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메니우스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코메니우스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역사적 배경과 활동
Ⅲ. 교육 사상
1) 백과전서주의
2) 범지학
3) 17세기 교수학 운동
4) 학교개혁론
5) 세계 개혁
Ⅳ.결론

본문내용

바야흐로 새로운 시대로 들어가고 있다는 의식이 팽배해 있었다. 이 시대에 넓게 공유된 신념은 세계의 마지막 때라는 인식이었다. 개신교가 연합하여 최종적으로 적(敵)그리스도(교황)를 무찌르고, 예수님의 재림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코메니우스는 인류의 변화를 위하여 사회, 정치, 종교의 개혁을 요구하였다. 그 이전에도 개혁을 주장한 사람들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범개혁을 이루지 못한 이유는 이들이 부분적인 개혁만 추구하였고 보편적인 개혁을 시도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는 영혼의 개혁, 개인의 내적 개혁을 중시하였지만 그것에서 끝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의 근대성을 엿보게 된다. 모든 인간사의 개혁은 필연적이었다. 하나님의 질서로의 회복은 단지 영혼의 구원만이 아니라 자연, 인간 사회, 종교의 모든 영역을 다 포괄하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타락이 영혼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전인적 부패이요, 범우주적인 부패였기 때문에 이러한 개혁 역시 범개혁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김 동규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Ⅱ』 1998. 2.
Ⅳ.결론
이렇듯 코메니우스의 사상은 교육학의 역사에서 가장 최초의 완벽한 조직적 체계적인 기독교적 교육철학이다. 오 인탁 『J. A. Comenius의 범교육 이론』 1980.
그는 모든 보편적인 교육, 즉 학문, 도덕 혹은 정치, 종교 등 모든 교육은 하나님의 나라의 확장을 위한 기초요 수단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또한 유아기에서부터 노년기까지의 단계별 학습을 강조함으로서 ‘교육의 계속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그가 남긴 저서들을 읽으면 ‘현 시대에 꼭 필요한 교육사상’이라는 것을 느낀다. 이것이 바로 400년의 시간이 흐른 오늘날에도 그의 교육사상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우리말로 옮겨진 코메니우스 저서)
<대교수학> …정확실/ 교육과학사
<범교육학> …정일웅/ 여수룬
<분석교수학> …이숙종/ 대한교과서
<빛의 길> …이숙종/ 여수룬
<세계도회> …김은권이경영/ 교육과학사
<세계 최초의 그림 교과서> …남혜승/ 씨앗을뿌리는사람들
<어머니 학교의 소식>…정일웅/ 이레서원
(참고 문헌)
김 동규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Ⅱ』 1998. 2.
오 인탁 『J. A. Comenius의 범교육 이론』 1980.
이 숙종 『코메니우스 교육 사상』서울 : 교육과학사 1997.
코메니우스 『대교수학』1987.
코메니우스 『분석교수학』1995.
푸코 『말과 사물』민음사 1980
코메니우스 『빛의 길』1938.
김 영한 『르네상스의 유토피아 사상』 1986.
Michel, G 『Padagogische Utopien im 17. Jahrhundert.』
In: Acta Comeniana, 7. 1987.
Schaller, K: Comenius. Darmstad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73.
http://mysoul91.hihome.com/People/Comenius/Comenius.htm
http://march.kwedu.net/mm/mm06-1.html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7.29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7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