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반하 조휴 귀구 사간 옥잠근 봉선자
본문내용
사공독에 적중되어 창이 생기면 오선, 승마를 달여 복용하며 찌꺼기는 창위에 붙이면 효과가 있다.
治便毒,射干同生薑煎服,利兩三行效。
변독을 치료함에 사간을 생강과 함께 달여 복용하니 하리를 2,3번 시행하면 효과가 있다.
以其性善降,服之必瀉,虛人禁用。
약성이 잘 하강하며 복용하면 반드시 설사하니 허약자는 사용을 금지한다.
苗名鳶尾,根名鳶頭,又名東海鳶頭。
싹은 연미라고 이름하며 뿌리는 연두라고 이름하니 또한 해동연두라고 이름한다.
《千金》治蠱毒方用之。
천금방에는 고의 독을 치료하는 처방에 사용하였다.
玉簪根
옥잠근
白鶴花
옥잠근은 백학화이다.
苦辛溫,有毒。
옥잠근은 고미, 신미와 온기이며 독이 있다.
發明
발명
玉簪入骨軟堅,故能下骨,以根搗自然汁,於竹筒灌入喉,不可著牙齒。
옥잠은 뼈에 들어가 단단함을 연하게 하므로 뼈가시를 내려가게 하며 옥잠근을 찧은 자연즙을 대나무 통에 넣고 후두에 관주해 넣으면 치아가 붙지 않게 한다.
刮骨取牙,玉簪根乾者一錢、白砒三分、白七分、硼砂三分、威靈仙三分、草烏頭一分半爲末 ,點少許疼處自落。
뼈를 긁고 치아를 취하여 마른 옥잠근 4g, 백비1.2g, 백뇨 2.8g, 붕사 1.2g, 위령선 1.2g, 초오두 0.6g, 을 가루내어 조금을 동통이 있는 부위에 점적하면 스스로 탈락한다.
鳳仙子
봉선자
又名急性子
봉선자는 또한 급성자라고 이름한다.
苦溫,小毒。
봉선자는 고미와 온기로 약간 독이 있다.
發明
발명
鳳仙子性最急速,故能透骨軟堅、通竅搜頑痰,下死胎、積塊、膈、骨。
봉선자는 성질이 가장 급속하므로 뼈를 투과하며 단단함을 연하게 하며, 구멍을 통하며 완고한 담을 수색하며, 죽은 태아를 내리며, 적괴, 열격, 뼈가시를 치료한다.
治狂癡,勝金丹用之。
봉선자는 발광과 치매를 치료하니 승금단을 사용한다.
取其性急,領砒藥吐泄也。
성질이 급함을 취하니 비상약으로 하여금 토하고 설사하게 한다.
人煮肉硬者,投子數粒易爛,是其驗也。
요리사가 살이 단단함을 달이다 급성자 몇 알을 넣으니 곧 미란되니 징험이 되었다.
性與玉簪根同,不可著齒,多食戟人咽,入砒點疼牙落。
성질은 옥잠근과 같고 치아에 붙일 수 없으니 많이 먹으면 사람의 인두를 찌르게 하니 비상을 넣고 치아에 점복하면 곧 떨어진다.
同獨瓣蒜搗塗塊消,加麝香、阿魏尤捷。
봉선자를 독판산과 함께 찧어서 속 답답한 덩어리를 칠하면 소멸하니 사향, 아위를 더하면 더욱 민첩하다.
花治蛇傷,酒服之解。
봉선화는 뱀 물린데 치료하니 짓이겨 술로 복용하면 해독된다.
治便毒,射干同生薑煎服,利兩三行效。
변독을 치료함에 사간을 생강과 함께 달여 복용하니 하리를 2,3번 시행하면 효과가 있다.
以其性善降,服之必瀉,虛人禁用。
약성이 잘 하강하며 복용하면 반드시 설사하니 허약자는 사용을 금지한다.
苗名鳶尾,根名鳶頭,又名東海鳶頭。
싹은 연미라고 이름하며 뿌리는 연두라고 이름하니 또한 해동연두라고 이름한다.
《千金》治蠱毒方用之。
천금방에는 고의 독을 치료하는 처방에 사용하였다.
玉簪根
옥잠근
白鶴花
옥잠근은 백학화이다.
苦辛溫,有毒。
옥잠근은 고미, 신미와 온기이며 독이 있다.
發明
발명
玉簪入骨軟堅,故能下骨,以根搗自然汁,於竹筒灌入喉,不可著牙齒。
옥잠은 뼈에 들어가 단단함을 연하게 하므로 뼈가시를 내려가게 하며 옥잠근을 찧은 자연즙을 대나무 통에 넣고 후두에 관주해 넣으면 치아가 붙지 않게 한다.
刮骨取牙,玉簪根乾者一錢、白砒三分、白七分、硼砂三分、威靈仙三分、草烏頭一分半爲末 ,點少許疼處自落。
뼈를 긁고 치아를 취하여 마른 옥잠근 4g, 백비1.2g, 백뇨 2.8g, 붕사 1.2g, 위령선 1.2g, 초오두 0.6g, 을 가루내어 조금을 동통이 있는 부위에 점적하면 스스로 탈락한다.
鳳仙子
봉선자
又名急性子
봉선자는 또한 급성자라고 이름한다.
苦溫,小毒。
봉선자는 고미와 온기로 약간 독이 있다.
發明
발명
鳳仙子性最急速,故能透骨軟堅、通竅搜頑痰,下死胎、積塊、膈、骨。
봉선자는 성질이 가장 급속하므로 뼈를 투과하며 단단함을 연하게 하며, 구멍을 통하며 완고한 담을 수색하며, 죽은 태아를 내리며, 적괴, 열격, 뼈가시를 치료한다.
治狂癡,勝金丹用之。
봉선자는 발광과 치매를 치료하니 승금단을 사용한다.
取其性急,領砒藥吐泄也。
성질이 급함을 취하니 비상약으로 하여금 토하고 설사하게 한다.
人煮肉硬者,投子數粒易爛,是其驗也。
요리사가 살이 단단함을 달이다 급성자 몇 알을 넣으니 곧 미란되니 징험이 되었다.
性與玉簪根同,不可著齒,多食戟人咽,入砒點疼牙落。
성질은 옥잠근과 같고 치아에 붙일 수 없으니 많이 먹으면 사람의 인두를 찌르게 하니 비상을 넣고 치아에 점복하면 곧 떨어진다.
同獨瓣蒜搗塗塊消,加麝香、阿魏尤捷。
봉선자를 독판산과 함께 찧어서 속 답답한 덩어리를 칠하면 소멸하니 사향, 아위를 더하면 더욱 민첩하다.
花治蛇傷,酒服之解。
봉선화는 뱀 물린데 치료하니 짓이겨 술로 복용하면 해독된다.
추천자료
본경봉원 석고石膏 활석 적석지 노감석 무명이 석종유의 원문 및 한글번역
본경봉원 증청 녹청 편청 석담 여석 비석 몽석 화유석화예석
본경봉원 미함薇銜 하고초 유기노 선복화 청상 홍람화 연지 대계 소계
본경봉원 속단 누로 저마황마 호로파 악실 우방자 창이 천명정 학슬 희첨
본경봉원 얼룩조릿대 노근 감초 양하 마황 목적 석룡추
본경봉원 등심초燈心草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
본경봉원 우슬牛膝 자원 맥문동 훤초
본경봉원 담죽엽淡竹葉 동규자 촉규 추규자 용규 산장 패장초 관동화 불이초 결명자
본경봉원 지부자地膚子 구맥 왕불류행 정력 차전자 마편초 광명초 예장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