말이죠.
요즈음 기사를 보니 시리아와 북한이 핵을 가지고 거래를 했다는 기사가 돌더군요.
아마 이러한 비밀스러운 외교, 협정이 다른 국가를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항은 현대에도 꼭 필요하다고 봅니다. 물론 얼마나 지켜질지는 국가의 양심에 맡기는 수 밖에 없겠지요.
2. 국제 협약을 시행하기 위한 국제적 조처에 의해 공해의 전부 혹은 일부가 폐쇄되어질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평화시나 전시를 막론한 영해 밖의 공해상에서의 항해의 절대적 자유.
- 이것 역시 세계대전에서 서로간의 작은 불씨하나가 큰 전쟁으로 발발할 것을 막는
평화를 위한 조항입니다. 이 역시 세계대전을 놓고 제정한 조항이지만, 현대의 글로벌화 되는 세계를 바라 보았을 때는 이것 역시 절대 빠져서는 안되는 조항입니다.
공해란 서로가 공유하는 바다영역을 말하는데, 이를 서로 다르게 측정하여 서로가 서로를 잡아먹을려고 안달한다면. 해군은 항상 전시태세를 갖추어야하고, 이 역시 작은 불씨하나가 큰 외교적 쟁점으로 떠올라 나라간의 평화가 틀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3. 평화에 동의하고 그 유지에 관여하는 모든 국가들 간의 가능한 한 모든 경제적 장벽의 제거와 대등한 통상 조건의 확립.
- 이 조항이 생길 당시. 제국주의 국가들은 서로가 식민지 개척하기에 바빴던 것 같습니다. 그리하여 약소국은 항상 열강들의 침략에 아무소리 못하고, 시장을 개방했고, 나름 중립국이었던 미국은 어느 한 국가가 더 이상 거대해져 힘이 강해지기를 반대했던 것 같습니다. 그리하여 이 조항은 약소국을 보호한다는 명분하에 내세워졌을 뿐. 제국주의 국가들을 견제하기 위한 조항인 듯 합니다.
14. 강대국과 약소국 모두의 정치적 독립과 영토보전을 상호간에 보장하기 위해 국가들 간의 하나의 일반적인 연합체계가 특별한 협약 하에 형성되어야 한다
- 이것은 국제조직 및 국제 연맹을 창설하자는 것입니다. 어느 특정한 국가가 반란? 즉. 세계정복의 야욕을 품고, 세계대전 같은 물의를 일으킬 경우 그 국가를 저지하기위해 힘을 합친다거나, 혹은 세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각각 개별적인 노력보다는 서로간에 힘을 합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생각하에 나온 조항인것 같습니다.
사실상 제 생각은 미국이 참전하게 되자 그에 대한 변명(?)거리를 만들어 미국이 참전하는 이유가 평화유지를 위한 행위라는 것을 알리기 위한 선전용 연설이라는데 뜻을 같이하고 있습니다만, 이 14개 조항이 발표된 이후 많은 약소국들이 독립 할 수 있었고, 자유 민주주의가 확산되었고, 또한 국제연맹을 창설, 세계 평화에 힘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는 것에 대해서는 상당히 높이 평가할 만한 조항입니다.
- 제 생각에 이 조항은 다른나라 몰래 특정동맹국들간의 긴밀한 군사 협력이나,
외교장벽을 없애고자 한 조항 같습니다. 물론 그때 당시 세계 대전을 쟁점으로 하여 이러한 조항을 발표하였겠지만, 이 조항은 현대에도 계속 맞아떨어지는 조항입니다.
현재의 북한의 핵문제처럼 말이죠.
요즈음 기사를 보니 시리아와 북한이 핵을 가지고 거래를 했다는 기사가 돌더군요.
아마 이러한 비밀스러운 외교, 협정이 다른 국가를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항은 현대에도 꼭 필요하다고 봅니다. 물론 얼마나 지켜질지는 국가의 양심에 맡기는 수 밖에 없겠지요.
2. 국제 협약을 시행하기 위한 국제적 조처에 의해 공해의 전부 혹은 일부가 폐쇄되어질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평화시나 전시를 막론한 영해 밖의 공해상에서의 항해의 절대적 자유.
- 이것 역시 세계대전에서 서로간의 작은 불씨하나가 큰 전쟁으로 발발할 것을 막는
평화를 위한 조항입니다. 이 역시 세계대전을 놓고 제정한 조항이지만, 현대의 글로벌화 되는 세계를 바라 보았을 때는 이것 역시 절대 빠져서는 안되는 조항입니다.
공해란 서로가 공유하는 바다영역을 말하는데, 이를 서로 다르게 측정하여 서로가 서로를 잡아먹을려고 안달한다면. 해군은 항상 전시태세를 갖추어야하고, 이 역시 작은 불씨하나가 큰 외교적 쟁점으로 떠올라 나라간의 평화가 틀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3. 평화에 동의하고 그 유지에 관여하는 모든 국가들 간의 가능한 한 모든 경제적 장벽의 제거와 대등한 통상 조건의 확립.
- 이 조항이 생길 당시. 제국주의 국가들은 서로가 식민지 개척하기에 바빴던 것 같습니다. 그리하여 약소국은 항상 열강들의 침략에 아무소리 못하고, 시장을 개방했고, 나름 중립국이었던 미국은 어느 한 국가가 더 이상 거대해져 힘이 강해지기를 반대했던 것 같습니다. 그리하여 이 조항은 약소국을 보호한다는 명분하에 내세워졌을 뿐. 제국주의 국가들을 견제하기 위한 조항인 듯 합니다.
14. 강대국과 약소국 모두의 정치적 독립과 영토보전을 상호간에 보장하기 위해 국가들 간의 하나의 일반적인 연합체계가 특별한 협약 하에 형성되어야 한다
- 이것은 국제조직 및 국제 연맹을 창설하자는 것입니다. 어느 특정한 국가가 반란? 즉. 세계정복의 야욕을 품고, 세계대전 같은 물의를 일으킬 경우 그 국가를 저지하기위해 힘을 합친다거나, 혹은 세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각각 개별적인 노력보다는 서로간에 힘을 합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생각하에 나온 조항인것 같습니다.
사실상 제 생각은 미국이 참전하게 되자 그에 대한 변명(?)거리를 만들어 미국이 참전하는 이유가 평화유지를 위한 행위라는 것을 알리기 위한 선전용 연설이라는데 뜻을 같이하고 있습니다만, 이 14개 조항이 발표된 이후 많은 약소국들이 독립 할 수 있었고, 자유 민주주의가 확산되었고, 또한 국제연맹을 창설, 세계 평화에 힘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는 것에 대해서는 상당히 높이 평가할 만한 조항입니다.
추천자료
국회의원의 당적변경과 의원신분 상실에 관한 논의
『 학교환경위생 정화구역 내 극장 영업에 대한 판결자료 정리·분석 및 학교보건법 정리, 판...
국가보안법
국가 유공자 및 가족 가산점제도 폐지에 대한 전반적 분석과 우리의 견해
프랑스의 행정과 관료제
전자상거래 기본 법규
모자보건법
아동복지법 적용사례
프랑스비교행정
국제경제기구론 정리
[병무행정][병무행정의 개념][병무행정의 체계][병무행정의 전산화][병무행정의 시사점][병무...
[이슈] 수요집회를 둘러싼 일본군위안부 문제 외교 쟁점화
[보건위생, 정화구역, 전염병예방관리, 동물성식품, 학교급식, 금연 및 금주]보건위생과 정화...
농구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