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뇌신경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2 뇌신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12뇌신경의 기본설명

1) 뇌신경
2) 뇌신경 검사법

2. 본론 - 12뇌신경

1) 후신경(역할, 기시점, 특성, 손상시 현상, 손상을 알아보는 검사에)
~
12) 설하신경

본문내용

쳐진 것
· 기시점
- 내이도(internal acoustic meatus)에서 서로 합쳐져서 안면신경과 함께 주행한다.
· 손상시 현상
- 청력이상, 평형기능이상
· 손상을 알아보는 검사
청각 : 양측 귀 옆에서 손가락을 문질러 소리를 내어 본다.
평형 감각 : 어지럼증 있는지를 확인한다.
소리굽쇠 : 환자가 눈을 감게 하고 좌우 청각 검사를 한다
린네검사 : 중이 손상 유무 확인, 이소골을 통한 공기전도로 반응 유무, 양측 검사(청각검사자와 비교한다.)
⊙ 전정신경 : 현휘증(vertigo)를 호소하는 환자에서 Nylen-Barany검사를 시행한다. 환자를 침대위에 앉히고 머리를 약 30도 젖힌 상태에서 머리를 잡고 뒤로 눕힌다. 머리를 옆으로 좌나 우측으로 돌린다. 말초성 현휘즈으이 경우 잠복기가 지난 후 현휘증과 안구진탕이 나타나며 점차 감소한다. 중추성은 바로 발생하고 지속적이다.
⊙ 와우신경 : 청력검사, Weber, Rinne검사
Weber test : 진동시킨 음차를 이마에 중앙에 대고 진동이 좌우 귀의 어느쪽에 강하게 울리는지 묻는다 (정상 : 양측이 동일하게 울린다, 중이 및 외이도 장해 : 병변쪽에서 크게 들린다., 미로 및 구심성 신경계의 장해 : 병변 반대쪽에서 크게 들린다.)
Rinne test : 진동시킨 음차를 유양돌기 위에 대고 뼈에서의 진동음이 사라진 후 음차를 떼어 귀에서 4-5cm 떨어진 지점에 둔 후 진동이 들리는지에 대해 검사한다.
(정상-air conduction>>bone conduction:Rinne test(+)
중이장해 및 외이도 폐색-air conduction>>bone conduction: Rinne test(-)
7. 설인신경(glossopharyngeal n.)
CNSⅨ
· 역할
- 운동신경으로서 경상인두근(stylopharyngeus m.)을 유일하게 지배하며, 부교감신경으로 이신경절(otic ganglion)을 통해 이하선(parotid gland)과 인두, 혀 뒷부분의 점막의 작은 타액선의 주된 분비신경이다. 이중 특수 지각은 혀 뒷부분(후방1/3)의 미각을 지배하며, 일반 감각신경으로서 인두와 구개편도를 지배한다.
· 특성
- 운동과 지각을 포함한 혼합신경으로 혀와 인두에 분포한다.
· 기시점
- 인후부 및 이관에서 고실에 걸치는 점막의 지각단, 경동맥동에 이르는 지각단에 이른다.
· 손상시 현상
- 연구개와 구개수의 운동능력 저하 및 비대칭, 구토반사 상실, 미각능력(신맛, 매운맛)저하
· 손상을 알아보는 검사
① 환자에게 입을 벌린 후, ‘아’소리를 내게 한다. (연구개의 거상 및 대칭성을 검사한다.)
② 연구개나 인두벽을 자극하여 구토 반사(gag reflex)를 유발시킨다. (연구개의 거상 및 인두괄약근 수축)
8. 미주신경(vagus n.)
· CNSⅩ
· 역할
- 인두(pharynx), 연구개(foft palate)와 후두(larynx)의 골격근, 심근(cardiac m.)과 소화기관의 평활근(smooth m.)에 분포하여 이들의 분비작용에 관여한다.
· 특성
- 감각과 운동의 혼합신경(운동과 지각을 갖춘 혼합신경)으로서 뇌신경에서 가장 길고 광범위한 분포를 갖고 있다.
· 기시점
- 경부 흉부를 거쳐 복부에 이르게 된다. 연수(medulla oblongata)에서 기시하여 제9신경과 제 11뇌신경을 동반하여 경정맥공을 통과하고 경부에 내려와서 경동맥초(carotid sheath)에 싸여 하강한다.
· 손상시 현상
- 목 쉰소리와 콧소리, 감각과 운동이상, 구토반사시 구개수의 비대칭, 삼킴장애
· 손상을 알아보는 검사
① 최근에 목소리 변화가 있었는지 물어본다.
② 소량의 물을 마셔 보게 한다. 기침(사례)발생시, 후두내근의 비 기능
③ “아”소리를 낼 때 목소리를 들어 본다
(비음 : 연구개의 약화, 거친 소리 : 내후두근의 비 기능)
9. 부신경(accessory n.)
· CNS
· 역할
- 상부경수에서 나오는 신경섬유는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과 승모근(trapezius m.)에 분포한다. ---> 흉쇄유돌근 및 승모근을 지배한다.
· 특성
- 순수한 운동신경이다.
· 기시점
- 연수(medulla oblongata)와 상수경수(upper cervical cord)에서 기시하여 이것들은 서로 합쳐져서 경정맥공(jugular foramen)을 통한다. 연수에서 시작된 신경섬유는 미주신경에 합쳐진 신경들은 인두, 연구개, 후두의 근육을 지배하고 이러한 부위의 근육들은 일차적으로 미주신경에 지배당한 부위로서 부신경이란 이름이 유래한다.
· 손상시 현상
- 흉쇄유돌근, 승모근의 힘과 대칭성 이상, 어깨와 목의 운동기능 이상
· 손상을 알아보는 검사
① 저항을 준 상태에서 환자에게 고개를 돌려보도록 한다.(흉쇄유돌근)
② 저항이 있는 상태에서 어깨를 올려 보도록 한다. (승모근)
10. 설하신경(hypoglossal n.)
· CNS
· 역할
- 혀의 내부근 및 외부근을 지배한다.
· 특성
- 혀의 근육에 분포하는 순수한 운동신경이다.
· 기시점
- 연수에서 기시하여 설하신경관(hypoglossal canal)을 통하여 두 개강 밖으로 나온다.
· 손상시 현상
- 혀의 크기, 위축, 대칭성, 힘, 모양, 발음, 운동능력이상.
한쪽의 설하신경이 마비(paralysis)되면 혀는 마비된 쪽으로 향한다.
(설하신경의 문제는 혀를 내밀었을 때 병변 쪽으로 혀가 편향되며, 반대편으로 혀를 내미는 힘이 약하게 된다.)
· 손상을 알아보는 검사
- 혀를 내민 다음, 좌우로 빠르게 돌려 보도록 한다.
*참고문헌*
· 고도흥(2007). 언어기관의 해부와 생리
· 이무경(2007). 신경언어장애
· http://diagnosis.hallym.ac.kr/multimedia/multi_sin05.html
· http://www.gwc.maricopa.edu/class/bio201/cn/cranial.htm
· http://www.clinic-clinic.com/clncl-mdcne/EBM/CNexam.htm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12.22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93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