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악전서 맥신장 상한전의 경의 상한총명 초진상한법 논맥의 원문 및 번역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악전서 맥신장 상한전의 경의 상한총명 초진상한법 논맥의 원문 및 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맥신장

태소가채지구

태소대요

상한전

경의

상한총명

초진상한법

논맥의

본문내용

u)], 據<註解傷寒論 平脈法>改.
영혈이 뿌리가 되며 위기가 지엽이 되니 영위가 다 미약하면 뿌리와 잎이 말라서 오한전률하고, 해수상역하고, 비린내를 내뱉고, 침을 토한다.
論曰: 緊脈은 從何而來요?
논왈 긴맥은 종하이래요?
상한론에 말하길 긴맥은 어디를 따라서 오는가?
曰: 假令亡汗에 若吐이면 以肺裏寒 故로 令脈緊也라.
왈 가령망한에 약토이면 이폐리한 고로 령맥긴야라.
말하길 가령 땀이 망령되게 나는데 만약 구토하면 폐 속이 차므로 긴맥이 된다.
假令者가 坐飮冷水 故로 令脈緊也라.
가령해자가 좌음냉수 고로 령맥긴야라.
坐: 因也, 爲也. <漢書 賈誼傳> [古者大臣, 有坐不廉而廢者.]
가령 해수가 찬 물을 마심으로 인하므로 긴맥이 된다.
假令下利는 以胃中虛冷 故로 令脈緊也라.
가령하리는 이위중허랭 고로 령맥긴야라.
가령 하리는 위 속이 허랭하므로 긴맥이 된다.
按此言緊者는 卽弦搏하고 不軟之謂라.
안차언긴자는 즉현박하고 불연지위라.
이것을 살펴보면 긴맥을 말함은 곧 현맥이며 박동하는 맥이고 연약하지 않음을 말함이다.
蓋單言其緊 而無滑數之意니 乃陽明胃氣受傷之脈 故로 主爲陰寒之證이라.
개단언기긴 이무활삭지의니 내양명위기수상지맥 고로 주위음한지증이라.
대개 홀로 맥이 긴하다고 말함은 활맥 삭맥의 뜻이 없으므로 양명 위기가 손상을 받은 맥이므로 주로 음한의 증상이 된다.
若緊而兼數이면 則必以外邪所致라.
약긴이겸삭이면 즉필이외사소치라.
만약 긴맥이면서 삭맥을 겸하면 반드시 외사가 이른 것이다.
愚按: 浮爲在表하고 沈爲在裏하니 此古今相傳之法也라.
우안 부위재표하고 침위재리하니 차고금상전지법야라.
내가 살펴보건대 부맥은 표증이되고, 침맥은 리증이 되니 이는 고금에 서로 전수하는 방법이다.
然沈脈에도 亦有表證 此陰實陽虛하야 寒勝者然也라.
연침맥에도 역유표증 차음실양허하야 한승자연야라.
그러나 침맥에도 또한 표증이 있으니 이는 음이 충실하고 양이 허약하여 한기가 이기기 때문이다.
浮脈亦有裏證이니 此陽實陰虛하야 水虧者然也라.
부맥역유리증이니 차양실음허하야 수휴자연야라.
부맥은 또한 이증이 있으니 이는 양이 충실하고 음이 허하고 수기가 휴손되었기 때문이다.
故凡欲察表邪者는 不宜單據浮沈이며 只當以緊數與否로 爲辨이 方爲的確이니라.
고범욕찰표사자는 불의단거부침이며 지당이긴삭여부로 위변이 방위적확이니라.
그러므로 표사를 관찰하고자 하는 사람은 홀로 부맥 침맥으로 의거함이 마땅치 않고 다만 마땅히 긴맥과 삭맥의 여부로 변별함이 바로 적확하게 된다.
蓋寒邪가 在表이면 脈皆緊數이니 緊數이 甚者는 邪亦甚이며 緊數이 微者는 邪亦微라.
개한사가 재표이면 맥개긴삭이니 긴삭이 심자는 사역심이며 긴삭이 미자는 사역미라.
한사가 표부에 있으면 맥이 모두 긴삭맥이 되니, 긴삭맥이 심하면 사기 또한 심하고 긴삭맥이 미약한 사람은 사기 또한 미약하다.
緊數浮洪有力者는 邪在陽分이니 卽陽證也라.
긴 삭 부 홍 유력자는 사재양분이니 즉양증야라.
