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후신경
Ⅱ 시신경
Ⅲ 동안신경
Ⅳ 활차신경
Ⅴ 삼차신경
Ⅵ 외전신경
Ⅶ 안면신경
Ⅷ 청신경
Ⅸ 설인신경
Ⅹ 미주신경
Ⅺ 부신경
Ⅻ 설하신경
Ⅱ 시신경
Ⅲ 동안신경
Ⅳ 활차신경
Ⅴ 삼차신경
Ⅵ 외전신경
Ⅶ 안면신경
Ⅷ 청신경
Ⅸ 설인신경
Ⅹ 미주신경
Ⅺ 부신경
Ⅻ 설하신경
본문내용
ation의 대칭성을 검사한다.)
- 구역반사 : 후방 입인두를 건드려 유발시킨다
- 연하곤란과 흡인여부를 검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약간의 물을 마시게 하는 것이다. 기 침을 한다면 흡인되는 것을 의미한다.
8) 제 11뇌신경(부신경)
- 환자에게 검진자의 손의 힘에 대항하여 어깨를 위로 으쓱하여 올려보게 한다. 이때 승모근의 근력과 수축력을 주의하여 본다
- 환자에게 검진자의 손이 힘에 대항하여 양뽁 머리를 돌려보도록 지시한다. 이때 반대쪽의 흉쇄유두근의 수축력을 관찰하고 검진자의 손의 힘에 대항한 운동력을 주시해 본다
9) 제 12뇌신경(설하신경)
- 혀를 내민 뒤 좌우로 돌리게 한다. 이상이 있을시 혀를 내밀었을 때 병변 쪽으로 혀의 편향이 생기게 하며 반대쪽으로 혀를 내미는 힘이 약하게 된다.
- 구역반사 : 후방 입인두를 건드려 유발시킨다
- 연하곤란과 흡인여부를 검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약간의 물을 마시게 하는 것이다. 기 침을 한다면 흡인되는 것을 의미한다.
8) 제 11뇌신경(부신경)
- 환자에게 검진자의 손의 힘에 대항하여 어깨를 위로 으쓱하여 올려보게 한다. 이때 승모근의 근력과 수축력을 주의하여 본다
- 환자에게 검진자의 손이 힘에 대항하여 양뽁 머리를 돌려보도록 지시한다. 이때 반대쪽의 흉쇄유두근의 수축력을 관찰하고 검진자의 손의 힘에 대항한 운동력을 주시해 본다
9) 제 12뇌신경(설하신경)
- 혀를 내민 뒤 좌우로 돌리게 한다. 이상이 있을시 혀를 내밀었을 때 병변 쪽으로 혀의 편향이 생기게 하며 반대쪽으로 혀를 내미는 힘이 약하게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