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군자란 무엇인가?
Ⅱ. 시민이란 무엇인가?
Ⅲ. 군자, 시민, 그리고 현대사회
Ⅳ. 토론 주제
참고문헌
Ⅱ. 시민이란 무엇인가?
Ⅲ. 군자, 시민, 그리고 현대사회
Ⅳ. 토론 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았다는 것이다. 이는 결과만을 중시하는 법치주의의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사회 전체보다는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만을 중시하는 공적 이성의 잘못된 사용도 서구적 법치주의의 문제점이다.
유가 사상 역시 완전한 해답이 되어주지는 못한다. 군자 개념은 오늘날의 현실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법과 제도 등과 같이 효율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당위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구체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위의 글. 24pg
그러나 두 가지 인간관 모두 현대사회에서 큰 의의를 지니는 면도 있다.
시민으로 대표되는 민주주의 이념은 합리적이다. 이성의 공적 사용을 중시하는 이러한 이념은 현대사회의 다양한 가치관을 인정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이의 가치관이 존중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반면, 군자로 대표되는 유가 사상은 고전적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가 드러내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비판할 수 있으며, 자유주의적 이념이 빚어내는 배제와 분열, 투쟁과 소외 등의 문제에 대한 대안이 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철승. <‘세계화’ 시대 ‘유교공동체주의’의 의의와 문제>. 《시대와 철학》제18권3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7. 171pg
그 뿐 아니라, 군자의 본래 의미가 사회의 엘리트이자 지도층이었다는 점에서 볼 때, 유교 윤리는 현대 사회에서도 공직자 윤리로서 중요하게 검토되어야 하는 윤리적 규범체계가 될 수 있다. 김시천. <군자는 과연 시민이 될 수 있을까>.《정의로운 사회는 가능할까? 세상 청바지》. 웅진지식하우스. 2005. 124pg
Ⅳ. 토론 주제
1. 오늘날 한국 사회의 문제점은 무엇에 기인하고 있을까? (유가 사상과 자유주의 중에서.)
2. 현대사회에 어울리는 이상적 인간상을 설정함에 있어, ‘군자’와 ‘시민’ 중 어떤 쪽에 더 무게가 실려야 할까?
※ 참고문헌
이철승. <‘세계화’ 시대 ‘유교공동체주의’의 의의와 문제>. 《시대와 철학》제18권3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7.
이철승. <군자에서 시민까지>.《철학, 문화를 읽다》. 동녘. 2009.
김시천. <군자는 과연 시민이 될 수 있을까>.《정의로운 사회는 가능할까? 세상 청바지》. 웅진지식하우스. 2008.
김호기. <국가로부터 자율적인 시민 사회는 가능할까>.《정의로운 사회는 가능할까? 세상 청바지》. 웅진지식하우스. 2008.
강형기. <21세기의 군자가 되기 위한 반성>.《지방행정》. 대한지방행정공제회. 2008.
또한, 사회 전체보다는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만을 중시하는 공적 이성의 잘못된 사용도 서구적 법치주의의 문제점이다.
유가 사상 역시 완전한 해답이 되어주지는 못한다. 군자 개념은 오늘날의 현실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법과 제도 등과 같이 효율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당위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구체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위의 글. 24pg
그러나 두 가지 인간관 모두 현대사회에서 큰 의의를 지니는 면도 있다.
시민으로 대표되는 민주주의 이념은 합리적이다. 이성의 공적 사용을 중시하는 이러한 이념은 현대사회의 다양한 가치관을 인정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이의 가치관이 존중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반면, 군자로 대표되는 유가 사상은 고전적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가 드러내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비판할 수 있으며, 자유주의적 이념이 빚어내는 배제와 분열, 투쟁과 소외 등의 문제에 대한 대안이 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철승. <‘세계화’ 시대 ‘유교공동체주의’의 의의와 문제>. 《시대와 철학》제18권3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7. 171pg
그 뿐 아니라, 군자의 본래 의미가 사회의 엘리트이자 지도층이었다는 점에서 볼 때, 유교 윤리는 현대 사회에서도 공직자 윤리로서 중요하게 검토되어야 하는 윤리적 규범체계가 될 수 있다. 김시천. <군자는 과연 시민이 될 수 있을까>.《정의로운 사회는 가능할까? 세상 청바지》. 웅진지식하우스. 2005. 124pg
Ⅳ. 토론 주제
1. 오늘날 한국 사회의 문제점은 무엇에 기인하고 있을까? (유가 사상과 자유주의 중에서.)
2. 현대사회에 어울리는 이상적 인간상을 설정함에 있어, ‘군자’와 ‘시민’ 중 어떤 쪽에 더 무게가 실려야 할까?
※ 참고문헌
이철승. <‘세계화’ 시대 ‘유교공동체주의’의 의의와 문제>. 《시대와 철학》제18권3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7.
이철승. <군자에서 시민까지>.《철학, 문화를 읽다》. 동녘. 2009.
김시천. <군자는 과연 시민이 될 수 있을까>.《정의로운 사회는 가능할까? 세상 청바지》. 웅진지식하우스. 2008.
김호기. <국가로부터 자율적인 시민 사회는 가능할까>.《정의로운 사회는 가능할까? 세상 청바지》. 웅진지식하우스. 2008.
강형기. <21세기의 군자가 되기 위한 반성>.《지방행정》. 대한지방행정공제회. 200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