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무속 사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면서

2. 한국무속의 성격과 특징 - 무의 개념 // 민간신앙과 무속 // 한국 무속의 특징적 성격

3. 한국무속의 사상과 논의 - 인간중심주의 // 현세적 행복주의 // 포괄적, 입체적 세계관 //음양론적 세계관

4. 한국무속의 현대적 의의

5. 한국무속의 도덕교육적 탐구 - 가정윤리의 강화 // 사회 윤리적 기능 // 무속의 윤리에 대한 역기능

6. 마치면서

본문내용

를 결산함과 동시에 마을의 대소사를 논의한다. 이러한 마을회의는 마을 공동체의 자생적인 역량으로 이루어진 민주적 통로로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마을 굿은 본질적으로 공동체 성원의 단합성, 통합성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사회 윤리적 기능을 수행해 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속은 유교에서 소홀히 되고 있는 불행한 자의 편에 선다는 점에서 사회 윤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유교에서 인정되는 조상의 자격은 결혼하여 자식을 본 후 객사가 아닌 천수를 누린 경우이다. 이것은 이 세상에서 행복을 누린 사람이 더욱 숭배 받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불행하고 억울하게 죽은 경우는 유교 제사에서 제외된다. 이에 반해 무속은 이러한 억울하고 불행한 사람을 더욱 중요시하고, 그 한을 푸는데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마을 굿은 이러한 한을 사회적으로 해소하는 통로로서 기능하여 유교적 합리성과 형식성의 한계를 보완하고 있는 것이다.
(3) 무속의 윤리에 대한 역기능
① 한국종교의 기복화(祈福化) 현상
유교에 있어서 ‘역학파(易學派)’의 육효(六爻), 사주(四柱), 궁합(宮合), 관상(觀相), 풍수신앙(風水信仰) 등이 성행하게 된 데에는 무속의 영향이 컸다고 볼 수 있다. 불교가 산신각을 설치하고 무신을 사찰 내에 모시는 등, 불교 고유의 종교성을 다소 약화시킨 이면에도 무속의 기복 신앙적 영향이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기독교에서도 어떤 신통력을 기대하면서 교회를 찾고 자신과 가족의 축복과 내세의 안녕을 기원하는 신자들이 많다는 것은 한국 종교 전체가 기복 위주의 신앙에 젖어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종교 자체의 숭고한 교리보다는 소망을 기원하고 복을 비는 현세적인 신념에 의존하는 경향은 무속의 대표적 역기능이라 하겠다.
② 가족주의의 폐해
유교적 효가 한국에서 종교적 성격을 지니게 된 것은 무속의 신령관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결코 가족에만 치우칠 수 없는 유교 윤리가 무속의 영향 하에 효를 지나치게 중시한 나머지 국가나 공동체의 이익보다 자기 가족의 이익을 앞세우는 풍조를 이루게 되었다는 것이다.
저승의 망자도 현세자손의 삶을 염려할 정도로 현세적인 인간중심사고와 천륜으로 맺어진 혈연관계를 절대적으로 보고 가족 사이에 어떠한 한도 있어서는 안 된다는 무속적 사고는 유교의 혈연주의를 더욱 강화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혈연집단의 규모와 범위가 좁아질 때에는 극단적 이기주의, 문벌주의로 나타나 여러 가지 폐단을 야기하였으니 붕당의 이익을 위해 선악시비도 없이 극한 대립을 일삼았던 조선대의 당쟁의 일면을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③ 신흥종교의 발생
현재 한국에는 3백여 교파에 달하는 신흥종교 교파가 난립되어 있다고 한다. 신흥종교는 역사적 전환기나 사회적 급변기의 정국의 혼미, 사회의 격심한 불안, 경제의 파탄, 가치관의 붕괴를 기반으로 생겨난다고 한다. 이들 신흥종교의 공통된 교리를 보면 종교합일(宗敎合一), 후천개벽(後天開闢), 지상천국(地上天國), 교주숭배(敎主崇拜), 선민사상(選民思想) 등이다. 이러한 종교에 속하는 신도의 소망이 아주 현세주의적이며 주술에 의지하는 요소가 농후하여 무속의 현대적 변신이라 하겠다. 특히 교주가 내세우는 득도체험이 강신무의 입무과정과 흡사하고 그들의 수도방법이란 것도 대개는 주문의 암송을 통한 강령술에 지나지 않음을 볼 때, 신흥종교의 대부분은 무속을 기반으로 형성된 종교형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신흥종교는 경제, 정치, 사상 그리고 종교계에 크게 악영향을 끼치는 것은 물론, 본래 저속한 기복성으로 인하여 윤리문제를 등한시하며 그로 인한 부작용이 크다 하겠다.
6. 마치면서...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전통사상인 무속사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실 과제를 하기 전까지 무속사상이라고 하면 ‘미신’이라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었는데, 이번 과제를 통해 무속 사상의 진실된 의의를 살펴보면서 생각이 많이 바뀌게 되었다. 우리의 잘못된 생각으로 인해서, 외래사상으로 우리의 전통사상을 밀어내고 있는 것이 못내 아쉽기도 했지만, 어떻게 보면 무속사상은 우리의 삶 구석구석에 배어있는 듯 하다.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무엇인가 답답하고 지칠 때, 무속사상은 조용히 그 옆에 같이 있어주는 친구와 같은 느낌을 주었다. 체계적이고 정형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충분한 신비감과 위안을 주는 무속사상을 우리의 소중한 전통사상으로 지켜나가는 것은 우리의 몫이라는 생각을 모두들 한번쯤은 해보아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6.22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7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