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창세기에 나타난 구원론
1. 인간문제
2. 해결책
3. 확인부터 하라
4. 확인된 자에게 증거를 주신다
5. 구원받은 사람은 모든 문제가 끝났다는 사실을 확인부터 하라
Ⅲ. 신약성경에 나타난 구원론
1. 복음서의 요지
2. 사도행전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
1) 예수는 그리스도다
2) 예수는 부활하셨다
3) 예수는 성령으로 역사하신다
4) 예수는 재림주로 오신다
3. 에베소서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
4.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면
1) 생명 회복
2) 생명의 빛이 회복
Ⅳ. 구약성경에 나타난 구원론
1. 원래의 인간
2. 아담, 하와가 몰랐던 점
1) 계 12:1-9(옛뱀, 마귀)
2) 사단의 전략
3) 죄의 무서움(창 3:1-6)
4) 죄의 결과
3. 그 하나님이 해결책을 주심
4. 가인의 예배를 받지 않은 이유
Ⅴ. 구원론과 성령
1. 하나님의 아들 의식(意識)(양자(養子)의 영에 의한)을 불러 일으키시는 사역
2. 성화(聖化)의 동인자(動因者)이신 성령
3. 신앙을 굳게 지키도록 인도(引道)하시며 견인(堅認)의 은총을 결코 거두시지 않는 성령의 사역
4. 완전히 죄에서 분리시키시는 성령의 사역
5. 부활의 실행자 이신 성령의 사역
Ⅵ. 구원론과 성령의 사역
1. 보통은혜의 서술
2. 보통은혜와 그리스도의 속죄사역
3. 보통은혜의 방법
4. 보통은혜의 효과
5. 보통은혜의 성서적 증거
Ⅶ. 구원론과 회개
1. 개요
2. 회심의 요소
1) 지적인 요소
2) 감정적인 측면
3) 의지적 측면
3. 여러가지 형태의 회심
1) 민족적 회심
2) 일시적인 회심
3) 진정한 회심
4) 반복적 회심
4. 회심의 조성자
5. 회개의 지속성
Ⅷ. 구원론의 방향
Ⅸ. 결론
참고문헌
Ⅱ. 창세기에 나타난 구원론
1. 인간문제
2. 해결책
3. 확인부터 하라
4. 확인된 자에게 증거를 주신다
5. 구원받은 사람은 모든 문제가 끝났다는 사실을 확인부터 하라
Ⅲ. 신약성경에 나타난 구원론
1. 복음서의 요지
2. 사도행전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
1) 예수는 그리스도다
2) 예수는 부활하셨다
3) 예수는 성령으로 역사하신다
4) 예수는 재림주로 오신다
3. 에베소서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
4.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면
1) 생명 회복
2) 생명의 빛이 회복
Ⅳ. 구약성경에 나타난 구원론
1. 원래의 인간
2. 아담, 하와가 몰랐던 점
1) 계 12:1-9(옛뱀, 마귀)
2) 사단의 전략
3) 죄의 무서움(창 3:1-6)
4) 죄의 결과
3. 그 하나님이 해결책을 주심
4. 가인의 예배를 받지 않은 이유
Ⅴ. 구원론과 성령
1. 하나님의 아들 의식(意識)(양자(養子)의 영에 의한)을 불러 일으키시는 사역
2. 성화(聖化)의 동인자(動因者)이신 성령
3. 신앙을 굳게 지키도록 인도(引道)하시며 견인(堅認)의 은총을 결코 거두시지 않는 성령의 사역
4. 완전히 죄에서 분리시키시는 성령의 사역
5. 부활의 실행자 이신 성령의 사역
Ⅵ. 구원론과 성령의 사역
1. 보통은혜의 서술
2. 보통은혜와 그리스도의 속죄사역
3. 보통은혜의 방법
4. 보통은혜의 효과
5. 보통은혜의 성서적 증거
Ⅶ. 구원론과 회개
1. 개요
2. 회심의 요소
1) 지적인 요소
2) 감정적인 측면
3) 의지적 측면
3. 여러가지 형태의 회심
1) 민족적 회심
2) 일시적인 회심
3) 진정한 회심
4) 반복적 회심
4. 회심의 조성자
5. 회개의 지속성
Ⅷ. 구원론의 방향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실 수 있는 분은 하나님이시다. 회개에 있어서 인간의 의지는 하나님에 의해서 가동되고 동기를 부여받을 뿐만아니라 그 의지 자체 역시 능동적이 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인간은 그 은혜를 인하여 믿고 회개하도록 촉구되는 것이다.
