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하버마스 공론장의 사상
Ⅲ. 하버마스 공론장 공론영역의 사상
Ⅳ. 하버마스 공론장 공론영역의 정치
Ⅴ. 하버마스 공론장 공론영역의 사회구성
참고문헌
Ⅱ. 하버마스 공론장의 사상
Ⅲ. 하버마스 공론장 공론영역의 사상
Ⅳ. 하버마스 공론장 공론영역의 정치
Ⅴ. 하버마스 공론장 공론영역의 사회구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 정치적으로 궁정에 대항하는 시민사회의 생활근거지였다. 그것은 교양층의 초기적 공론 영역이었는데, 커피하우스, 살롱, 茶모임(table society, Tischgesellschaft) 같은 것들이 공론 영역의 제도였다. 하버마스는 공론 영역의 유형으로 \'평민적 공론 영역\'(plebian public sphere)과 부르주아 공론 영역을 구분하는데, 공론 영역은 아무래도 깨우친 사람들을 필요로 하기에 교양으로 무장된 식자층과 비판적 지성과 지식을 전파하는 기제를 갖춘 부르주아 공론 영역이 역사적으로 의미를 갖는 최초의 실체라고 지적한다. 국가마다 시기와 발생형태에 약간씩 차이가 존재하지만, 대체로 부르주아 공론 영역은 17세기 후반기와 18세기 초에 걸쳐 유럽에서 형성되었다. 교양을 갖춘 식자층 - 의사, 목사, 공무원, 교수, 학자, 상인, 은행가, 자영상인, 제조업자들 -이 부르주아 공론 영역의 주요 구성원들인데, 이들은 상업과 공업 활동에 대한 국가와 왕권의 통제가 어떤 오류를 안고 있는지, 자신들의 이윤추구를 어떻게 방해하고 새로운 질서의 형성을 저지하려 하는지를 여러 형태의 통신과 의사소통 수단을 통하여 의견을 공유한다. Gazette (1631), Gazette of London (1665), Intelligencer (1663), Journal des Savants (1665) 등의 신문은 부르주아 공론 영역의 외연과 내포를 공고히하는 가장 중요한 의사소통 기제였다. 이런 기제들은 결국 부르주아계급으로 하여금 봉건질서와 권력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그 자체 공중(the public)으로 변신하도록 돕는 촉매였다.
부르주아 공론 영역은 무엇보다도 공중(a public)으로 변한 사적 인간들의 영역이다. 그들은 곧 공론 영역이 공적 권력에 대항하기를 요구하며, 기본적으로는 사유화된, 그러나, 공공화된 상품교환과 사회적 노동영역의 제반 관계들을 관할하는 일반적 규칙들에 대한 논쟁을 요구한다. 바로 이런 정치적 대면에 활용된 수단은 이성의 공적 사용(offentliche Rasonnement)이었는데, 그것은 역사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대단히 독특한 유형의 것이다.
그러므로, 부르주아 공론 영역이 정치적인 색채를 띠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국가와 사회의 긴장관계를 문제시하고, 가족의 사적 영역(intimate sphere of family)에서 발생한 주관성에 공공성을 부여하는 과정에서 공적 권력과의 정치적 경쟁은 필수적이다. 사적 영역에 머물고 있는 사람들에게 비판적 공공의식을 제공하여 권리투쟁의 전선에 나서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부르주아 공론 영역의 정치적 기능(political function)인 것이다. 시민사회의 성립과 함께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이 분화되자 주체의 객관화를 위한 공론 영역의 의미는 더욱 중대해진다. 하버마스는 공론 영역의 존재를 설정하자마자 시민사회의 분화를 다음과 같이 도해한다. 이 도해는 20년 뒤 <의사소통행위론>에 이르러 약간 변형된 형태로 나타난 생활세계(Lebenswelt)와 체계(system)간 이분법적 사회구성의 기본설계이다.
