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는 말에 채찍질 한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곱다
가재는 게 편이다.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다
개천에서 용나다
그림의 떡이다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낫 놓고 ㄱ 자도 모른다
누워서 떡먹기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남의 떡이 커보인다
도토리 키 재기
다 된 밥에 재 뿌릭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민다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물에 빠지면 지푸라기라도 잡는다
미운놈 떡 하나 더준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곱다
가재는 게 편이다.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다
개천에서 용나다
그림의 떡이다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낫 놓고 ㄱ 자도 모른다
누워서 떡먹기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남의 떡이 커보인다
도토리 키 재기
다 된 밥에 재 뿌릭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민다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물에 빠지면 지푸라기라도 잡는다
미운놈 떡 하나 더준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본문내용
목차
가는 말에 채찍질 한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곱다
가재는 게 편이다.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다
개천에서 용나다
그림의 떡이다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낫 놓고 ㄱ 자도 모른다
누워서 떡먹기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남의 떡이 커보인다
도토리 키 재기
다 된 밥에 재 뿌릭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민다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물에 빠지면 지푸라기라도 잡는다
미운놈 떡 하나 더준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잘하는 일을 더욱 잘하도록 격려하는 것을 말합니다.
내가 먼저 좋은 말을 해야 남도 나에게 좋은 말을
한다는 뜻입니다.
서로 비슷하거나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끼리
한 편, 한 마음이 된다는 뜻입니다.
자식을 많은 부모는 자식들 걱정에
마음이 편할 날이 없다는 뜻입니다.
변변치 못한 집안이나 동네에서 뛰어난 인물이 나온다는 뜻입니다.
그림속의 그려진 떡은 보기는 해도 먹을 수 없다는 것으로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실제로 이용하거나 차지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강한 사람들의 싸움에 끼여서 애매하게
약한 사람이 피해를 본다는 뜻입니다.
''자와 똑같이 생긴 낫을 앞에 두고 ''자가 어떻게 생겼는지 모를 정도로 아주 무식하다는 뜻입니다.
아주 편한 자세로 맛있는 떡을 먹는 것처럼
일을 아주 쉽게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비밀얘기를 해도 다른 사람이 듣고 있을 수
있다는 말로, 말을 조심하라는 뜻입니다.
같은 물건이라도 남이 가진 것이
더 좋아보인다는 뜻입니다.
서로 별차이가 없는 처지인데도 서로들
잘났다고 떠는다는 뜻입니다.
잘 되어 가던 일을 갑자기
망쳐버렸을 때 쓰는 말입니다.
자기가 저지른 나쁜 일이 드러나게 되자 서투른
수단으로 남을 속이려 할 때 하는 말입니다.
의리나 지조를 생각하지 않고 자기에게 이로우면
이용하고 그렇지 않으면 멀리한다는 뜻입니다.
아주 급한 상황이 되면 보잘것없는 것에라도
의지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미운 사람일수록 더 잘 대해주어 나쁜 감정이
생기지 않게 하라는 뜻입니다.
아무리 큰 힘을 들여 애써서 해도 끝이 없고,
보람도 생기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가는 말에 채찍질 한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곱다
가재는 게 편이다.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다
개천에서 용나다
그림의 떡이다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낫 놓고 ㄱ 자도 모른다
누워서 떡먹기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남의 떡이 커보인다
도토리 키 재기
다 된 밥에 재 뿌릭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민다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물에 빠지면 지푸라기라도 잡는다
미운놈 떡 하나 더준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잘하는 일을 더욱 잘하도록 격려하는 것을 말합니다.
내가 먼저 좋은 말을 해야 남도 나에게 좋은 말을
한다는 뜻입니다.
서로 비슷하거나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끼리
한 편, 한 마음이 된다는 뜻입니다.
자식을 많은 부모는 자식들 걱정에
마음이 편할 날이 없다는 뜻입니다.
변변치 못한 집안이나 동네에서 뛰어난 인물이 나온다는 뜻입니다.
그림속의 그려진 떡은 보기는 해도 먹을 수 없다는 것으로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실제로 이용하거나 차지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강한 사람들의 싸움에 끼여서 애매하게
약한 사람이 피해를 본다는 뜻입니다.
''자와 똑같이 생긴 낫을 앞에 두고 ''자가 어떻게 생겼는지 모를 정도로 아주 무식하다는 뜻입니다.
아주 편한 자세로 맛있는 떡을 먹는 것처럼
일을 아주 쉽게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비밀얘기를 해도 다른 사람이 듣고 있을 수
있다는 말로, 말을 조심하라는 뜻입니다.
같은 물건이라도 남이 가진 것이
더 좋아보인다는 뜻입니다.
서로 별차이가 없는 처지인데도 서로들
잘났다고 떠는다는 뜻입니다.
잘 되어 가던 일을 갑자기
망쳐버렸을 때 쓰는 말입니다.
자기가 저지른 나쁜 일이 드러나게 되자 서투른
수단으로 남을 속이려 할 때 하는 말입니다.
의리나 지조를 생각하지 않고 자기에게 이로우면
이용하고 그렇지 않으면 멀리한다는 뜻입니다.
아주 급한 상황이 되면 보잘것없는 것에라도
의지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미운 사람일수록 더 잘 대해주어 나쁜 감정이
생기지 않게 하라는 뜻입니다.
아무리 큰 힘을 들여 애써서 해도 끝이 없고,
보람도 생기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추천자료
[문법교육론A+] 학교문법교육 수업지도안 <이야기, 그때 그때 달라요!> 이야기와 발화 관계
조소영역지도(조소교육, 조소수업) 의미와 과정, 조소영역지도(조소교육, 조소수업) 사례, 조...
초등학교 6학년 영어과(영어교육)의 목표와 성취기준, 초등학교 6학년 영어과(영어교육)의 주...
연산지도(연산능력신장교육)의 기본방향, 연산지도(연산능력신장교육)의 놀이학습과 이야기학...
영어(영어과교육) 총체적언어학습과 전신반응교수법(TPR), 영어(영어과교육) 이야기중심학습(...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총체적언어교육과 독해교육,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독서...
유아과학교육 수업자료(교수학습자료), 미국교육, 영국교육 수업자료(교수학습자료), 북한영...
[유치원][유아교육][유치원교육]유치원의 변천과정, 유치원의 현황, 유치원의 교육환경, 유치...
[독후감] 참교육 이야기 (슈타이너 학교의 참교육 이야기 -고야스 미치코 저)
[교훈이야기][도덕][교훈][이야기][교훈이야기 도덕적 목적][교훈이야기 도덕적 중요성]교훈...
[유아교과교육론] <교육(부분)활동(수업)계획안> (만3세/이야기나누기) - 활동명 : 다양한 탈...
[유아교과교육론] <교육(부분)활동(수업)계획안(만5세)> 활동유형(이야기나누기) 주제(가을)...
[유아교과교육론]교육(부분)활동(수업)계획안 - 학급연령(만3세) 활동유형(이야기나누기) 생...
문학을 통한 아동수학교육의 교육적 가치와 수학교육을 위한 이야기책의 활용법에 대해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