5. 회개의 지속성
실제로 하나님의 형상의 회복은 한 순간이나 하루나 한해에 일어나지 않는다. 회개는 평생을 통하여 지속되어야 하고, 임종시에 끝이 나는 것이다. 회개가 평생의 작업이라는 사실은 몇몇 중요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첫째로 그리스도인 생활의 초반부에 있는 처음 회개와 그의 평생토록 계속 되어지는 회개사이에 구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둘째, 평생에 이르는 의미에서 회개가 근본적으로 성화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
셋째, 회개는 결코 우리에 의해서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성경에 기록되어 있는 회개는 이상이다. 우리는 마땅히 그것을 드러내도록 계속해서 노력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생에서는 결코 온전히 도달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가 구원받은 것은 우리의 회개가 완전하기 때문이 아니라, 다만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들 때문이다.
Ⅷ. 구원론의 방향
구원론은 구원의 문으로 들어서는 유일한 수단이오, 통로이다. 그런데 이 구원은 어떻게 생겨날까? 첫째, 구원은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들음에서 난다. 로마서 10장 17절의 말씀에서 바울은 믿음은 들음에서 나며, 들음은 그리스도의 말씀에서 비롯된다.고 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우리는 성서를 열심히 읽고, 예배 때마다 열심히 출석해야 한다.
둘째, 구원은 예수의 이름을 부를 때에 생긴다. 로마서 10장 13절에서 바울은 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을 것이다. 고 했다.
셋째, 구원하는 믿음은 마음으로 뜨겁게 예수를 영접할 때에 생긴다. 로마서 10장 10절에서 바울은 사람이 마음으로 믿어 의에 이른다.고 했다.
넷째, 구원하는 믿음은 예수를 입으로 시인하고 고백할 때에 생긴다. 남녀가 혼인식 때에 사람들 앞에서 사랑을 고백하는 것처럼 우리도 하나님과 사람들 앞에서 예수에 대한 우리의 사랑을 고백해야 한다. 로마서 10장 10절에서 바울은 입으로 시인하여 구원에 이른다.고 했다. 또 9절에서 네가 만일 네 입으로 예수를 주로 시인하며 또 하나님께서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것을 네 마음에 믿으면 구원을 얻을 것이다.고 했다.
이렇게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듣고, 예수의 이름을 부르고, 예수를 마음에 영접하고, 예수에 대한 우리의 사랑을 고백하는 것이 구원이다. 이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이 이루어진다. 인간이 살길은 오직 한 길뿐이다. 하나님으로부터 은총을 입고 구원을 받는 길뿐이다. 그런데 이 길에 접어드는 유일한 통로는 믿음뿐이다. 그래서 믿음은 생존을 위한 길이다. 생존을 위해서 먹고 마시는 것처럼 믿음이 없이는 구원에 이를 수가 없다.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의 은총을 입을 수가 없다. 믿음이 없이는 삶의 의미와 가치를 찾을 수가 없다. 믿음이 없이는 죄와 죽음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 믿음이 없이는 갈등과 불안을 해결할 수가 없다. 믿음은 구원으로 가는 유일한 통로이다.
Ⅸ. 결론
우리가 구원을 받았다는 것을 과연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눈에 보이는 외부적인 변화가 몸에 일어나는 것도 아니고 또한 어떤 물증이 주어지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잘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사람은 자신이 구원받았으며 자신이 그것을 안다고 말한다. 그들은 하나님께서 자신들을 구원하셨으며 그들에게 영생을 주신 것을 확신하고 있다. 이유인즉 자신들이 그들의 구주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과연 우리가 이 세상에 사는 동안에 우리 자신이 구원받았음을 확신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분명히 확신할 수 있다.
\"우리가 형제를 사랑함으로 사망에서 옮겨 생명으로 들어간 줄을 알거니와 사랑치 아니하는 자는 사망에 거하느니라. \"(요일 3:14)라고 사도 요한이 말했다. 그는 사람들이 만일 이 복음 메시지를 믿음으로 받아들이면 그들이 구원받음을 확신케 됨을 알았다. 확신이란 우리가 구원받았음을 아는 것을 뜻한다. 이 구원의 확신은 자칫하면 자신의 느낌에서 올 수도 있다. 느낌은 자신이 영생을 가졌다는 것을 확신케 할 수는 없다. 그것은 단지 자신이 구원받은 것같이 착각할 때 본인이 느끼는 행복한 기분일 뿐이다. 그렇다면 그 구원의 확신은 어떻게 얻을 수가 있을까? 첫째, 하나님의 말씀의 증거를 믿어야 한다. “만일 우리가 사람들의 증거를 받을찐대 하나님의 증거는 더욱 크도다. 하나님의 증거는 이것이 그 아들에 관하여 증거하신 것이니라. \" (요일 5:9) 이 말씀이 교훈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가 하나님의 아들의 이름을 믿는다면 우리가 구원받게 되었다는 것이 분명해 질 것이다. 둘째, 성령의 증거가 있다. \"성령이 친히 우리 영으로 더불어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인 것을 증거하시나니. \" (롬 8:16) 거듭난 사람은 자신이 하나님의 자녀인 것과 성령께서 또한 그렇게 말씀하심을 안다. 우리 안에 임하시는 성령의 증거를 통하여서 우리가 구원받은 확신을 가질 수 있다.