참고문헌
* 강준만, 대중매체 이론과 사상, 개마고원, 2001
* 선우현, 사회비판과 정치적실현 :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 백의, 1999
* 위르겐 하버마스, 서규환 외 역, 소통행위이론, 의암출판, 1995
* 한상진 외, 하버마스 : 이성적 사회의 기획, 그 논리와 윤리, 나남, 1997
* 황태연, 하버마스의 소통적 주권론과 상선적 토론정치이념
* 홍기수, 하버마스와 현대철학, UUP, 1999
* Michael Pusey, 하버마스의 사회사상,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8
부르주아 공론 영역은 무엇보다도 공중(a public)으로 변한 사적 인간들의 영역이다. 그들은 곧 공론 영역이 공적 권력에 대항하기를 요구하며, 기본적으로는 사유화된, 그러나, 공공화된 상품교환과 사회적 노동영역의 제반 관계들을 관할하는 일반적 규칙들에 대한 논쟁을 요구한다. 바로 이런 정치적 대면에 활용된 수단은 이성의 공적 사용(offentliche Rasonnement)이었는데, 그것은 역사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대단히 독특한 유형의 것이다.
그러므로, 부르주아 공론 영역이 정치적인 색채를 띠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국가와 사회의 긴장관계를 문제시하고, 가족의 사적 영역(intimate sphere of family)에서 발생한 주관성에 공공성을 부여하는 과정에서 공적 권력과의 정치적 경쟁은 필수적이다. 사적 영역에 머물고 있는 사람들에게 비판적 공공의식을 제공하여 권리투쟁의 전선에 나서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부르주아 공론 영역의 정치적 기능(political function)인 것이다. 시민사회의 성립과 함께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이 분화되자 주체의 객관화를 위한 공론 영역의 의미는 더욱 중대해진다. 하버마스는 공론 영역의 존재를 설정하자마자 시민사회의 분화를 다음과 같이 도해한다. 이 도해는 20년 뒤 <의사소통행위론>에 이르러 약간 변형된 형태로 나타난 생활세계(Lebenswelt)와 체계(system)간 이분법적 사회구성의 기본설계이다.
참고문헌
* 강준만, 대중매체 이론과 사상, 개마고원, 2001
* 선우현, 사회비판과 정치적실현 :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 백의, 1999
* 위르겐 하버마스, 서규환 외 역, 소통행위이론, 의암출판, 1995
* 한상진 외, 하버마스 : 이성적 사회의 기획, 그 논리와 윤리, 나남, 1997
* 황태연, 하버마스의 소통적 주권론과 상선적 토론정치이념
* 홍기수, 하버마스와 현대철학, UUP, 1999
* Michael Pusey, 하버마스의 사회사상,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8
추천자료
서양사상가(프로이드, 듀이, 피아제)의 교육이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정보화의 진전
매스미디어의 발달과 세계문화 및 한국사회에의 함의
블로그와 미니홈피의 비교 및 공론장으로서의 가능성
비판이론
로이스로제와그의아들,딸-현대 사회의 소비 문화와 다원화된 동일성의 강제양상에 대하여.
[철학교양] 포스트모더니즘의 본질과 한계 -미셸 푸코를 중심으로
[민족주의][합리성][한국사회][하이네][근대]한국사회 민족주의의 의의, 한국사회 민족주의의...
아도르노의 미메시스적 합리성, 아도르노예술의 주술적 기원, 아도르노예술의 현실과의 관계,...
Jeff WalL의 ReaLArT에 대하여[A+]
[사회적 대화][사회적 대화의 경향][사회적 대화의 평가][사회적 대화 제언]사회적 대화의 정...
[인권][공화주의][민주주의][아시아문화]인권의 연혁, 인권의 정의, 인권의 편견, 인권의 공...
용인대 영상문화의 이해 중간,기말 시험 및 과제
정보와 포스트모더니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