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소아과 의학입문 두진의 낫는 증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천 소아과 의학입문 두진의 낫는 증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침과 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소멸한다.
如已熟者는 用針을 燒紅하야 刺之하고 內服 消毒飮하되 在項이면 加 金銀花니라.
만약 뺨이 이미 곪으면 피침을 사용해 홍색으로 달구어 자파하고 소독음을 내복하되, 뺨과 뒷목에 있으면 금은화를 가미한다.
若不早治면 必至潰爛筋骨이니라.
만약 일찍 치료하지 않으면 반드시 근골이 궤양 미란됨에 이른다.
[金華散]
금화산
黃丹 黃栢 黃連 大黃 黃 輕粉 麝香을 爲末하라.
금화산은 황단, 황백, 황련, 대황, 황기, 경분, 사향을 가루낸다.
乾하되 瘡乾이면 猪油로 調塗니라.
가루를 붙여서 창을 건조케 하려면 돼지 기름으로 섞어 바른다.
治痘後의 肥瘡 疳瘡 癬疥하나니 收水 凉肌 解毒이니라.
두가 치료된 뒤에 비창, 감창, 선개가 있으니 물을 수렴하고, 기육을 차게 하고 독을 풀어준다.
[斂肌散]
염기산
地骨皮 黃連 五倍子 黃栢 甘草를 爲末하야 乾이니라.
지골피, 황련, 오배자, 황백, 감초를 가루내어 마르게 붙인다.
兼治 疳蝕不斂과 痘後에 膿血이 雜하야 不收等瘡이니라.
염기산은 겸하여 감식이 수렴하지 않음과 두진 뒤에 농혈이 잡다하게 삼설하여 수렴하지 못하는 등의 창을 치료한다.
[礬繭散]
반견산
用白礬을 爲末하야 塞入蠶繭內하야 令滿하고 以炭火로 燒하라.
반견산은 백반을 사용하여 가루내어 누에고치 안에 막아 넣어서 그득하게 하고 탄불로 태운다.
令礬汁으로 盡에 取出爲末하야 乾이니라.
백반즙이 다하게 한 뒤에 꺼내 가루내어 건조하게 바른다.
治痘後에 身上과 及肢節上에 生疳蝕瘡하야 膿水不絶이니라.
반견산은 두진 뒤에 몸 위와 4지관절위에 감식창이 생성하여 농수가 끊이지 않음을 치료한다.
逃痘方是 後人巧나 信者縱出 亦稀疎라.
도망친 두는 바로 후대 사람의 교묘함이니 믿는 사람이 비록 나와도 또한 드물다.
○太古에 無痘疹이러니 周末 秦初에 乃有之하니라.
아주 오랜시절에 두진이 없더니 주나라 말기 진나라 초기에 있게 되었다.
初生에 用生地黃 自然汁을 服三殼許하야 利下惡汚면 亦可稀痘니라.
초기 생성에 생지황 자연즙을 사용하여 3가막조개껍질을 복용하여 나쁜 오물을 하리하면 또한 두가 드물게 된다.
○每遇冬月溫煖이면 恐春發痘니 宜預服【三豆飮】이니라.
매번 겨울철에 온난하게 되면 봄에 두진이 발생할까 염려되니 미리 삼두음을 복용한다.
黑豆 赤豆 菉豆 各等分 甘草 減半을 水煮熟하야 任意飮之니라.
삼두음은 흑두, 적두, 녹두 각각 같은 분량과 감초 반으로 감량하여 물에 달여 익혀서 임의대로 마신다.
凡天行痘瘡이 鄕隣盛發이어던 宜先服七日이면 痘永不出이니라.
유행성 두창이 고을과 이웃에 성대하게 발병하면 먼저 삼두음을 7일을 복용하면 두창이 영원히 생기지 않는다.
○小兒陽盛을 無陰以制면 令頭髮로 竪直하며 飮食이 減少니라.
소아의 양이 치성하여 음기가 제어할 바가 없으면 두부 모발로 곧게 더벅머리를 만들고 음식이 감소한다.
此는 伏熱之兆라 便宜服[油劑]니라.
이는 복열의 조짐이다 곧 유제를 복용한다.
麻油一盞을 逐日飮盡이면 永不出痘요.
마유 1잔을 날마다 다 복용하면 영원히 두진이 생기지 않는다.
