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전편 相說관상학설 10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상전편 相說관상학설 10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相說
상설


十觀
10관

본문내용

지 않으면 마음에 의심과 생각이 있음이다.
眼視斜, 而口是心非,益己害人,言不可聽;
눈을 비스듬히 보면 마음이 바르지 않다고 말할수 있고, 자기에게 이익되며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니 말을 들을 수 없다.
眼正視,其人中正,入 入(들 입; -총2획; ru)는 원문에는 無(없을 무; -총12획; wu,mo)로 되어 있다.
黨無偏.
눈을 바로 보면 사람이 중용이 있고 바르니 당에 들어가도 치우침이 없다.
眼惡心必惡,眼善心必慈.
눈이 나쁘면 마음이 반드시 나쁘며 눈이 착하면 마음이 반드시 자애롭다.
有陰 (수말, 말을 부리다, 오르다 즐; -총20획; zhi)
者,或救人難厄,或救人危險,濟人貧窮,救人性命,不淫不亂,財寬量大容物。
음덕이 있으며 혹은 다른사람의 난액을 구제하며 혹은 다른 사람의 위험을 구하며 다른 사람의 곤궁함을 구제하며 다른 사람의 성명을 구하며 음란하지 않으면 재산이 넓고 물건을 용납할 수 있다.
人俱有紫黃容, 紅氣色, 發見於眼下 臥蠶之宮, 印堂福堂之住 住(살 주; -총7획; zhu)는 원문에는 位(자리 위; -총7획; wei)로 되어 있다.