셋째, 우리 안에 하시는 하나님의 증거가 있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자는 자기 안에 증거가 있고 하나님을 믿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을 거짓말 하는 자로 만드나니 이는 하나님께서 그 아들에 관하여 증거하신 증거를 믿지 아니하였음이라. \" (요일 5:10) 이처럼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자들은 그리스도의 죽음의 가치가 영원함을 그들에게 말하기 위하여, 그들 자신 안에 성령의 증거를 갖고 있다.
참고문헌
김세윤(1993), 구원이란 무엇인가?, 참말
루이스 뻘콥, 신복윤 옮김(2001), 기독교 교리사, 성광문화사
류재화(2006), 개혁신학의 구원론, 크리스챤출판사
민병환목사(2003), 조직신학 구원론, 총회신학교 강당
신경수 역(1996), 복음주의 조직 신학,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임종호(1990), 당신의 구원을 확인하라, 요단출판사
John Shelby Spong, 김준우 역(2001), 기독교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 한국기독교연구소
5. 회개의 지속성
실제로 하나님의 형상의 회복은 한 순간이나 하루나 한해에 일어나지 않는다. 회개는 평생을 통하여 지속되어야 하고, 임종시에 끝이 나는 것이다. 회개가 평생의 작업이라는 사실은 몇몇 중요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첫째로 그리스도인 생활의 초반부에 있는 처음 회개와 그의 평생토록 계속 되어지는 회개사이에 구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둘째, 평생에 이르는 의미에서 회개가 근본적으로 성화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
셋째, 회개는 결코 우리에 의해서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성경에 기록되어 있는 회개는 이상이다. 우리는 마땅히 그것을 드러내도록 계속해서 노력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생에서는 결코 온전히 도달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가 구원받은 것은 우리의 회개가 완전하기 때문이 아니라, 다만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들 때문이다.
Ⅷ. 구원론의 방향
구원론은 구원의 문으로 들어서는 유일한 수단이오, 통로이다. 그런데 이 구원은 어떻게 생겨날까? 첫째, 구원은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들음에서 난다. 로마서 10장 17절의 말씀에서 바울은 믿음은 들음에서 나며, 들음은 그리스도의 말씀에서 비롯된다.고 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우리는 성서를 열심히 읽고, 예배 때마다 열심히 출석해야 한다.
둘째, 구원은 예수의 이름을 부를 때에 생긴다. 로마서 10장 13절에서 바울은 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을 것이다. 고 했다.
셋째, 구원하는 믿음은 마음으로 뜨겁게 예수를 영접할 때에 생긴다. 로마서 10장 10절에서 바울은 사람이 마음으로 믿어 의에 이른다.고 했다.
넷째, 구원하는 믿음은 예수를 입으로 시인하고 고백할 때에 생긴다. 남녀가 혼인식 때에 사람들 앞에서 사랑을 고백하는 것처럼 우리도 하나님과 사람들 앞에서 예수에 대한 우리의 사랑을 고백해야 한다. 로마서 10장 10절에서 바울은 입으로 시인하여 구원에 이른다.고 했다. 또 9절에서 네가 만일 네 입으로 예수를 주로 시인하며 또 하나님께서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것을 네 마음에 믿으면 구원을 얻을 것이다.고 했다.
이렇게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듣고, 예수의 이름을 부르고, 예수를 마음에 영접하고, 예수에 대한 우리의 사랑을 고백하는 것이 구원이다. 이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이 이루어진다. 인간이 살길은 오직 한 길뿐이다. 하나님으로부터 은총을 입고 구원을 받는 길뿐이다. 그런데 이 길에 접어드는 유일한 통로는 믿음뿐이다. 그래서 믿음은 생존을 위한 길이다. 생존을 위해서 먹고 마시는 것처럼 믿음이 없이는 구원에 이를 수가 없다.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의 은총을 입을 수가 없다. 믿음이 없이는 삶의 의미와 가치를 찾을 수가 없다. 믿음이 없이는 죄와 죽음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 믿음이 없이는 갈등과 불안을 해결할 수가 없다. 믿음은 구원으로 가는 유일한 통로이다.
