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男有十克之格 12건형처 색통득실 병난곤영 고대성인이 곤란함을 만났을때 상 보행으로 빈부귀천 논의 앉음으로 빈부귀천 논의 누음으로 빈부귀천 논의 음식으로 빈부귀천논의
본문내용
緩,此皆貴人之相。
앉음이 마치 어깨처럼 둥글고 뒷목처럼 바르고 몸이 평평하면서 일어나서 앉음이 천천히이면 이는 모두 귀인의 상이다.
詩曰:坐若丘山穩且平,爲人忠孝立功勳.
시에서 말하길 앉음이 언덕과 산과 같고 안온하면서 또한 평정되면 사람이 충성스럽고 효성이 곧 공훈을 세울 것이다.
皆是頭搖足動,頑愚下賤不須論。
모두 머리를 흔들고 발을 떨면 완고하고 어리석은 하천함을 논의할 필요도 없다.
論臥富貴貧賤
누울때로 부귀빈천을 논의함
解曰: 臥乃寐之安,不可不穩。
해석에서 말하길 누움은 잠의 편안함이니 안온하지 않을 수 없다.
凡臥如龍之盤,如犬之曲,乃貴人之相。
누움이 용이 서린 듯하며 개가 굽힌 듯하면 귀인의 상이다.
凡睡將手抱頭者,善明詞訟。
잠을 잠에 손으로 머리를 싸면 잘 송사를 분명히 한다.
長長手,爲停屍睡,大不好也。
다리를 길게 하며 손을 길게 하면 정지된 시체의 잠이니 크게 좋지 않다.
睡長夢自言自語者,乃狂詐之徒。
잠이 긴 꿈을 꾸며 스스로 말을 하면 미치고 속이는 무리이다.
書 云:“只因夢裏多狂語,每向人前狂語多。”
책에서 말하길 다만 꿈안에서 미친 말이 많으니 매번 사람을 향하여 미친 말이 많다.
凡睡將背朝天者,主餓死。
잠잘 때 등이 하늘을 향하면 주로 굶어죽는다.
睡中搖足者,乃上等人之相。
잠잘 때 다리를 흔들면 상등의 사람의 관상이다.
睡起 起(일어날 기; -총10획; q)는 원문에는 啓口로 되어 있다.
者,主夭。
잠자면서 입을 벌리면 주로 요절한다.
不閉眼者,惡死。
눈을 감지 못하고 자면 나쁘게 죽는다.
又云,睡夢狂言奸詐,詐言詐人,開眼張口必遭刑。
또 말하길 잠잘 때 꿈에 발광의 말과 간사하면 사기의 말로 사람을 속이니 눈을 뜨고 입을 벌리면 반드시 형벌을 만날 것이다.
論食富貴貧賤
먹는 것으로 부귀빈천을 논의함
解曰:食乃一身之主,豈無相法?
해석에서 말하길 음식은 한 몸을 주관하니 상법이 없겠는가?
凡食欲開大合小,速進食者爲妙。
음식은 벌림이 크고 작게 다물고 빨리 먹는 것이 좋다.
食鼠餐不足道也。
원숭이처럼 먹고 쥐처럼 밥먹으면 도가 있기 부족하다.
食多咽, 必主流徒。
음식이 많이 목에 걸리면 반드시 유형을 가는 무리이다.
(멍할, 핥다 탑; -총13획; ta,da)
嘴如者,難免凶死。
돼지처럼 주둥이를 흉하게 핥으면 죽음을 면치 못한다.
項生 生(날 생; -총5획; sheng)은 원문에는 伸(펼 신; -총7획; shen)으로 되어 있다.
如馬者,一世辛勤。
뒷목에서 말처럼 펴면 일생이 고생한다.
앉음이 마치 어깨처럼 둥글고 뒷목처럼 바르고 몸이 평평하면서 일어나서 앉음이 천천히이면 이는 모두 귀인의 상이다.
詩曰:坐若丘山穩且平,爲人忠孝立功勳.
시에서 말하길 앉음이 언덕과 산과 같고 안온하면서 또한 평정되면 사람이 충성스럽고 효성이 곧 공훈을 세울 것이다.
皆是頭搖足動,頑愚下賤不須論。
모두 머리를 흔들고 발을 떨면 완고하고 어리석은 하천함을 논의할 필요도 없다.
論臥富貴貧賤
누울때로 부귀빈천을 논의함
解曰: 臥乃寐之安,不可不穩。
해석에서 말하길 누움은 잠의 편안함이니 안온하지 않을 수 없다.
凡臥如龍之盤,如犬之曲,乃貴人之相。
누움이 용이 서린 듯하며 개가 굽힌 듯하면 귀인의 상이다.
凡睡將手抱頭者,善明詞訟。
잠을 잠에 손으로 머리를 싸면 잘 송사를 분명히 한다.
長長手,爲停屍睡,大不好也。
다리를 길게 하며 손을 길게 하면 정지된 시체의 잠이니 크게 좋지 않다.
睡長夢自言自語者,乃狂詐之徒。
잠이 긴 꿈을 꾸며 스스로 말을 하면 미치고 속이는 무리이다.
書 云:“只因夢裏多狂語,每向人前狂語多。”
책에서 말하길 다만 꿈안에서 미친 말이 많으니 매번 사람을 향하여 미친 말이 많다.
凡睡將背朝天者,主餓死。
잠잘 때 등이 하늘을 향하면 주로 굶어죽는다.
睡中搖足者,乃上等人之相。
잠잘 때 다리를 흔들면 상등의 사람의 관상이다.
睡起 起(일어날 기; -총10획; q)는 원문에는 啓口로 되어 있다.
者,主夭。
잠자면서 입을 벌리면 주로 요절한다.
不閉眼者,惡死。
눈을 감지 못하고 자면 나쁘게 죽는다.
又云,睡夢狂言奸詐,詐言詐人,開眼張口必遭刑。
또 말하길 잠잘 때 꿈에 발광의 말과 간사하면 사기의 말로 사람을 속이니 눈을 뜨고 입을 벌리면 반드시 형벌을 만날 것이다.
論食富貴貧賤
먹는 것으로 부귀빈천을 논의함
解曰:食乃一身之主,豈無相法?
해석에서 말하길 음식은 한 몸을 주관하니 상법이 없겠는가?
凡食欲開大合小,速進食者爲妙。
음식은 벌림이 크고 작게 다물고 빨리 먹는 것이 좋다.
食鼠餐不足道也。
원숭이처럼 먹고 쥐처럼 밥먹으면 도가 있기 부족하다.
食多咽, 必主流徒。
음식이 많이 목에 걸리면 반드시 유형을 가는 무리이다.
(멍할, 핥다 탑; -총13획; ta,da)
嘴如者,難免凶死。
돼지처럼 주둥이를 흉하게 핥으면 죽음을 면치 못한다.
項生 生(날 생; -총5획; sheng)은 원문에는 伸(펼 신; -총7획; shen)으로 되어 있다.
如馬者,一世辛勤。
뒷목에서 말처럼 펴면 일생이 고생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