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자초 백두옹 백급 삼칠황련
본문내용
亦屬心火。
눈이 갑자기 적색으로 부음을 참을 수 없음은 모두 심화에 속한다.
兼挾肝邪俱宜黃連、當歸。
겸해서 간사를 끼면 모두 황련, 당귀가 의당하다.
治痢及目爲要藥,故《本經》首言治熱氣目痛,及腸腹痛之患,取苦燥之性,以頭目、堅腸胃、祛濕熱也。
황련은 이질과 눈을 치료하는데 중요한 약이 되니 그래서 신농본초경은 열기눈통증과 장벽과 복통의 질환을 치료하니, 황련의 고미와 건조의 약성을 취하여 머리와 눈을 맑게 하며 위장을 단단하게 하며 습열을 제거한다.
婦人陰中腫痛,亦是濕熱爲患,尤宜以苦燥之。
부인의 음부가 붓고 아프며 또한 이도 습열이 질환이 되니 더욱 의당 황련의 고미로 건조케 한다.
古方治痢香連丸,用黃連、木香。
고대 처방에 이질을 치료하는데 향련환은 황련, 목향을 사용하였다.
薑連散用乾薑、黃連。
강연산은 건강, 황련을 사용하였다.
左金丸用黃連、吳茱萸。
좌금환은 황련, 오수유를 사용한다.
治消渴用酒蒸黃連。
소갈을 치료함에는 술로 찐 황련을 사용한다.
治口瘡用細辛、黃連。
구창을 치료함에는 세신, 황련을 사용한다.
治下血用黃連、葫 葫(마늘, 호리병박, 조리박 호; -총13획; hu)
蒜,皆是寒因熱用,熱因寒用,而無偏勝之害。
하혈을 치료하는데 황련, 호산을 사용하니 모두 한증에 열성약을 사용하니 열증원인에는 한성약을 사용하니 편승한 피해가 없다.
然苦寒之劑,中病止,豈可使肅殺之令常行,而伐生發沖和之氣乎。
고미와 한기의 약제는 병에 맞으면 중지해야 하니 어찌 숙살의 시령을 항상 시행케 하여 생발하고 충화하는 기를 치는가?
醫經有久服黃連、苦參反熱之說.
의경에는 오래 황련과 고삼을 복용하면 반대로 열이 된다는 설명이 있다.
此性雖寒,其味至苦,入胃則先歸於心,久而不已,心火偏勝則熱,乃其理也。
이는 약성이 비록 차나 약미가 고미에 이르니 위에 들어가면 먼저 심에 돌아가며 오래되어 그치지 않으면 심화가 편승되어 열이 됨이 그 이치이다.
近代庸流喜用黃連爲劑,殊不知黃連瀉實火。
근대에 용렬하고 세속적으로 황련을 맑은 약제로 여기니 황련이 실화를 끔을 알지 못함이다.
若虛火而妄投,反傷中氣,陰火愈逆上無制矣。
만약 허화에 황련을 망령되이 투여하여 반대로 중기를 손상하면 음화가 더욱 역상함을 제어할 수 없다.
故陰虛煩熱、脾虛泄瀉,五更腎泄,婦人後血虛煩熱、小兒痘疹氣虛作瀉,及行漿後泄瀉,皆禁用。
그래서 음허번열, 비허증 설사, 오경(새벽 3~5시)의 신설, 부인의 산후에 혈허번열, 소아의 두진과 기허로 설사가 생김, 장후의 설사에 모두 황련을 금기한다.
눈이 갑자기 적색으로 부음을 참을 수 없음은 모두 심화에 속한다.
兼挾肝邪俱宜黃連、當歸。
겸해서 간사를 끼면 모두 황련, 당귀가 의당하다.
治痢及目爲要藥,故《本經》首言治熱氣目痛,及腸腹痛之患,取苦燥之性,以頭目、堅腸胃、祛濕熱也。
황련은 이질과 눈을 치료하는데 중요한 약이 되니 그래서 신농본초경은 열기눈통증과 장벽과 복통의 질환을 치료하니, 황련의 고미와 건조의 약성을 취하여 머리와 눈을 맑게 하며 위장을 단단하게 하며 습열을 제거한다.
婦人陰中腫痛,亦是濕熱爲患,尤宜以苦燥之。
부인의 음부가 붓고 아프며 또한 이도 습열이 질환이 되니 더욱 의당 황련의 고미로 건조케 한다.
古方治痢香連丸,用黃連、木香。
고대 처방에 이질을 치료하는데 향련환은 황련, 목향을 사용하였다.
薑連散用乾薑、黃連。
강연산은 건강, 황련을 사용하였다.
左金丸用黃連、吳茱萸。
좌금환은 황련, 오수유를 사용한다.
治消渴用酒蒸黃連。
소갈을 치료함에는 술로 찐 황련을 사용한다.
治口瘡用細辛、黃連。
구창을 치료함에는 세신, 황련을 사용한다.
治下血用黃連、葫 葫(마늘, 호리병박, 조리박 호; -총13획; hu)
蒜,皆是寒因熱用,熱因寒用,而無偏勝之害。
하혈을 치료하는데 황련, 호산을 사용하니 모두 한증에 열성약을 사용하니 열증원인에는 한성약을 사용하니 편승한 피해가 없다.
然苦寒之劑,中病止,豈可使肅殺之令常行,而伐生發沖和之氣乎。
고미와 한기의 약제는 병에 맞으면 중지해야 하니 어찌 숙살의 시령을 항상 시행케 하여 생발하고 충화하는 기를 치는가?
醫經有久服黃連、苦參反熱之說.
의경에는 오래 황련과 고삼을 복용하면 반대로 열이 된다는 설명이 있다.
此性雖寒,其味至苦,入胃則先歸於心,久而不已,心火偏勝則熱,乃其理也。
이는 약성이 비록 차나 약미가 고미에 이르니 위에 들어가면 먼저 심에 돌아가며 오래되어 그치지 않으면 심화가 편승되어 열이 됨이 그 이치이다.
近代庸流喜用黃連爲劑,殊不知黃連瀉實火。
근대에 용렬하고 세속적으로 황련을 맑은 약제로 여기니 황련이 실화를 끔을 알지 못함이다.
若虛火而妄投,反傷中氣,陰火愈逆上無制矣。
만약 허화에 황련을 망령되이 투여하여 반대로 중기를 손상하면 음화가 더욱 역상함을 제어할 수 없다.
故陰虛煩熱、脾虛泄瀉,五更腎泄,婦人後血虛煩熱、小兒痘疹氣虛作瀉,及行漿後泄瀉,皆禁用。
그래서 음허번열, 비허증 설사, 오경(새벽 3~5시)의 신설, 부인의 산후에 혈허번열, 소아의 두진과 기허로 설사가 생김, 장후의 설사에 모두 황련을 금기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