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다머][해석학]가다머의 해석학과 존재론, 가다머의 해석학과 텍스트의 이해, 가다머의 해석학적 언어관, 가다머의 해석학적 경험의 언어관, 가다머와 리꾀르의 해석학적 언어관, 가다머의 해석학 평가 분석(가다머, 해석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다머][해석학]가다머의 해석학과 존재론, 가다머의 해석학과 텍스트의 이해, 가다머의 해석학적 언어관, 가다머의 해석학적 경험의 언어관, 가다머와 리꾀르의 해석학적 언어관, 가다머의 해석학 평가 분석(가다머, 해석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가다머의 해석학과 존재론

Ⅲ. 가다머의 해석학과 텍스트의 이해

Ⅳ. 가다머의 해석학적 언어관

Ⅴ. 가다머의 해석학적 경험의 언어관

Ⅵ. 가다머와 리꾀르의 해석학적 언어관

Ⅶ. 가다머의 해석학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 예를들면 역사적 시간이란 달력의 시간을 통해 알 수 있다. 달력은 순간의 점인 지금과 살아있는 현재를 결합한다. 달력은 인간의 시간 표식이지만 우주적 시간 표식이기도 한다. 달력의 시간은 역사적 의식의 창조물, 예를 들면 역사서술에서의 칼렌더, 세대의 연속, 기록 문서실, 역사 기록 그리고 흔적 등을 포함한다. 과거와 우리와의 시간 간격은 죽은 중간 또는 죽은 사이가 아니라, 리꾀르에 따르면 의미창조적 전승이다. 즉 해석된 과거와 해석하는 현재 사이에 상호작용을 가능케하는 근거이다. 따라서 전통이란 이야기 담론 곧 역사적 담론이 자기 스스로처럼 그대로 이해될 (nachvollziehen) 때에야 비로소 이해되는 “이미 말해짐”(les choses deja dites)이다. 이미 말해짐의 의미는 이야기를 통해 구현된다. 다시 말하면 전통의 의미는 이야기를 통해 밝혀진다. 왜냐하면 시간 구조의 통일을 그 본성으로 하고 있는 이야기는 인간의 시간을 구성하고 재구성하므로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기 때문이다. 또한 왜냐하면 이미 말해짐으로서의 전통은 언어의 분절화 곧 이야기의 또 다른 속성 그 자체이기 때문에 이야기에 의한 과거에 대한 재서술과 그 재서술을 통한 새로운 의미를 재창조하기 때문이다.
Ⅶ. 가다머의 해석학 평가
베티와 가다머는 해석학에 대해서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한다. 베티는 해석의 대상의 자율성과 해석의 타당성을 보증할 역사적 객관성을 말한다. 반면, 가다머는 하이데거적 입장을 따라서, 해석학적 이해를 하나의 역사적 행위로 간주하여, 객관성운운하는 것은 지극히 소박한 태도라고 비난한다. 베티의 1962년 「정신과학의 일반적 방법론으로서의 해석학」에서 베티를 가다머를 ‘역사적 객관성의 적(敵)’으로 간주한다. 가다머에게 있어서는 해석은 방법론이 아니라 해석학이 된다. 하버마스와 가다머는 전통의 비판과 수용에 대한 논쟁을 벌인다. 하버마스의 1967년의 「사회과학의 논리」에서 가다머의 역사성 강조는 보수적인 경향이라고 비난, 가다머는 「수사학(修辭學), 해석학, 이데올로기 비판」에서 자신의 입장을 표명. 가다머와 베티, 그리고 가다머와 하버마스의 논쟁은 양자를 보완하는 성격을 지닌다. 하지만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과 데리다(Jacque Derrida,1930-)의 해체주의의 대립은 상극(相剋)의 논리이다. 가다머는 하이데거(M.Heidegger, 1890-1976)의 논의를 발전시켜, 해석을 방법론에서 철학적 해석학, 존재론적 해석학으로 정립시킨다. 데리다는 해석학적 타자(他者) 이해를 반대한다. 데리다와 가다머에게는 언어 또한 서로다른 해석이 내려진다. 가다머는 1960년의 「진리와 방법」에서 언어를 대화의 매체, 그리고 살아있는 유기체로 본다. 그에겐 플라톤적 대화가 철학적 대화의 모델이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대화자가 대화에 응해야만 대화가 성공한다. 데리디에겐 언어란 말해진 순간 산산히 부서진 기호이며 환원할 수 없는 것이다. 없음(不在)이 언어에 깊게 침투되어있다. 즉, 언어란 환원될 수 없는 모호함이며, 그 의미는 비결정적이다.
가다머와 데리다는 1981년 1월의 괴테 인스터튜트에서의 강연에서 처음으로 의견대립을 보인다. 가다머는 1985년 「파괴와 해체」, 1987년 「초기 낭만주의, 해석학, 해체주의」, 1988년 「해체와 해석학」을 발표한다. 데리다의 의견 “다양한 삶의 영역들을 하나의 통일된 체계속에 통일시킬 수 없다.”의 입장을 가다머가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데리다의 해체주의는 모든 것을 상대화시키고, 긍정적인 대안을 생산하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이 논쟁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이다. 포제(P.Forget)는 ‘있을 것 같지 않은 논쟁’, 킴멀레(Heinz KImmerle)는 ‘끝이 나지 않는 논쟁’, 달라이어(F.Dallmayr)는 데리다와 가다머의 논쟁이 지리멸렬(支離滅裂)한 것으로 평가했다.
참고문헌
리차드 E. 팔머, 이한우 역,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98
조셉 블라이허, 권순홍 역, 현대 해석학, 한마당, 1983
카이 하머마이스터, 임호일 역,한스-게오르크 가다머,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한스 게오르그 저, 데이비드 링게 역, 가다머 : 해석학적 문제의 보편성
한국해석학회, 해석학의 역사와 전망, 철학과 현실사, 1999
Warnke Georgia, 이한우 역, Gadamer: Hermeneutics, Tradition and Reason(가다머 : 해석학, 전통 그리고 이성), 민음사, 1999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8.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