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괴사성 장염, 위장관 미숙 그리고 각종 소화효소 부족으로 영양 공급이 잘 되지 않아서 체중 증가가 쉽지않다. 아기들은 출생 후 얼마동안 정상적으로 생리적 체중 감소가 있는데 미숙아 경우는 만삭아보다 더 심하며 상태가 나쁠수록 적절한 영양보충이 어렵기 때문에 체중 감소가 많다.
미숙아는 출생 후 곧바로 수유를 시키기에는 소화기계가 아직 미숙한 단계이므로 초기에는 정맥 주사를 통해서 영양소와 수분을 공급한다. 정맥 주사는 보통 팔과 다리에 만들어지며 오랫동안 수유가 불가능해질 경우 배꼽에 있는 재대정맥이나 가슴 혹은 팔에 있는 큰 혈관을 찾아 긴 튜브를 삽입하여 수액주입을 하는 경우도 있다.
입으로 먹기가 힘들 경우 가느다란 튜브를 아기의 코를 통해 위 안으로 삽입하여 매 2-3시간 마다 주사기로 우유를 준다.
아기의 체중이 1.5kg이상이고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모유나 우유를 입으로 먹일 수 있게 된다. 만일 모유를 먹일 계획이면 입원 초기에 담당의사나 간호사에게 수유방법에 대해 설명을 들어야 한다. 우유를 먹이는 경우 미숙아를 위해서 특별히 제조된 미숙아 분유를 사용한다.
*괴사성 장염
괴사성장염의 증상은 다른 신생아 질병과 유사하기 때문에 간호사는 괴사성 장염의 가능성을 항상 인식하여 괴사성 장염을 조기에 발견해야 한다. 괴사성 장염은 복부팽만, 수유 전 잔유량, 혈변 여부와 장음으로 확인한다.
출혈성 경향과 빈혈
미숙아는 간 기능이 미숙하고 감염 조절이 어려우며 잦은 시술과 처치로 출혈성 경향 이 높아진다. 또한 적절한 영양 공급(특히 비타민과 무기질)이 어렵고 아기의 치료를 위해 서 혈액 검사를 자주하게 되므로 빈혈이 올 수 있다.
검사를 위해 혈액을 반복 채취하는 것은 이를 더욱 악화시킨다. 철분이나 엽산 투여는 이러한 과정을 변화시키지 못한다. 빈혈 때문에 호흡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충분히 수유하지 못한다면, 소량의 수혈로 Hb농도를 12g/dl까지 올린다.
퇴원기준
모든 영양분을 입으로 섭취할 수 있어야 하고, 지속적인 체중증가가 이루어지고, 실온에서도 체온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에 무호흡발작이나 심장박동수 저하가 없어야 하고, 주사로 투약 중이던 약물은 끊거나 먹는 약으로 바꾸어야 한다.
모든 문제가 해결된 상태라면 몸무게가 1800-2000그램 이상이 되었을 때 퇴원할 수 있다.
장기적 예후
생존한 경우라도 지능저하, 학습장애, 강직, 경련 등의 신경 후유증과 함께 눈이나 귀가 멀거나 반복성 폐렴에 걸리거나 영양실조 등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보통 2세 이전에는 다른 만삭 분만아에 비해 체중이 떨어지지만, 빠른 성장을 해서 이후에는 비슷한 체중을 보이게 된다. 사회적 문제로는 아동학대나 방임, 성장장애, 부모의 이혼 등이 있을 수 있다.
※ 참고문헌
김희숙 외(2006), 아동간호학1, 서울, 군자출판사
김미예 외(2008), 아동건강간호학 총서 신생아간호, 서울:군자출판사
김희숙 외(2007), 아동간호학 실습지침서, 서울:신광출판사
이자형 외(2006), 아동간호학, 서울:신광출판사
미숙아는 출생 후 곧바로 수유를 시키기에는 소화기계가 아직 미숙한 단계이므로 초기에는 정맥 주사를 통해서 영양소와 수분을 공급한다. 정맥 주사는 보통 팔과 다리에 만들어지며 오랫동안 수유가 불가능해질 경우 배꼽에 있는 재대정맥이나 가슴 혹은 팔에 있는 큰 혈관을 찾아 긴 튜브를 삽입하여 수액주입을 하는 경우도 있다.
입으로 먹기가 힘들 경우 가느다란 튜브를 아기의 코를 통해 위 안으로 삽입하여 매 2-3시간 마다 주사기로 우유를 준다.
아기의 체중이 1.5kg이상이고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모유나 우유를 입으로 먹일 수 있게 된다. 만일 모유를 먹일 계획이면 입원 초기에 담당의사나 간호사에게 수유방법에 대해 설명을 들어야 한다. 우유를 먹이는 경우 미숙아를 위해서 특별히 제조된 미숙아 분유를 사용한다.
*괴사성 장염
괴사성장염의 증상은 다른 신생아 질병과 유사하기 때문에 간호사는 괴사성 장염의 가능성을 항상 인식하여 괴사성 장염을 조기에 발견해야 한다. 괴사성 장염은 복부팽만, 수유 전 잔유량, 혈변 여부와 장음으로 확인한다.
출혈성 경향과 빈혈
미숙아는 간 기능이 미숙하고 감염 조절이 어려우며 잦은 시술과 처치로 출혈성 경향 이 높아진다. 또한 적절한 영양 공급(특히 비타민과 무기질)이 어렵고 아기의 치료를 위해 서 혈액 검사를 자주하게 되므로 빈혈이 올 수 있다.
검사를 위해 혈액을 반복 채취하는 것은 이를 더욱 악화시킨다. 철분이나 엽산 투여는 이러한 과정을 변화시키지 못한다. 빈혈 때문에 호흡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충분히 수유하지 못한다면, 소량의 수혈로 Hb농도를 12g/dl까지 올린다.
퇴원기준
모든 영양분을 입으로 섭취할 수 있어야 하고, 지속적인 체중증가가 이루어지고, 실온에서도 체온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에 무호흡발작이나 심장박동수 저하가 없어야 하고, 주사로 투약 중이던 약물은 끊거나 먹는 약으로 바꾸어야 한다.
모든 문제가 해결된 상태라면 몸무게가 1800-2000그램 이상이 되었을 때 퇴원할 수 있다.
장기적 예후
생존한 경우라도 지능저하, 학습장애, 강직, 경련 등의 신경 후유증과 함께 눈이나 귀가 멀거나 반복성 폐렴에 걸리거나 영양실조 등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보통 2세 이전에는 다른 만삭 분만아에 비해 체중이 떨어지지만, 빠른 성장을 해서 이후에는 비슷한 체중을 보이게 된다. 사회적 문제로는 아동학대나 방임, 성장장애, 부모의 이혼 등이 있을 수 있다.
※ 참고문헌
김희숙 외(2006), 아동간호학1, 서울, 군자출판사
김미예 외(2008), 아동건강간호학 총서 신생아간호, 서울:군자출판사
김희숙 외(2007), 아동간호학 실습지침서, 서울:신광출판사
이자형 외(2006), 아동간호학, 서울:신광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