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교실붕괴’의 원인
Ⅱ. 결론, 교실붕괴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Ⅱ. 본론
‘교실붕괴’의 원인
Ⅱ. 결론, 교실붕괴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본문내용
이었지만 미래 교직에 몸담을 나로서는 참 씁쓸한 말이었다. 그리고 이글을 쓴 학생에게 약간 화가 나기도 했다. 물론 미래에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를 꿈꾸고 있기에, 의식적으로 교사의 편을 들은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나는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그 글을 보고 한 가지 생각을 하게 되었다. “교사의 질적 하락과 교실붕괴.” 교사의 질이 떨어지고 학생이 수업시간에 집중을 하지 못하는 것은 계속되는 반복이다. ‘계란이 먼저냐 닭이 먼저냐’처럼 쉽게 답을 내릴 순 없지만, 학생들이 수업시간을 의도적으로 무시하니 교사들도 ‘제대로 듣지도 않는 것 열심히 준비해서 뭐하냐.’는 마인드를 품게 되는 것은 교사도 인간이라는 측면에서 당연한 일이다. 혹은, 교사의 질이 먼저 떨어졌기에,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을 못한 것일 수도 있다. 어쨌든 둘 중 어떤 것이 먼저든지, ‘이런 사이클이 계속 반복되면서 공교육에 타격을 주지 않았는가?’라고 생각을 해보게 된 짧은 글이었다.
하지만 방금 같은 문제는 역으로 생각하면 오히려 상당히 쉽게 풀어나갈 수 있는 문제로도 보인다. 이번엔 교사가 먼저 스스로의 마인드를 다잡고 열심히 능력과 역량을 키운다면 자연스레 학생의 집중도는 올라갈 것이고 교사는 이번에 “아이들이 내 수업을 잘 들어주니까 더욱 열심히 준비해 가야지”라고 반응을 보이지 않을까? 혹은, 학생들이 먼저 수업에 한번 집중해 준다면 교사들의 수업 준비도가 높아질 것은 당연한 수순일 것임은 틀림이 없다.
이런 것이 바로 신뢰이다. 상당히 단순한 예시였고, 복잡한 교실붕괴의 과정을 수업의 질 하락과 교실붕괴로 아주 간략화 시킨 것이지만 난 이것을 통해서 신뢰의 중요성을 한번 강조해 보고 싶었다. 물론 이 신뢰는 단순히 학생과 교사,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에서만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학생, 교사, 학부모, 학교, 교육정책 등 교육과 관련된 모든 구성요소들 간에는 서로간의 끈끈한 신뢰가 필요하다.
학부모가 대학 입시에서 공교육을 믿지 못했기에 아이들을 학원으로 내몰았고, 사교육이 이처럼 성행하게 된 것이 아닌가? 또한 정부가 교사를 믿지 못했기에 IMF시절 정년을 축소하고 교사의 구조조정을 단행한 것이 아닌가? 또한 교사가 학생을 믿지 못했기에 학생이 불량 학생으로 낙인 찍혀버린 것은 아닌가? 난 이처럼 많은 현대 교육의 문제점은 신뢰의 부족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생각한다.
무엇이든 100%만족을 시켜줄 수 있는 것은 없다. 다만 100%를 향해 나아갈 뿐이다. 교육도 마찬가지다. 학생을 나쁜 길로 인도하려는 교사가 있을까? 학생을 교육의 테두리 밖에 놓고 싶은 교육 정책자가 있을까? 자신의 아이가 만족스럽지 못한 대학에 가기를 바라는 부모가 있을까? 교육 구성에 관련된 모든 이들은 “학생의 올바른 선도”라는 취지아래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모든 학생, 모든 교사, 모든 학부모를 만족시킬만한 교육정책은 있을 수가 없다. 하지만 다만 바라는 것은 학생을 선도하고 학생의 능력을 키워주는 교육에 있어서 낙오된 학생의 수를 최소한으로 줄이기를 원하는 것이다. 한 번 더 서로를 믿어볼 순 없을까? 누가 무엇을 잘못했고 시시비비를 따지는 것이 그렇게 중요한 것일까? 물론 잘못된 일을 지적하고 올바른 길로 전환 시키는 것은 분명 필요하다. 하지만 잘못된 점만을 부각시킨 후 무조건적인 반대는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온다고 난 확신한다. 교실·학교 붕괴를 걱정하고, 원인과 해결 방안을 찾고 있는 지금 이 순간도 교실은 무너져 가고 있다.
한 번 더 참아보고 기회를 줄 것이냐, 아니면 비난하며 가던 길을 포기할 것이냐의 두 갈래 길에 서있는 우리 교육의 현실이다. 단호한 결단이 필요한 시기이다.
