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화 유산을 보는 관점
서원이란?
옥산서원
서악서원
동강서원
운천서원
조선시대 교육기관
서원이란?
옥산서원
서악서원
동강서원
운천서원
조선시대 교육기관
본문내용
지켰다. 풍속을 바로 잡고 절의를 다한 효자에게 조선 태종 18년(1418) 정문을 내려 절세의 효자로 추앙하였으며 숙종조에 용궁의 달계서원에 모셨다.
태두남(1374~1437)는 조선 중종 때 청백리로 도의를 숭상하고 시문에 능했으며 글씨도 잘 썼다. 천성이 강직하여 그의 스승 김양진이 권세가 김안노의 미움을 사서 죽자 모두가 두려워하였으나 떳떳이 나아가 은사의 상을 치루었다. 신의데 철저했던 그는 이로 인해 미움을 받고 성주목사로 좌천되어 재임중 작고하였다. 보문면 옥천서원에 모셨다.
송복기(1541~1605)는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시와 서에 능하고 청직한 선비정신으로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후진양성에 노력하였으며, 임진난땐 예천을 지킨 수성장으로 애국심으로 나라와 백성을 구하였다. 일생을 시와 글을 벗삼아 이 고장 문화창달에 노력하였으며 사후에 보문 옥천서원과 봉화의 창계별사에 모셨다.
* 교통편
대중교통 : 예천읍에서 시내버스로 감천방향으로 10분 소요
자 가 용 : 예천읍에서 8㎞로 덕율삼거리 맞은편에 위치, 10분 이내
조선시대 교육기관
⇒ 조선시대 교육기관에는 서당, 서원, 향교, 4학, 성균관 이 있는데 서당은 초등교육기관이고, 향교는 지방의 중등교육기관, 4학은 한성을 중심으로 한 중앙의 중등교육기관이며, 성균관은 국립 대학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16세기 이후 사림세력이 정치를 주도하면서 사학으로서 서원을 설립하여 교육을 담당하게되고 향교는 점차 교육적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습니다.
서원과 향교의 차이점은 서원은 사학, 향교는 관학이고, 서원에서는 우리나라 선현에 대해서만 배향을 하나, 향교는 중국선현까지 배향하는 점이 크게 다르다. 서원과 향교는 공통적으로 선현에 대한 제사와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기관이지만 설립주체가 서원은 사림양반이 세운 사학이고, 향교는 국가에서 지방교육을 위해 세운 관학이다.
'사액서원'은 왕의 친필로 쓴 액(현판)과 서적, 노비, 학전을 하사 받은 서원으로 우리나라 서원의 시초인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서원은 후에 국가로부터 사액서원으로 인정받으면서 소수서원이라는 현판을 받아 최초의 사액서원이 되었다. 사액서원으로 지정되면 국가로부터 많은 혜택이 주어지므로 조선 후기로 갈수록 사액서원의 숫자가 늘어났다. 이는 국가의 입장에서 보면 재정적 부담이 되고 한편으로 서원이 사림양반의 세력 근거지가 되기에 흥선대원군은 강력한 서원 철폐령을 내려 600여 개가 넘던 서원을 47개로 정리하였다.
서원은 교육을 통해 인재를 키우고 선현들에 대한 제사(교육과 선현봉사)를 지내는 두 가지 기능이 대표적이다. 이외에 유교적 향촌질서를 유지하고 사림의 공론을 모아 정치에 반영하는 기능도 담당하였다.
서원이 사림양반의 이익집단으로 점차 변모하고, 면세 및 면역의 특권을 이용하여 서원전을 늘리면서 경제적 기반을 확대하여 국가 입장에서는 양인 숫자의 감소 및 과세지의 축소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게 되었습니다. 또한 서원의 융성으로 국가에서 마련한 관학으로서의 향교가 침체되고 쇠퇴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태두남(1374~1437)는 조선 중종 때 청백리로 도의를 숭상하고 시문에 능했으며 글씨도 잘 썼다. 천성이 강직하여 그의 스승 김양진이 권세가 김안노의 미움을 사서 죽자 모두가 두려워하였으나 떳떳이 나아가 은사의 상을 치루었다. 신의데 철저했던 그는 이로 인해 미움을 받고 성주목사로 좌천되어 재임중 작고하였다. 보문면 옥천서원에 모셨다.