Ⅸ. 결론
우리가 구원을 받았다는 것을 과연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눈에 보이는 외부적인 변화가 몸에 일어나는 것도 아니고 또한 어떤 물증이 주어지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잘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사람은 자신이 구원받았으며 자신이 그것을 안다고 말한다. 그들은 하나님께서 자신들을 구원하셨으며 그들에게 영생을 주신 것을 확신하고 있다. 이유인즉 자신들이 그들의 구주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과연 우리가 이 세상에 사는 동안에 우리 자신이 구원받았음을 확신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분명히 확신할 수 있다.
\"우리가 형제를 사랑함으로 사망에서 옮겨 생명으로 들어간 줄을 알거니와 사랑치 아니하는 자는 사망에 거하느니라. \"(요일 3:14)라고 사도 요한이 말했다. 그는 사람들이 만일 이 복음 메시지를 믿음으로 받아들이면 그들이 구원받음을 확신케 됨을 알았다. 확신이란 우리가 구원받았음을 아는 것을 뜻한다. 이 구원의 확신은 자칫하면 자신의 느낌에서 올 수도 있다. 느낌은 자신이 영생을 가졌다는 것을 확신케 할 수는 없다. 그것은 단지 자신이 구원받은 것같이 착각할 때 본인이 느끼는 행복한 기분일 뿐이다. 그렇다면 그 구원의 확신은 어떻게 얻을 수가 있을까? 첫째, 하나님의 말씀의 증거를 믿어야 한다. “만일 우리가 사람들의 증거를 받을찐대 하나님의 증거는 더욱 크도다. 하나님의 증거는 이것이 그 아들에 관하여 증거하신 것이니라. \" (요일 5:9) 이 말씀이 교훈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가 하나님의 아들의 이름을 믿는다면 우리가 구원받게 되었다는 것이 분명해 질 것이다. 둘째, 성령의 증거가 있다. \"성령이 친히 우리 영으로 더불어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인 것을 증거하시나니. \" (롬 8:16) 거듭난 사람은 자신이 하나님의 자녀인 것과 성령께서 또한 그렇게 말씀하심을 안다. 우리 안에 임하시는 성령의 증거를 통하여서 우리가 구원받은 확신을 가질 수 있다.
셋째, 우리 안에 하시는 하나님의 증거가 있다.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자는 자기 안에 증거가 있고 하나님을 믿지 아니하는 자는 하나님을 거짓말 하는 자로 만드나니 이는 하나님께서 그 아들에 관하여 증거하신 증거를 믿지 아니하였음이라. \" (요일 5:10) 이처럼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 자들은 그리스도의 죽음의 가치가 영원함을 그들에게 말하기 위하여, 그들 자신 안에 성령의 증거를 갖고 있다.
참고문헌
김세윤(1993), 구원이란 무엇인가?, 참말
루이스 뻘콥, 신복윤 옮김(2001), 기독교 교리사, 성광문화사
류재화(2006), 개혁신학의 구원론, 크리스챤출판사
민병환목사(2003), 조직신학 구원론, 총회신학교 강당
신경수 역(1996), 복음주의 조직 신학,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임종호(1990), 당신의 구원을 확인하라, 요단출판사
John Shelby Spong, 김준우 역(2001), 기독교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 한국기독교연구소
추천자료
개혁주의 구원론 제2장 “구원의 순서”에 관한 문제
[구원][구원론][신앙론][칭의][회심][웨슬리][구원모델]구원의 시제, 구원의 순서, 구원의 외...
[구원론][성화][칭의][회개][구원론 중생][구원론 믿음][구원론 성도의 견인][구원론 소명]구...
[구원론][믿음][행위][구원론 새 시제][구원론 새 존재][내용][기독론][유아세례]구원론의 의...
[구원론][칭의][성도의 견인][믿음][구원론 중생][구원론 소명][구원론 성화][구원론 회개]구...
[기독론][칭호][종교개혁시대][성서][성경][역사적 예수탐구][구원론]기독론의 정의, 기독론...
[구원론][구원론 회심][구원론 성화][구원론 성도의 견인][구원론 칭의][믿음][소명][중생]구...
[구원론][구원론 소명][구원론 칭의][구원론 중생][구원론 성화][성도 견인][회심][믿음]구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