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사 찬성과 반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고사 찬성과 반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의 선택과목의 수요도 제대로 충족시키기 힘든 여건에서 본고사까지 시행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현행 대학별 논술고사의 실태만 보더라도 본고사의 혼란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 현행 논술고사의 경우 주요 출제 내용이나 글자 수 한자혼용여부 등이 대학마다 천차만별이다. 또 수요가 상위권 학생들에게 한정되어 있어서 고교의 대학별 맞춤식 논술지도가 힘들어 어쩔 수 없이 학생들은 사교육에 논술교육을 의지하고 있는 형편이다. 본고사가 실시되면 전국의 200여개 대학에 맞춰 고교에서 학생들을 지도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사교육이 더욱 기승을 부릴 수밖에 없다.
우리 대학들은 인재를 잘 뽑으려는데 혈안이 되어 있지만 정작 그렇게 뽑은 학생들을 교육시켜 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는 좋은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외국 사립대학에 비해서 재정적으로 다소 열악하다고는 하지만 대한민국 최고의 학생들을 받아들이지만 세계 100위권 대학에도 들지 못한 서울대만 봐도 이를 잘 알 수 있다. 내신 위주로 평가하는 지역 균형 선발 전형 신입생이 수상 경력과 논구술 시험성적 위주로 평가하는 특기자 전형 신입생보다 자체 실시한 신입생 학력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인 점을 자랑하며 지역 균형 선발 전형의 성공을 자랑하던 서울대가 예전에 폐해를 일으켰던 본고사의 성격이 짙은 통합형 논술고사를 실시하기로 한 것은 아이러니다. 앞서 말한 개선들이 이루어진다면 기존의 내신, 수능도 그 진가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굳이 대학이 본고사 시험을 실시해서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을 가중시킬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 들게 한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8.17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4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