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념과 특성
2. 배경
3. 발생과 전개
2. 배경
3. 발생과 전개
본문내용
라고 하면 후자의 경우로는 제임스 조이스가 있다. 신화를 사용함으로써 현대 문명의 공허성을 보완하려는 엘리어트의 방식은 이전의 제유의 시학으로 회귀하려는 시도로서 파스가 말한바 유추와 교감의 시학으로 복귀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반면, 제유의 시학을 무시하고 물질성과 우연성의 세계를 환유적으로 제시한 조이스의 방식은 파괴된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려는 아이러니의 세계상과 일맥상통한다.
이러한 사실은 유진 런이 모더니즘 문학의 미학적 형태와 사회적 전망의 중요한 네 가지 지향 중 하나로서 ‘비인간화와 통합적인 개인의 주체 또는 개성의 붕괴’를 거론한 사실과도 연관된다. 그에 의하면 19세기 낭만주의 문학과 사실주의 문학 양쪽 모두에는 개개의 인물이 고도로 구조화한 인격체로 제시되며 사회와 상호 관계적인 삶을 통해 그들의 개별성을 발전시킨다. 그러나 조이스, 울프, 포크너 같은 모더니스트들에게, 인물이란 일관되고 해명 가능하며 잘 구조화된 전체로 보이지 않고 심리적인 싸움터, 해결될 수 없는 수수께끼, 또는 지각이나 감각의 흐름으로 보인다.
이처럼 슐라이퍼나 파스에 의하면, 19세기 후반 서구에서는 모더니즘의 등장과 함께 제유의 시대가 끝나고 환유 혹은 아이러니의 시대가 도래하기 시작한다. 이때 환유라고 하는 것은 기호의 우연성과 물질성을 중시하는 것이고 중심적인 기의보다는 끝없이 부유하는 기표들이 텍스트에 우세한 현상을 가리키는 것이다.
참고문헌
오세영 편, 문예사조, 고려원
오생근 외, 문예사조의 새로운 이해, 문학과 지성사
김은철 외, 문에사조의 이해, 새문사
최유찬 편, 문예사조의 이해, 실천문학사
이러한 사실은 유진 런이 모더니즘 문학의 미학적 형태와 사회적 전망의 중요한 네 가지 지향 중 하나로서 ‘비인간화와 통합적인 개인의 주체 또는 개성의 붕괴’를 거론한 사실과도 연관된다. 그에 의하면 19세기 낭만주의 문학과 사실주의 문학 양쪽 모두에는 개개의 인물이 고도로 구조화한 인격체로 제시되며 사회와 상호 관계적인 삶을 통해 그들의 개별성을 발전시킨다. 그러나 조이스, 울프, 포크너 같은 모더니스트들에게, 인물이란 일관되고 해명 가능하며 잘 구조화된 전체로 보이지 않고 심리적인 싸움터, 해결될 수 없는 수수께끼, 또는 지각이나 감각의 흐름으로 보인다.
이처럼 슐라이퍼나 파스에 의하면, 19세기 후반 서구에서는 모더니즘의 등장과 함께 제유의 시대가 끝나고 환유 혹은 아이러니의 시대가 도래하기 시작한다. 이때 환유라고 하는 것은 기호의 우연성과 물질성을 중시하는 것이고 중심적인 기의보다는 끝없이 부유하는 기표들이 텍스트에 우세한 현상을 가리키는 것이다.
참고문헌
오세영 편, 문예사조, 고려원
오생근 외, 문예사조의 새로운 이해, 문학과 지성사
김은철 외, 문에사조의 이해, 새문사
최유찬 편, 문예사조의 이해, 실천문학사
추천자료
포스트모던 여성주의 방법론 비판
이상의 사상과 문학에 관하여
[광고론]포스터모던한 티저광고와 N세대
1930년대 한국 현대 문학사
마술적 사실주의의 역사적 맥락과 한국문학에서의 마술적 사실주의
재현의 위기 속에서 기독교적 담론은 가능한가 ― 포스트모던과 신학적인 실천적 담론으로의 ...
지식에 관한 포스트모던의 관점 및 조건
[모더니즘 시][1930년대 모더니즘 시][1950년대 모더니즘 시][1980년대 모더니즘 시][모더니...
모더니즘의 배경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및 포스트모더니즘적 조직...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포스트모더니즘과 대중문화,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모더니즘의 기원, 포스트모더니즘의 의미,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포스트모...
포스트모더니즘 개념과 특징, 포스트모더니즘의 갈래,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배경, 포스트모...
[현대의 서양문화] 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 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양상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