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마취와 흡입마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신마취와 흡입마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신마취의 정의

2. 마취의 유지

3. 전신마취의 기전

4. 전신마취의 경과

5. 전신 마취제의 분류

6. 흡입마취의 개요

7. 흡입마취제의 투여

8. 흡입마취제의 섭취와 재분포

9. 흡입마취제의 섭취 및 분포

10. 흡입마취제의 주요 종류와 특징

11. 마취의 회복

본문내용

수는 대단히 차이 가 심하다. 분배계수가 큰 마취제는 동맥 혈중 마취제의 소실 속도가 비교적 빠르며 조직 혈류량은 역시 마취제 이행에 영향을 주어 혈류량의 증가는 마취제 이행을 빨리한다. 이산화탄소 흡입 시 호흡량은 많아지며 뇌혈관을 확장함으로써 혈류증가로 인해 마취제의 뇌이동이 빨라진다.
--- 흡입마취제의 종말 : 대부분의 흡입마취제는 호기를 통해 배설되며 이에 미치는 인자는 흡입때와 같다. 폐의 환기, 혈류량 및 조직에 대한 용해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취 중지 후 수분내에 깨어나지만 다시 장기간 수면 상태로 들어간다. 회복 시 산소호흡을 하면 뇌조직의 혈류량이 비교적 많아 빨리 배설되나 근육 특히 지방조직의 혈류량은 적어서 장시간동안 서서히 배설된다.
10. 흡입마취제의 주요 종류와 특징
1) Halothane(Fluothane)
a. 휘발성, 폭발성 없고 인화성도 없다.
b. 근육이완은 완전하지가 못하다. d-tubocurarine과의 병용은 금기이다.
c. 탄산과잉증으로 가끔 부정맥이 유발된다.
d. 심장박동 전도조직으로 하여금 catecholamines에 대해서 민감.
e. 반복 투여는 간의 종창을 유발하는 수가 있다.
2) Methoxyflurane
a. 비폭발성, 비인화성의 액체
b. 혈액/가스 분배계수: 13
c. 마취유도와 회복이 halothane보다 느리다.
d. 진통효과 및 골격근 이완 효과가 강력하다.
e. 자궁근 수축에는 자극이 없으므로 분만 시 사용된다.
f. 마취회복이 느리므로 대동물에는 부적합하다.
3) Ether(Diethyl ether)
a. 휘발성 액체,인화성이 높고,air와 mix시에는 폭발하기 쉽다.
b. 교감신경 중추를 흥분시켜 혈압을 높이고, 맥박을 빠르게 하고, 혈당을 증가시킨다.
c. 심근에 대한 직접적인 억압
d. 기관지선과 타액선의 분비는 증가, 호흡방해
e. 신경근육 연접부에서의 신경충동 전달을 차단한다.
4) Trichloroethylene
a. Nitrous oxide와 병용
b. 마취기의 제 3,4 단계에 있어서 호흡촉박을 일으킨다.
c. Dog,Cat,Pig 마취 시 사용
d. 밀폐통로가 딸린 마취장치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이유는 소다석회와 작용해서 유독물질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5) Nitrous oxide
a. 마취유도를 위해 다른 흡입마취제와 병용
b. 마취 유지하는 동안 보충제로 사용
c. 사용 시 마취용 가스혼합제의 산소농도가 적어도 20%이어야한다.
6) Carbon dioxide
a. pig의 도살 목적시에 고체형태의 dry-ice 증기에 노출시켜 마취.
7) Isoflurane
a. enflurane의 이성체, 비가연성
b. 마취유도, 회복이 다소 빠르고, 근육이완은 충분하고 약간의 진통효과도 있다.
c. 타액분비 증가, 호흡기점막 자극, 기침 및 후두 경련 유발할 수도 있다.
d. 호흡량은 감소하나 횟수는 증가한다.
e. 독성이 없고, 마취의 깊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epinephrine과 병용, 근육이완제의 효과를 증진시킨다.
f. 자극적 냄새, 점진적 호흡 억제 및 저혈압 유발, 자궁근 이완
11. 마취의 회복
수술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환축이 각성하는 상태로 환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 두반사나 인두반사가 회복하면 기도폐쇄나 위 내용물이 흡인되는 경우는 드문 일이나 환축을 조기 각성시키기 위하여 너무 마취를 얕게 하여서 최후의 피부 봉합이 이루어지기 전에 환축이 요동하면 좋지 않다. 이로 인하여 봉합창이 터지든지 환축을 억압함으로써 일어나는 합병증이나 부작용도 유발된다. 따라서 조용하고 신속한 마취유도가 바람직한 것처럼 마취의 회복도 동일한 조건이 요구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8.1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