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 據<註解傷寒論 平脈法>改.
영혈이 뿌리가 되며 위기가 지엽이 되니 영위가 다 미약하면 뿌리와 잎이 말라서 오한전률하고, 해수상역하고, 비린내를 내뱉고, 침을 토한다.
論曰: 緊脈은 從何而來요?
논왈 긴맥은 종하이래요?
상한론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잡병에서도 이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경악전서(景岳全書)』 「구설(口舌)」에서는 “근심을 많이 하고 과로하며 색욕이 지나친 경우는 대부분 입이 쓰고 혀가 마르며 입맛이 없는 증상이 나타난다. 그 이유는 심비(心脾)에 있지 않으면 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6.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록, 인민위생출판사, 1983년.
6. 臟腑辨證論治, 김완희, 성보사,1996년. 서론
본론
I. 두통의 한의학적인 개요
두부의 생리기능
역대문헌
1. 내경과 상한론
2. 의종손익
3. 단계심법
4. 의학준승육요
5. 경악전서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5.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혹은 황기건중탕과 당귀사역탕 속에서 가미한다.
尙當於雜病의 腰痛에 參看이니라.
상당어잡병의 요통에 참간이니라.
혹시 잡병의 요통에서 참고하여 봄이 마땅하다. 自利
腸垢
협한자리
압당
단하
수족연축
사지구급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則所謂三百九十七、一百一十三者,可以應病變萬有於無窮矣,
이른바 397조문과 113처방이 병에 상응하여 모든 변화에 다함이 없음이 있다.
豈惟治中風傷寒云乎哉。
어찌 오직 상풍 상한으로 치료를 말하겠는가? 46
47
48
49
50
51
52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