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신우신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급성신우신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2. case study

본문내용

R 왔을 때 BST 543 측정됨
-혈당 수치 낮추기 위해 투여
저혈당, 고혈당, 당뇨병성 케톤산증, 두드러기, 발진, 부종, 당뇨병 망막증
- BST 자주 측정
- 정확한 용량을 N/S에 mix 하여 투여
- 당뇨 PO 약보다 효과빠름을 알린다.
Potassium Chloride
(KCl) 20ml
-40ml
-20ml
-혈액대용제
-항부정맥제
-산화성 이뇨제
-K+ 보충제
09.
06. 15
2A x 1회 mix
1A x 1회 mix
IV
- 혈압 낮고 심박동 높아 강심제 역할 위해 투여
구토
복통
위장출혈
설사
구역질
일시적인
대량투여
시 심장
전도장애
-반드시 N/S에 mix하여 투여
- K+ 수치 자주 확인
Ceftriaxone Sodium
(Rocephin) 1g
-항생제
(3세대)
09.
06. 15
2V x 1회
IV
- 고열측정
- 그람균 확인됨
shock
두드러기
발진
발열
이명
부종
구토
설사
복통
기침
빈혈
소화불량
이명
- IV시 화끈거리거나 찌릿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천천히 투여
- 투여 전에 AST 시행
5. 응급실 처치순서
1) 119 구급차를 타고 눕는 차에 실려 ER visit
2) bed로 이동하는 중에 BST check (543), head Nr. 에게 notify
3) 동행한 보호자에게 원무과에 가서 입원 수속 하도록 함
4) bed로 pt. 옮겨 환의로 갈아입히고 기저귀채움
5) EKG monitor 부착, nasal cannula O2 2L/min, Rt. 검지손가락에 pulse oxymetry 끼움. Leg elevation 시킴, V/S check, Nr. 에게 notify
6) IV start : 0.9% N/S 1L를 Rt. 전완 바깥쪽에 start하고 full drop함
7) chest PA, EKG(Portable) 촬영함
8) 당직 Dr. 가 보호자에게 문진
- 개인정보, ER까지 오게 된 경위, 과거력, 심리사회력, 가족력 등
- 보호자는 환자의 둘째아들이다. 환자에 대해 자세히 모르는 듯 대답하지 못하거나 “잘 모르겠다.”, “없었다.” 는 응답을 많이 하였고, 확실한 정보는 자세히 대답하였다.
9) 당직 Dr. 가 환자 신체검진
- 발바닥 바빈스키 반사 → 눈(동공크기, 안구운동, 대광반사) → 말 걸기, pain 주기 → 피부촉진 → organ 청진 → organ 촉진 순으로 진행
10) Rt. 요골동맥 천자를 당직 Dr 가 시행
11) BST check, BP & HR check
12) 넬라톤하여 Urine 수집
13) IV start : 0.9% N/S 1L + RI 9unit fluid를 Lt. 전완 바깥쪽에 start
14) BST check, V/S check
15) Rt. 전완의 0.9% N/S 1L cont.
16) 내과 Dr. 가 보호자에게 상황 설명 후 subclavicle 천자를 Rt. 에 시행.
- 환자 입원 시 v/s 중 낮은 혈압과 높은 심박동, 고열은 shock 증상을 의미한다. shock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모르겠으나, 현재 당뇨가 조절되지 않아 고혈당으로 인한 합병증이 와서 일수도 있고, 패혈증때문일 수도 있다. 패혈증이란 피 속에 염증이 많이 살고 있는 것을 말하는데, 일반인과 비교했을 때 그 수치가 30배 이상 높게 나온다. 패혈증에 걸리면 증상이 나타나는데 피에서 균이 발견되고, 열이 37.4도 이상 지속되며 혈압이 80이하로 떨어진다. 이 환자의 경우에는 이 3가지 모두 해당되기 때문에 패혈증을 의심한다.
혈당조절이 안되서 오는 shock은 거의 혼수상태까지 갈 수 있는데 고혈당성 합병증으로 케톤성 혼수라고 한다. 현재 환자가 혈당조절이 안되서 입원 시 혈당이 543까지 올라갔기 때문에 이 또한 의심할 수 있다.
또 다른 shock의 원인은 뇌혈관이 파열되는 것인데 뇌혈관 파열 시 지금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그래서 확실한 원인을 찾기 위해 brain CT 와 Abd. CT를 촬영해야 한다. 결과를 봤을 때, 패혈증이 확실하면 항생제 치료를 할 것이고, 현재 탈수가 있어서 탈수 교정을 할 것이다. 탈수 교정은 수액을 다량 주입하는 것인데, 합병증으로 심장이나 폐에 손상이 올 수 있다. 그러면 신장에도 무리가 가서 투석을 해야하는 경우가 올 수 있다 .합병증은 무조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1/3정도는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현재 탈수 교정이 중요하고 필요한 치료이므로 시행해야 한다. 빠른 교정을 위해 오른쪽 쇄골 아래에 큰 정맥으로 바늘을 넣을 것이다. 이것의 합병증으로 기흉이 올 수 있는데 환자처럼 마른 분은 폐를 피해 가더라도 폐를 건드리기 쉬워서 기흉이 유발될 수 있다.
17) subclavicle 천자 위치 확인 위해 chest PA 촬영하러 감
18) 왼쪽 전완에 0.9% N/S 0.5L + RI 50 unit mix한 fluid cont.
19) Rocephin 2g을 오른쪽 IV line에 inj. AST(-)
20) BST check
21) Foley catheter 시행
22) brain CT, Abd. CT 촬영위해 촬영실로 이동
23) CT 실에서 돌아온 후 V/S, U/O check
24) chest PA 결과 상 기흉 보여 흉부외과 과장님께 notify
25) 흉부외과 과장이 chest PA 확인 후 보호자에게 설명하고 오른쪽 중앙쇄골선따라 4~5번째 늑간에 thoracostomy 시행함
- subclavicle 천자할 때 환자가 너무 말라서 바늘이 폐를 살짝 스쳤는데 기흉이 되었다. 기흉이 있으면, 폐가 확장되기 어려워 숨쉬기 힘들어지고, 다른 합병증들을 또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제거해야 한다. 이 위치에 흉강삽관술을 할건데, 흉강삽관술은 폐 위치에 호스를 꽂아서 공기를 밖으로 빼내는 시술로 간단하다.
26) 오른쪽 전완에 0.9% N/S 1L cont.
27) V/S, U/O check
28) 오른쪽 전완에 Dopamin 400mg IV start
29) 오른쪽 전완에 5% DW 1L + KCL 20mEq mix한 fluid IV'
30) BST, V/S check
31) MICU로 transfer
  • 가격2,7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7.07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44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