긴맥, 삭맥, 부맥, 홍맥이면서 힘이 있는 환자는 사기가 양분에 있음이니 곧 양의 증상이다.
緊數浮沈無力者는 邪在陰分이니 卽陰證也라.
긴삭부침무력자는 사재음분이니 즉음증야라.
긴맥 삭맥 부맥 침맥이면서 힘이 없는 환자는 사기가 음분에 있으니 곧 음의 증상이다.
以緊數之脈에 而兼見表證者는 其爲外感無疑니 卽當治從解散이라.
이긴삭지맥에 이겸현표증자는 기위외감무의니 즉당치종해산이라.
긴삭의 맥에 겸해서 표증이 나타나는 사람은 외감으로 여김에 의심이 없으니 마땅히 치료는 해표발산을 따라야 한다.
然이나 內傷之脈에도 亦有緊數者하니 但內傷之緊은 其來가 有漸이요.
연이나 내상지맥에도 역유긴삭자하니 단내상지긴은 기래가 유점이요.
그러나 내상의 맥에도 또한 긴삭맥이 있으니 다만 내상의 긴맥은 그 옴이 점차적이다.
外感之緊은 發於然이라.
외감지긴은 발어두연이라.
(험할, 높이 솟다, 갑자기 두; 阜-총10획; dou)
외감의 긴맥은 갑자기 발생한다.
以此로 辨之함이 最爲切當이라.
이차로 변지함이 최위적당이라.
이로써 변별함이 가장 적절 의당하다.
其有似緊非緊하며 但較之平昔하야 稍見滑疾而不甚者는 亦有外感之證이니라.
기유사긴비긴하며 단교지평석하야 초현활질이불심자는 역유외감지증이니라.
그것이 긴맥과 유사하나 긴맥은 아니며 다만 평소 옛날과 비교하여 조금 활질맥이 나타나나 심하지 않으면 또한 외감의 증상이 있다.
此其邪之輕者나 或以初感而未甚者에 亦多見此脈이라.
차기사지경자나 혹이초감이미심자에 역다현차맥이라.
이는 그 사기가 가벼우나 혹은 조금 감촉하여도 심하지 않으면 또한 이런 맥이 많이 나타난다.
是又不可不兼證而察之也라.
시우불가불겸증이찰지야라.
이는 또한 증상과 겸하여 관찰하지 않을 수 없다.
若其和緩而全無緊疾之意면 則脈雖浮大라도 自非外邪之證이라.
약기화완이전무긴질지의면 즉맥수부대라도 자비외사지증이라.
만약 맥이 화완하여 전부 긴맥이면서 빠른 맥의 뜻이 없으면 맥이 비록 부대맥이라도 스스로 외사의 증상이 아니다.
按陶節菴曰: 夫脈浮는 當汗하고 脈沈은 當下가 固其宜也라.
안도절암왈 부맥부는 당한하고 맥침은 당하가 고기의야라.
도절암을 살펴 말하면 부맥은 발한이 마땅하고 침맥은 사하가 마땅하니 진실로 그 뜻이 있다.
然其脈이 雖浮라도 亦有可下者하니 謂邪熱이 入腑하야 大便難也라.
연기맥이 수부라도 역유가하자하니 위사열이 입부하야 대변난야라.
그러나 그 맥이 비록 부맥이더라도 또한 사하할 사람이 있으니, 사열이 6부로 들어가 대변보기가 곤란해짐을 말함이다.
設使大便이 不難이면 豈敢下乎리오?
설사대변이 불난이면 기감하호리오?
설혹 대변 보기가 어렵지 않으면 어찌 감히 사하하겠는가?
其脈雖沈이라도 亦有可汗者하니 謂少陰病에 身有熱也라.
기맥수침이라도 역유가한자하니 위소음병에 신유열야라.
그 맥이 비록 침맥이라도 또한 발한할 수 있으니 소음병에 몸에 열이 있다고 하였다.
設使身不發熱이면 豈敢汗乎리오?
설사 신불발열이면 기감한호리오?
설사 몸에 발열이 없으면 어찌 감히 발한하겠는가?
若此之說에 可見은 沈에도 有表하고 而浮에도 亦有裏也라.
약차지설에 가견은 침에도 유표하고 이부에도 역유리야라.
이른 학설에서 볼 것은 침맥에도 표증이 있고, 부맥에도 또한 이증이 있음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1.02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9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