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속의 언어- 신문언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신문기사의 언어적 특징

1. 당연한 듯 쓰이는 외래어

2. 쓰지 말아야 할 일본말

3. 지나친 과장과 극단적 표현

4. 한자어를 비롯한 용어의 어려움

Ⅲ.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풀어쓰는 습관을 길러야 할 것이다.
Ⅲ. 맺음말
한 나라가 얼마나 문화 선진국인가를 알아보는 문화의 척도를 국민들의 글쓰기 능력에 두어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국어학자도 있었다. 모든 국민이 높은 글쓰기 수준을 갖추었다면 그 나라는 결코 문화후진국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신문은 영향력있는 매체로서 사명감을 가지고 바르고 좋은 글을 쓰는 데 노력해야 한다. 특히 '우리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외국말과 외국문법을 마치 우리말이나 우리문법 인양 쓰고 있는 점은 신문이 반성하고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우리의 신문 보도 언어는 외래어 남용, 어려운 말, 일본식 용어, 과장된 표현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서양에서 들어온 외래어 남용 현상과 일본식 한자말은 인식전환과 함께 고쳐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점이라 생각된다. 신문의 잘못된 보도 언어는 우리말을 훼손하고 독자들에게 잘못된 언어습관을 만들고 있어 그 문제가 더욱 크다.
따라서 신문은 격식을 따지기 보다는 우리의 고유 언어를 살리고 편리하고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신문은 권위 높은 존재가 아닌 독자에게 가까이 다가가려는 자세를 가져야 하며, 단순히 독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선정적인 언어보다는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언어를 보도 언어로 사용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양주동, 국어대사전, 양문출판사, 1991.
임태섭, 이원락, <보도 언어론>, 삼성언론재단, 1983.
중앙일보 2006년 4월 22일.
파이낸셜뉴스 2006년 4월 21일.
한겨례 2006년 3월 10일.
한국경제 2006년 4월 18일.
  • 가격3,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11.01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8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