更服 升麻葛根湯 三豆飮하야 以預防之니라.
다시 승마갈근탕 삼두음을 복용하여 예방케 한다.
【消毒保丹】
소독보영단
纏豆藤 卽毛豆梗上의 纏繞細紅藤을 八月間에 採 陰乾하야 一兩半 黑豆 三十粒 赤豆 七十粒 山査肉 牛蒡子 生地 辰砂 各一兩 升麻 連翹 各七錢半 荊芥 防風 獨活 甘草 當歸 赤芍藥 黃連 桔梗 各五錢 經霜絲瓜 長五寸者를 二箇를 燒存性하고 前藥을 須預辨精料라.
전두등 곧 모두 줄기 위의 가는 홍색 넝쿨을 둘러싼 것을 음력 8월 사이에 따서 그늘에 말려서 60g, 흑두 30알, 적소두 70알, 산사육, 우방자, 생지황, 진사, 각각 40g, 승마, 연교 각각 30g, 형개, 방풍, 독활, 감초, 당귀, 적작약, 황련, 길경 각각 20g, 서리를 맞은 사과락 길이 5촌짜리 2개를 불에 태워서 보존하고, 앞의 약을 반드시 예방하여 정밀한 것인지 변별하라.
遇春分 秋分 上元 七夕이어던 忌婦人 猫犬하고 誠心修製하야 爲末 和勻하라.
춘분, 추분, 상원, 칠석을 만나면 부인, 고양이 개를 금기하여 정성스러운 마음으로 수치 법제하여 가루내어 고르게 섞는다.
淨沙糖으로 爲丸 李核大하야 每一丸을 濃煎甘草湯으로 化下니라.
깨끗한 설탕을 오얏씨 크기만하게 환을 만들어 매번 1환을 짙게 달인 감초탕으로 연하한다.
凡小兒 未出痘者는 每遇春分 秋分時하야 各服七丸이면 其痘毒이 能漸消化하라.
소아가 아직 두진이 나오지 않고 매번 춘분 추분시기를 만나면 각각 7환을 복용하면 두독이 점차 소화된다.
若只服一二次라도 亦得減少요.
만약 단지 1~2차례 복용해도 또한 감소할 수 있다.
若服三年六次라도 其毒이 盡能消化하야 必無虞矣리라.
만약 3년에 6번 복용하여도 독이 다 소화되어 반드시 근심이 없게 된다.
錢劉陳魏를 皆堪法이로대 得要還羨 丹溪書라.
송대의 소아과 명의인 錢仲陽, 金代의 명의인 유하간, 宋代의 소아과 명의 陳文中, 明代醫인 魏直을 모두 법칙을 삼을만하나 요점을 얻으려면 다시 단계의 책을 흠모한다.
錢劉는 以痘本胎毒하니 毒解而氣血이 自伸이라 하다.
전을과 유하간은 두진이 본래 태독이라고 하니 독이 풀어지면 기혈이 스스로 펴진다고 했다.
陳魏는 以痘或內毒이나 毒出則虛라 호다.
진문중 위직은 두를 혹은 내독이라고 여기나 독이 나오면 허해진다고 했다.
丹溪는 隨表裏虛實하야 溫補 解毒을 兼用하다.
주단계는 표리와 허실을 따라서 온난하게 보하고 독을 풀음을 함께 사용했다.
但見熱證이면 便用淸肌解毒하고 甚則硝黃이오.
다만 열증이 나타나면 곧 기육을 청열하고 독을 풀게 사용하며 심하면 박초 대황이다.
但見虛證이면 便用溫中托裏하고 甚則薑附라 하니라.
다만 허증이 나타나면 곧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속을 내탁함을 사용하고 심하면 건강 부자를 사용한다.
噫라 法無不善이로대 用貴得宜라.
아아! 방법에는 좋지 않음이 없으나 사용함에 의당함을 얻음을 귀중하게 여긴다.
痘本 外科와 傷寒之一로 兼內傷 雜病과 婦女胎産과 小兒驚積하니 痘非醫之統要矣乎아!
두진은 본래 외과와 상한의 하나로 내상 잡병과 부녀의 임신 출산과 소아의 경적을 겸하니 두진의 치료가 모두 중요하지 않음이 없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8.09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5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