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모양새가 결정되었다. 옷의 보관은 각 층마다 차이를 두었다. 이층농인 경우 일층에는 철이 지난 옷을 보관하였으며, 이층은 평상복이나 자주 사용하는 물건 등을 넣어 일층에 비해 사용빈도가 높았다. 농은 대물림이 그리 흔치 않았으며, 시어머니가 돌아가시면 시어머니가 사용하던 가구 일체를 태워 없애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전에 시어머니가 사용하던 것은 안방이 아닌 다른 곳으로 옮겨 보관하기도 하였다. 그런 점에서 농은 사랑방에서 사용된 남성의 가구에 비해 유행에 민감하였고, 중요 혼수품으로서 시대성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가구이기도 하였다. -장과 농의 차이점-장과 농은 각 층의 분리 유무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다. 장은 농과 달리 층이 분리되지 않고 널과 기둥 또는 널과 널을 결속한다. 즉, 장은 여러 층으로 되어 있어도 앞널과 측널이 하나로 구성된다. 각 층을 분리할 수 있게 만든 농은 상자를 포개어 사용하던 방식을 이어온 측면이 있다. 농은 크게 각 층을 이루는 몸통, 다리, 천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몸통이 아닌 다리와 개판은 반드시 존재하는 구성요소는 아니다. 그래서 천판이 없는 농을 흔히 볼 수 있고, 더러 다리가 없는 경우도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한국화
[A+]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식생활 비교 고려시대 생활상 외래문화영향 고기음식 김치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농민항쟁, 조선사림정치
시가(시가문학)와 삼국시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고려시대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조선시대...
한국 조선시대 조경 - 특징과 궁궐 (조선시대 정원의 특징 및 사상적 배경 & 궁궐 정원 (...
현대의 새로운 미(美)의 해석과 조선시대의 미(美) - 기호소비 (영화 ‘미녀는 괴로워’의 줄거...
[의복의 역사] 조선시대 의복(조선시대 복식의 특징, 개짐, 서민들의 의복, 기녀들의 의복, ...
[미용예술사] 화장의 기원, 시대별화장_단군신화부터 조선시대까지, 개화기부터 일제시대 이...
[건축역사] 조선시대 집(주택) 역사 - 조선시대 주택의 정의 및 배경, 양반주택(상류주택)과 ...
[한국문학개론]조선시대 전기 악장, 시조 - 조선 전기 시대의 배경과 시조 및 악장의 이해
[조선시대 재정] 조선시대의 재무행정 - 세제, 재무기관, 재정의 문란
조선시대 인사행정 - 조선시대의 인사행정제도 {인사기관, 과거제도, 품계 및 임용제도, 보수...
[조선시대행정조직체계] 조선시대의 행정조직(行政組織) (중앙행정조직과 지방행정조직)
한국역사에서의 교육철학 {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의 교육과 철학, 개화기 민족수난기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