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선행연구,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차이,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비교,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현황,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 관련 정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선행연구,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차이,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비교,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현황,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 관련 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선행연구

Ⅲ.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차이
1. 풀이가 다른 낱말의 예
2. 방언에 의한 어휘
3. 고유어화 된 어휘들

Ⅳ.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비교
1. 의미가 상이한 단어
2. 이음동의어와 이철동의어
3. 북한에만 존재하는 단어
4. 속어와 비어
5. 외래어

Ⅴ.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현황

Ⅵ.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 관련 정책
1. 어문정책의 강령 마련
2. 통일 맞춤법 제정
3. 표준어 제정
4. 표준 발음법 제정
5. 규범문법 마련
6. 통일 국어사전 편찬
7. 통일 어휘 어휘정책

Ⅶ.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정책적 시사점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언어관에 입각한 \'말다듬기 운동\'은 우리말의 순수성을 확보하고 어휘의 정통성을 살리려는 목적에서 본다면 남한의 국어 순화 운동에 비교할 수 있는 바람직한 운동이다. 북한의 말다듬기 운동에서는 어휘 정리를 통하여 어휘의 자주적 발전을 꾀하고 그 사회적 기능을 최대한으로 높여 말이 혁명과 건설에 더 잘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본 목적을 두고 있다. 북한의 어휘 정리에서는 민족의식을 손상시킬 수 있는 사소한 언어적 요소도 샅샅이 찾아내어 완전히 없애 버림으로써 말을 민족적 자부심과 단결력을 높이는 힘있는 수단으로 가꾸려 하고 있다. 그런데 북한의 말다듬기 운동은 어휘의 자연 추세를 무시하고 너무 의도적인 방향에서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남북한 어휘의 이질화가 심해지고 있는 원인이 되었다. 북한의 말이 남한보다 고유어 중심으로 다듬어진 것은 사실이나 언어적인 요인을 무시하고 목적의식적인 손질을 하여 우리 쪽에서 볼 때는 아주 생소하게 느껴진다. 북한의 기성세대에 속하는 언중은 다듬어지기 전의 말을 많이 쓰고 있으나 학생들에게는 새 말만을 가르치기 때문에 이들이 기성세대로 자라나게 될 때 남북한의 어휘 이질화는 더욱 커질 것이다. 북한에서는 말다듬기를 할 때, 어휘란 경우에 따라서는 인위적인 손질을 필요로 할 때도 있으나 대부분은 자연적인 추세에 따라 바뀐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이질화를 가속화시키는 말다듬기는 시정해야 한다고 본다.
Ⅷ. 결론
우리 민족은 세계 여러 곳에 퍼져 살고 있다. 그 가운데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지역은 한반도이다. 그런데 그 한반도는 둘로 갈라져 우리는 50여 년 동안 단절된 채 살게 되었다. 둘로 갈라진 남북은 그동안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달라졌으며, 그에 따른 사회 제도와 생활 방식도 달라졌다. 이에 따라 남북 주민이 사용하는 우리의 말도 어느 정도 달라졌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남북 언어의 차이가 지역 간의 방언에서 느끼는 차이 정도라는 것에 있다. 남북 주민은 큰 지장을 받지 않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남북 언어의 차이를 말하는 것은 남북 언어의 차이가 독립된 조직(국가)에서 이루어지는 규범의 차이에서 말미암은 것이기 때문이다. 한 조직의 언어 규범은 그 조직의 모든 분야에서 표준이 된다. 그러므로 다른 두 조직이 하나의 조직으로 될 때에 거기에는 통일된 하나의 규범이 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말하는 남북 언어의 차이는 규범적 차원에서 일컫는 것이며, 서로 다른 어휘의 동질성을 위한 방안 역시 규범적 차원에서 논의될 문제이다. 남북 언어의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해선 정치적으로 남북이 통일되기 이전부터 양쪽의 국어학자가 만나 국어의 통일화를 위해 협의하고, 합의된 결과를 양쪽의 주민들에게 알려야 한다. 남북 국어학자의 논의에서는 양쪽의 자존심이나 우월감의 경쟁이 아니라 국어의 올바른 미래를 지향한다는 자세를 가지고 이론적으로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급적 이 모든 논의는 통일 이전에 합의를 이끌어내도록 성의있는 노력을 다해야 한다. 그러나 합의되지 못하는 사항은 지나치게 한쪽의 포기를 강요할 것이 아니라, 복수의 체계를 당분간 유지하는 방식을 찾는 게 좋을 것이다. 아직 남북통일 일정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일 이후의 언어생활을 준비하는 것이 이르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언어 문제는 하루아침에 해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머지않아 통일을 바라보는 오늘, 통일 후의 언어생활에 대한 준비를 시작하는 것은 결코 이른 것이 아니다. 지금부터 시작한 언어의 통일 작업은 정치적인 통일을 이룬 뒤에도 계속되어야 한다. 이는 남북한 언중들 사이에 서로 언어적 이질감이 사라질 때까지 계속되는 것이다. 그때는 한국어 화자들이 잘 화합하여, 국어의 통일이 미래 지향적으로 발전하는 바람직한 방향을 확고히 잡았음을 의미하는 시기이기도 한 것이다.
참고문헌
구본관 외 1명(2002), 남북한어의 공동 순화 방안 연구, 서울:문화관광부
김민수(1985), 북한의 국어 연구, 고대출판부
김희진 외(1997), 남북한 언어 연구, 박이정
김민수(1996), 남북한 언어의 차이(4), 새국어생활. 국립 국어연구원
이성연(1996), 북한의 어휘 확장과 통일 후 국어정책, 한국언어문학 제37집
이은정, 남북한 어문 규범 어떻게 다른가, 국어문화사
이주행(1992), 남한과 북한의 어휘 비교 연구, KBS한국어연구회 제34집, KBS 한국어연구회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9.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2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