송복기(1541~1605)는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시와 서에 능하고 청직한 선비정신으로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후진양성에 노력하였으며, 임진난땐 예천을 지킨 수성장으로 애국심으로 나라와 백성을 구하였다. 일생을 시와 글을 벗삼아 이 고장 문화창달에 노력하였으며 사후에 보문 옥천서원과 봉화의 창계별사에 모셨다.
* 교통편
대중교통 : 예천읍에서 시내버스로 감천방향으로 10분 소요
자 가 용 : 예천읍에서 8㎞로 덕율삼거리 맞은편에 위치, 10분 이내
조선시대 교육기관
⇒ 조선시대 교육기관에는 서당, 서원, 향교, 4학, 성균관 이 있는데 서당은 초등교육기관이고, 향교는 지방의 중등교육기관, 4학은 한성을 중심으로 한 중앙의 중등교육기관이며, 성균관은 국립 대학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16세기 이후 사림세력이 정치를 주도하면서 사학으로서 서원을 설립하여 교육을 담당하게되고 향교는 점차 교육적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습니다.
서원과 향교의 차이점은 서원은 사학, 향교는 관학이고, 서원에서는 우리나라 선현에 대해서만 배향을 하나, 향교는 중국선현까지 배향하는 점이 크게 다르다. 서원과 향교는 공통적으로 선현에 대한 제사와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기관이지만 설립주체가 서원은 사림양반이 세운 사학이고, 향교는 국가에서 지방교육을 위해 세운 관학이다.
'사액서원'은 왕의 친필로 쓴 액(현판)과 서적, 노비, 학전을 하사 받은 서원으로 우리나라 서원의 시초인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서원은 후에 국가로부터 사액서원으로 인정받으면서 소수서원이라는 현판을 받아 최초의 사액서원이 되었다. 사액서원으로 지정되면 국가로부터 많은 혜택이 주어지므로 조선 후기로 갈수록 사액서원의 숫자가 늘어났다. 이는 국가의 입장에서 보면 재정적 부담이 되고 한편으로 서원이 사림양반의 세력 근거지가 되기에 흥선대원군은 강력한 서원 철폐령을 내려 600여 개가 넘던 서원을 47개로 정리하였다.
서원은 교육을 통해 인재를 키우고 선현들에 대한 제사(교육과 선현봉사)를 지내는 두 가지 기능이 대표적이다. 이외에 유교적 향촌질서를 유지하고 사림의 공론을 모아 정치에 반영하는 기능도 담당하였다.
서원이 사림양반의 이익집단으로 점차 변모하고, 면세 및 면역의 특권을 이용하여 서원전을 늘리면서 경제적 기반을 확대하여 국가 입장에서는 양인 숫자의 감소 및 과세지의 축소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게 되었습니다. 또한 서원의 융성으로 국가에서 마련한 관학으로서의 향교가 침체되고 쇠퇴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추천자료
한국교육사 - 조선시대 교육기관
'조선시대의 교육'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조선시대의 교육 사상에 대해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조선시대 교육 요약 정리
조선시대 교육
조선시대 감사행정과 사헌부
조선시대의 교육사상에 대하여(성리학, 실학, 동학)
고려- 조선시대 교육사 요약정리
[사회과학] 조선시대 조형의식
한국건축사 조선시대 건축역사
[교육학]조선시대부터 7차교육과정 소개 및 공교육 현황분석 및 성적공개 필요성 제시
전통가구 - 조선시대 가구 특징에 대한 조사
조선시대 이전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장애인을 위한 제도나 풍습을 하나씩 제시하고 토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