사람이 모두 자색 황색의 얼굴이며 홍색기가 있으면서 눈아래 와잠의 궁에 발현하면 인당은 복이 사는 집이 된다.
縱相貌不如其心田好, 終有富貴.
비록 모습을 봄이 심전이 좋음만 못하니 종내 부귀하게 된다.
若相貌堂堂,心事奸險,縱然富貴,不日貧窮。
만약 모습의 관상이 당당하며 마음과 일이 간사하고 음험하면 비록 부귀하나 하루가 안되어 빈궁하게 된다.
書云未觀相貌, 先看心田.
책에서 말하길 모습을 관상을 보지 말고 먼저 마음밭을 보아라.
有相無心, 相從心滅;
관상이 좋고 마음이 없으면 관상은 마음을 따라서 없어진다.
有心無相, 相從心生.
마음이 좋고 관상이 없으면 관상은 마음을 따라서 생긴다.
昔裴度還帶,宋郊渡蟻,廉頗扶危, 救人過渡,各千金不受,本是不貴之相,後反大貴而陰扶之。
배휴가 남이 흘린 대를 돌려줌이며, 송교가 개미를 물건너가게 하며, 염파가 위태로움을 붙들어 다른 사람을 구제함에 각자 천금도 받지 않았으나 본래 그들은 귀하지 않은 관상이나 뒤에 반대로 크게 귀하여 음즐[음덕]로 도움이다.
聲音宜響亮,出自丹田,臍下一寸是也。
음성은 울리고 밝아야 하니 단전에서부터 나와야 하니 그곳은 배꼽 아래의 1촌이다.
聲響如雷灌耳,或如銅鐘玉韻,或如甕中之聲,或如銅 (징, 동발 라{나}; -총27획; luo)
銅鼓,或如金聲,或聲長尾大如鼓之響,俱要潤.
음성의 울림이 우레가 귀에 붓듯하며 혹은 구리종과 옥이 울리듯하며, 혹은 독안에서 음성과 같고, 혹은 구리징과 구리북과 같고, 혹은 쇠소리와 같고 혹은 북이 울리듯이 소리가 길고 꼬리가 크면 모두 맑고 윤택해야 한다.
縱相貌不如,亦主富貴。
비록 모습을 봄만 못하나 또한 주로 부유하며 귀하다.
或人小聲大,人大聲雄,俱要深遠,丹田所出,此富貴綿遠之相也。
혹은 사람이 작고 목소리가 크면 사람이 크고 목소리가 웅장하면 모두 깊고 멀으며 단전에서 나옴이니 이는 부귀가 멀리 이어지는 상이다.
夭折貧賤之人,聲輕聲,聲浮聲散,聲低聲小,或如破破鼓,語音焦枯,聲大尾焦,聲雄不圓。
요절하고 빈천한 사람은 목소리가 가볍고 목멘듯하며 목소리가 뜨며 소리가 흩어지며 소리가 낮으며 소리가 작으며 혹은 깨진 징이나 깨진 북과 같고 음성이 타고 마르며 목소리가 크나 꼬리가 타니 목소리가 웅장하나 둥글지 않다.
書云,富貴之聲出於丹田,夭賤之人,聲出舌端.
책에서 말하길 부귀한 소리는 단전에서 나오며 요절하고 천한 사람은 목소리가 혀끝에서 나온다.
或有餘韻,縱焦枯烈,早年虛耗,主發達矣。
혹은 목소리에 여운이 있으면 비록 타고 말라 맹렬하나 초년에 허약하고 소모하나 만년에는 주로 발달하게 된다.
訣曰:言未而色先變,話未盡而氣先,俱夭賤之人。
비결에서 말하길 목소리가 들리지 않고 색이 먼저 변하니 말이 미진하나 기가 먼저 끊어지면 모두 요절하고 천한 사람이다.
觀聲音,知爲相之根本,觀陰陽,知爲相之元神.
음성을 보면 상의 근본을 앎이니 음양을 보면 상의 원신을 알 수 있다.
形貌莫外乎聲音,陰部位不好,有此相者,競許富貴.
형체 모습은 음성을 벗어나지 않으니 음덕의 부위가 좋지 않으나 이 상이 있으면 경쟁하듯이 부귀하게 된다.
但聲音響亮者, 雖貧終能發達,不必狐疑。
단지 음성이 울리고 밝으면 비록 가난하나 마침내 발달하게 되며 반드시 고독하지 않음을 의심치 말라.
 十觀形局與五行.
10관의 형국과 5행
形局者:乃人一身之大關也.
형국이란 사람 한 몸의 큰 관건이다.
或如龍形、虎形、鶴形、獅形、孔雀形、形、牛形、形、豹形、象形、鳳形、鴛鴦、鷺 (해오라기 사; -총23획; s)
、駱駝、黃鵬、練雀等形,此富貴形相;
혹은 용의 형국, 호랑이 형국, 학 형국, 사자 형국, 공작 형국, 황새형국, 소형국, 원숭이 형국, 표범형국, 코끼리형국, 봉황형국, 원앙형국, 해오라기, 낙타, 황색붕, 연작등의 형체이면 이는 부귀한 형상이다.
或形、狗形、羊形、馬形、鹿形、鴉 鴉(갈까마귀 아; -총15획; ya)
形、鼠形、狐狸形,此兇暴貧薄天折之相也。
혹은 돼지형상, 개형상, 양형상, 말형상, 사슴형상, 갈까마귀 형상, 쥐형국, 여우 승냥이 형국은 이는 흉포하며 빈천하며 엷고 요절하는 상이다.
五行者:金、木、水、火、土也.
5행은 금, 목, 수, 화, 토이다.
書云:“金得金, 剛毅深,木得木, 資財足,水得水, 文章貴,火得火, 見機果,土得土, 厚庫.”
책에서 말하길 금이 금을 얻으면 강하며 굳셈이 깊고, 목이 목을 얻으면 재물이 풍족하며, 수가 수를 얻으면 문장이 귀하며, 화가 화를 얻으면 기과가 나타나며, 토가 토를 얻으면 창고를 두텁고 풍부하게 된다.
金形白色喜白,木形瘦喜,水喜肥黑,火不嫌尖宜赤色,土喜厚兮色宜黃.
금형국이 백색이면 백색이 좋고, 목형국이 마르면서 푸름이 좋고, 수형국은 살찌고 검어야 좋고, 화는 뾰족함을 싫어하지 않으나 적색이어야 하며, 토는 두터우며 색은 황색이어야 한다.
此五形正局也。
이는 5행의 바른 형국이다.
合此者富貴福壽,反此者貧賤夭折.
이에 합치하면 부귀, 복, 장수하며 이에 상반하면 빈천하며 요절한다.
但學者憑五行兼骨格,推斷.
단지 학자는 오행과 골격을 겸하여 의지하며 추론하여 판단한다.
相法多端, 理居總斷。
상법은 많이 실마리가 있으니 이치는 총괄한 판단에 근거한다.
  • 가격4,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9.11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2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