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연세대 언어교육연구원 한국어강사 사건
3. 연세대 어학당 일본어강사 사건
4. 한국수자원공사 촉탁직 사건
5. 신한보험생명 촉탁직 사건
6. 서울미술고등학교 시간강사 사건
2. 연세대 언어교육연구원 한국어강사 사건
3. 연세대 어학당 일본어강사 사건
4. 한국수자원공사 촉탁직 사건
5. 신한보험생명 촉탁직 사건
6. 서울미술고등학교 시간강사 사건
본문내용
서울미술고등학교에서 계약직 교사로 있었던 자들이고, 1명은 2000년 채용되어 처음 재계약에서 탈락된 자였다.
2000년에 신규채용된 시간강사 1명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강사들은 항소심까지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으로 인정받았으나 신규 시간강사는 이전에 갱신된 사실이 없다는 이유로 항소심에서 해고로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에 대해 대법원은 ① 다른 강사들의 경우 별다른 하자가 없으면 재계약을 해왔던 점, ② 문제된 시간강사가 노조가입 외에는 갱신거절 사유가 없었던 점, ③ 학교가 노조와 단협으로 조합원에 대하여 2001년도의 수업을 보장하기로 한 점 등을 들어 학교와 신규강사는 계속 근무할 수 있다는 기대관계가 형성되었다고 해야하므로 기간의 정함이 형식에 불과하다고 볼 여지가 많다고 판단하였다.
2000년에 신규채용된 시간강사 1명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강사들은 항소심까지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으로 인정받았으나 신규 시간강사는 이전에 갱신된 사실이 없다는 이유로 항소심에서 해고로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에 대해 대법원은 ① 다른 강사들의 경우 별다른 하자가 없으면 재계약을 해왔던 점, ② 문제된 시간강사가 노조가입 외에는 갱신거절 사유가 없었던 점, ③ 학교가 노조와 단협으로 조합원에 대하여 2001년도의 수업을 보장하기로 한 점 등을 들어 학교와 신규강사는 계속 근무할 수 있다는 기대관계가 형성되었다고 해야하므로 기간의 정함이 형식에 불과하다고 볼 여지가 많다고 판단하였다.
추천자료
단체협약의 적용범위
비정규 근로자 와 사회복지
노동법판례평석(외국인근로자의 법적 지위)-2006다53627판결
법원판결사례분석(프로축구선수의 전속계약위반)
비정규직 근로자 고용에 대한 현실과 문제점에 대한 고찰
노동법 판례평석
[사내하청 근로자 파견] 사내하청 근로자 파견 문제로 인한 영향과 해결방안 PPT자료
비정규직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 고찰, 비정규직 근로자의 증가 원인, 비정규직 고용의 장단...
근로자파견법의 개요, 근로자파견법의 개정논의, 근로자파견법의 개악저지, 근로자파견법의 ...
업무위탁계약서
무역보험론(과제) - 선박 사고 사례
[법][신탁][부동산][증권]계약형 부동산신탁제도 법적 검토, 자사주금전신탁의 법적 성질, 신...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원주시를 중심...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적용의 현황과 그 개선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