그런데 나는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그 글을 보고 한 가지 생각을 하게 되었다. “교사의 질적 하락과 교실붕괴.” 교사의 질이 떨어지고 학생이 수업시간에 집중을 하지 못하는 것은 계속되는 반복이다. ‘계란이 먼저냐 닭이 먼저냐’처럼 쉽게 답을 내릴 순 없지만, 학생들이 수업시간을 의도적으로 무시하니 교사들도 ‘제대로 듣지도 않는 것 열심히 준비해서 뭐하냐.’는 마인드를 품게 되는 것은 교사도 인간이라는 측면에서 당연한 일이다. 혹은, 교사의 질이 먼저 떨어졌기에,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을 못한 것일 수도 있다. 어쨌든 둘 중 어떤 것이 먼저든지, ‘이런 사이클이 계속 반복되면서 공교육에 타격을 주지 않았는가?’라고 생각을 해보게 된 짧은 글이었다.
하지만 방금 같은 문제는 역으로 생각하면 오히려 상당히 쉽게 풀어나갈 수 있는 문제로도 보인다. 이번엔 교사가 먼저 스스로의 마인드를 다잡고 열심히 능력과 역량을 키운다면 자연스레 학생의 집중도는 올라갈 것이고 교사는 이번에 “아이들이 내 수업을 잘 들어주니까 더욱 열심히 준비해 가야지”라고 반응을 보이지 않을까? 혹은, 학생들이 먼저 수업에 한번 집중해 준다면 교사들의 수업 준비도가 높아질 것은 당연한 수순일 것임은 틀림이 없다.
이런 것이 바로 신뢰이다. 상당히 단순한 예시였고, 복잡한 교실붕괴의 과정을 수업의 질 하락과 교실붕괴로 아주 간략화 시킨 것이지만 난 이것을 통해서 신뢰의 중요성을 한번 강조해 보고 싶었다. 물론 이 신뢰는 단순히 학생과 교사,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에서만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학생, 교사, 학부모, 학교, 교육정책 등 교육과 관련된 모든 구성요소들 간에는 서로간의 끈끈한 신뢰가 필요하다.
학부모가 대학 입시에서 공교육을 믿지 못했기에 아이들을 학원으로 내몰았고, 사교육이 이처럼 성행하게 된 것이 아닌가? 또한 정부가 교사를 믿지 못했기에 IMF시절 정년을 축소하고 교사의 구조조정을 단행한 것이 아닌가? 또한 교사가 학생을 믿지 못했기에 학생이 불량 학생으로 낙인 찍혀버린 것은 아닌가? 난 이처럼 많은 현대 교육의 문제점은 신뢰의 부족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생각한다.
무엇이든 100%만족을 시켜줄 수 있는 것은 없다. 다만 100%를 향해 나아갈 뿐이다. 교육도 마찬가지다. 학생을 나쁜 길로 인도하려는 교사가 있을까? 학생을 교육의 테두리 밖에 놓고 싶은 교육 정책자가 있을까? 자신의 아이가 만족스럽지 못한 대학에 가기를 바라는 부모가 있을까? 교육 구성에 관련된 모든 이들은 “학생의 올바른 선도”라는 취지아래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모든 학생, 모든 교사, 모든 학부모를 만족시킬만한 교육정책은 있을 수가 없다. 하지만 다만 바라는 것은 학생을 선도하고 학생의 능력을 키워주는 교육에 있어서 낙오된 학생의 수를 최소한으로 줄이기를 원하는 것이다. 한 번 더 서로를 믿어볼 순 없을까? 누가 무엇을 잘못했고 시시비비를 따지는 것이 그렇게 중요한 것일까? 물론 잘못된 일을 지적하고 올바른 길로 전환 시키는 것은 분명 필요하다. 하지만 잘못된 점만을 부각시킨 후 무조건적인 반대는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온다고 난 확신한다. 교실·학교 붕괴를 걱정하고, 원인과 해결 방안을 찾고 있는 지금 이 순간도 교실은 무너져 가고 있다.
한 번 더 참아보고 기회를 줄 것이냐, 아니면 비난하며 가던 길을 포기할 것이냐의 두 갈래 길에 서있는 우리 교육의 현실이다. 단호한 결단이 필요한 시기이다.
추천자료
교육심리학
교육심리학
[논문] 사이버 공간에서의 교육심리학의 역할: 상담영역을 중심
[교육심리학]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중등학교 현장에서의 진로지도와 교육심리학의 적용
[교육심리학, 교육심리] 교육심리학 요점정리 서브노트
연구로 본 교육심리학 정리
우리 아이들의 성격발달에 관한 고찰 PPT 교육심리학적 접근
[교육심리학] (A+)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시오.
교육심리학-학습의_ 행동주의적_접근
교육심리학- 지능과_창의성(완성)~!!
[교육심리학] 성격과 적응
[교육education심리학] 발달의 개념 및 발달 연구의 동향 (발달의 정의, 발달에 대한 주요 논...
교육심리학의 연구영역을 제시하고 영역별 연구주제 및 연구동향에 관해 조사하여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