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감귤(밀감, 귤)의 품종, 감귤(밀감, 귤)의 역사, 감귤(밀감, 귤)의 보관법, 감귤(밀감, 귤)의 효능, 감귤(밀감, 귤)재배 가온시기 결정, 감귤(밀감, 귤)산업과 감귤(밀감, 귤)시장, 감귤(밀감, 귤) 수급 전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감귤]감귤(밀감, 귤)의 품종, 감귤(밀감, 귤)의 역사, 감귤(밀감, 귤)의 보관법, 감귤(밀감, 귤)의 효능, 감귤(밀감, 귤)재배 가온시기 결정, 감귤(밀감, 귤)산업과 감귤(밀감, 귤)시장, 감귤(밀감, 귤) 수급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감귤(밀감, 귤)의 품종
1. 시트론(citron)
2. 레몬(lemon)
3. 문단류(文旦類)
4. 그레이프 프루트(grape fruit)
5. 광귤
6. 당귤나무
7. 유자(柚子)
8. 귤나무
9. 탱자나무
10. 금감(金柑)

Ⅱ. 감귤(밀감, 귤)의 역사

Ⅲ. 감귤(밀감, 귤)의 보관법

Ⅳ. 감귤(밀감, 귤)의 효능

Ⅴ. 감귤(밀감, 귤)재배의 가온시기 결정
1. 극조기 가온재배
2. 조기 가온재배
3. 보통 가온재배
4. 후기 가온재배
5. 극조생 보조가온재배

Ⅵ. 감귤(밀감, 귤)산업과 감귤(밀감, 귤)시장
1. 감귤의 과잉생산
2. 경영규모의 영세성
3. 유통부문의 문제점
1) 유통조직의 체계성 미흡
2) 품질관리체제의 미흡
3) 유통처리 인프라시설의 미흡
4) 관련조직 및 정책부재

Ⅶ. 감귤(밀감, 귤)의 수급 전망
1. 감귤류의 국제수급과 교역여건 전망
2. 국내 수급 동향
3. 수급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자를 고수하고 있어 규격화가 미흡한 실정이다.
3) 유통처리 인프라시설의 미흡
저급품의 시장차단을 위한 가공시설 등 유통 인프라가 부족하고 계통 출하의 비율이 아직도 낮아서 출하조절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4) 관련조직 및 정책부재
감귤 관련기관, 단체, 농가간의 기능적 역할 분담이 안되어 감귤 정책의 효율성 저하 및 행정에 대한 지나친 의존의식이 팽배해 있으며 감귤관련 시책의심의 및 자문을 위한 통합된 조직이 없어 각 위원회간 조직갈등 및 공감해 형성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감귤관련기금 및 기관이 많이 있으나 실제로는 감귤류 수입판매기금 및 감귤 진흥기금만이 조성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그외의 기금은 운영이 되지 않고 있다.
Ⅶ. 감귤(밀감, 귤)의 수급 전망
1. 감귤류의 국제수급과 교역여건 전망
오렌지 등 시트러스 계통 과실생산은 최고풍작을 기록한 전년보다 8% 감소한 6,640만톤으로 추정된다. 미국의 오렌지 생산은 냉해피해로 전년대비 28% 감소한 900만톤에 달하였다. 신선 감귤류와 가공용 감귤류 소비는 각각 6%, 9% 감소하였으며, 수출은 미국과 스페인의 오렌지와 탄제린 물량감소로 감소하였다.
일본의 오렌지 수입량은 전년동기 대비 6% 감소한 14만 2천톤이었으며, 자몽은 25만톤이었다. 우리나라 감귤은 캐나다 수출을 시작으로 수출물량이 증가하여 3,184톤에서 6,037톤에 달하였다. 수출량은 약 6,200톤으로 추정되는데 캐나다가 약 80%를 차지하였다. 오렌지는 미국 캘리포니아지역의 냉해 피해로 가격이 크게 상승하여 연말까지 1만톤 내외의 추가 수입되어도 의무수입량인 3만 2천톤을 채우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처음으로 남아공에서 900톤의 오렌지가 수입되었다.
감귤은 완전 개방되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될 가능성은 있지만, 검역문제와 UR합의에 따른 144155%의 고율관세로 수입이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2. 국내 수급 동향
감귤의 재배면적은 연평균 3.5% 가 증가하였다. 단수는 해거리가 심했던해를 제외하고 평균 2,500kg/10a를 유지하였다.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500ha 증가한 2만 6,300ha로 추정되며, 생산은 해거리 다음해로 70만톤 이상의 풍작을 예상했으나 열매솎기운동이 효과를 거두어 60만톤 수준으로 하향 조정되었다. 감귤의 가격은 수확기 홍수출하와 봄과 여름철 과채류 출하증가에 따른 노지감귤의 수요감소로 전년대비 14% 하락하였다. 잦은 강우에 따른 품질저하로 수요가 감퇴하여 가격은 전년보다 10% 정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3. 수급 전망
재배면적은 500600ha 정도 감소가 예상되고, 생산량은 해거리가 발생하는 해로서 55만톤 수준으로 감소가 전망된다. 감귤은 경합품목인 사과, 배, 단감 및 시설과채류 등의 공급이 향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향후 생산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가격상승은 크게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1인당 소비량은 10kg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WTO 가입으로 중국산 감귤류 수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참고문헌
* 김상현(2002), 미국 2002년 농업법 제정 동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강성구·장미정·김용두(2006), 유자의 향미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건강 다이제스트, 약이 되는 음식, 체질에 맞는 음식
* 나란진, 무기물 함량의 변화, KOREAN J, FOOD SCI, TECHNOL
* 송은영·최영훈·강경희·고정삼(1998), 제주산 감귤류의 숙기에 따른 유리당, 유기산, 헤스페리딘
* 제주도 농민교육원(1989), 감귤재배
* 한해룡 외, 감귤의 품질향상 및 수출유망작목 개발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 정책관리연구소

키워드

감귤,   밀감,   ,   감귤산업,   감귤재배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8.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8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