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1. 시각자극이 청각정보와 주어진 경우와 청각정보만 주어진 경우에 단어 기억 능력 측정
방법
결과 및 논의
실험에 대한 비판 및 반성
종합논의
방법
결과 및 논의
실험에 대한 비판 및 반성
종합논의
본문내용
저히 떨어지는 현상이 목격되었고, 그 때문에 부득이하게 검사 횟수를 2번으로 줄이게 되었다. 예상치 못했던 반응이어서 이에 대한 준비가 미흡했던 점도 아쉬웠다.
종합논의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정보가 주어질 경우에 청각정보 하나에 의존할 경우보다 더 단어의 기억량이 증가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실험 참가자들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통제집단에는 청각 정보만, 실험집단에는 청각정보와 시각정보(발음하는 입모양)을 제시하고 단어를 기억하는 만큼 보고하도록 함으로써 단어의 기억 정도를 측정하였다.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에서 단어의 재생확률이 높게 나타난다면, 이는 단순히 청각정보만 제시한 경우보다 시각정보까지 주어질 경우에, 사용하는 감각기관 수가 늘어나 단어라는 자극을 더 잘 받아들일 수 있게 됨을 시사한다. 실험 참가자들은 시각정보가 주어진 경우에 단어 재생확률이 더 높았는데, 이는 우리의 가설과 일치하게 시각정보가 추가될 경우, 단어 기억 확률이 증가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왜 청각정보만 주어졌을 때보다 시각정보가 함께 주어졌을 때 단어 기억 확률이 높아지는 것일까? J.J.Gibson의 주장처럼 인간의 대상에 대한 탐구가 더 많은 감각기관을 사용하여 대상을 지각하려 할 때, 능동적이기 때문에 대상에 대한 인식, 기억이 높아진다고 말하는 것은 실험결과에 대한 하나의 설명일 수 있다. 하지만 단어에 대한 기억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청각정보 외에 다른 정보가 주어지면 과연 항상 기억 재생확률이 높아질까라는 의문이 생기기도 하다. 본 연구의 경우엔 시각정보가 기억 수행에 향상을 가져왔지만, 시각정보가 오히려 청각자극에 간섭을 일으켜 수행의 저하를 가져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시각정보 가 아닌 촉각, 후각등 다른 감각정보가 함께 주어질 경우 청극자극에 정적 혹은 부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추후 연구를 통해 청각자극에 시각정보가 항상 기억 재생확률의 향상을 가져오는지, 또 따른 감각정보가 추가 될 경우에 향상 또는 간섭이 생길 수도 있냐는 점을 연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Gibson, J. J., 'Observations on Active Touch', Psychological Review, 69, 1962, pp. 477-91.
Gibson, J. J., The Senses Considered as Perceptual Systems, Boston, 1966.
종합논의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정보가 주어질 경우에 청각정보 하나에 의존할 경우보다 더 단어의 기억량이 증가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실험 참가자들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통제집단에는 청각 정보만, 실험집단에는 청각정보와 시각정보(발음하는 입모양)을 제시하고 단어를 기억하는 만큼 보고하도록 함으로써 단어의 기억 정도를 측정하였다.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에서 단어의 재생확률이 높게 나타난다면, 이는 단순히 청각정보만 제시한 경우보다 시각정보까지 주어질 경우에, 사용하는 감각기관 수가 늘어나 단어라는 자극을 더 잘 받아들일 수 있게 됨을 시사한다. 실험 참가자들은 시각정보가 주어진 경우에 단어 재생확률이 더 높았는데, 이는 우리의 가설과 일치하게 시각정보가 추가될 경우, 단어 기억 확률이 증가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왜 청각정보만 주어졌을 때보다 시각정보가 함께 주어졌을 때 단어 기억 확률이 높아지는 것일까? J.J.Gibson의 주장처럼 인간의 대상에 대한 탐구가 더 많은 감각기관을 사용하여 대상을 지각하려 할 때, 능동적이기 때문에 대상에 대한 인식, 기억이 높아진다고 말하는 것은 실험결과에 대한 하나의 설명일 수 있다. 하지만 단어에 대한 기억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청각정보 외에 다른 정보가 주어지면 과연 항상 기억 재생확률이 높아질까라는 의문이 생기기도 하다. 본 연구의 경우엔 시각정보가 기억 수행에 향상을 가져왔지만, 시각정보가 오히려 청각자극에 간섭을 일으켜 수행의 저하를 가져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시각정보 가 아닌 촉각, 후각등 다른 감각정보가 함께 주어질 경우 청극자극에 정적 혹은 부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추후 연구를 통해 청각자극에 시각정보가 항상 기억 재생확률의 향상을 가져오는지, 또 따른 감각정보가 추가 될 경우에 향상 또는 간섭이 생길 수도 있냐는 점을 연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Gibson, J. J., 'Observations on Active Touch', Psychological Review, 69, 1962, pp. 477-91.
Gibson, J. J., The Senses Considered as Perceptual Systems, Boston, 196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