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가. 음성기관의 의미
나. 발동부
다. 발성부
라. 발음부
3. 결론
1. 서론
2. 본론
가. 음성기관의 의미
나. 발동부
다. 발성부
라. 발음부
3. 결론
본문내용
두의 위쪽에는 여린 입천장의 끄트머리가 늘어져 있고, 그 끝에 목젖이 달려 있는데, 여기에서 공기의 통로는 두 길로 나뉜다.
목젖을 인두의 뒷벽에 갖두 붙이면, 공기는 입 안으로 나오게 된다. 이렇게 하여 내는 소리를 ‘입소리’라한다. 우리말의 홀소리는 모두 입소리 이다.
목젖을 인두벽에서 떼어서 밑으로 늘어뜨려 놓고, 입안의 어떤 자리를 막으면, 공기는 코로 나오게 되는데, 이렇게 해서 내는 소리를 ‘콧소리’ 라 한다.
목젖을 늘어뜨리고 입안의 어떤 자리에서 막지도 않으면, 공기는 코와 입으로 동시에 나오게 된다.
코안은 그 꼴이 고정되어 있어서, 목청을 떨어울려서 내는 소리에 대한 공명기의 구실밖에 하는 일이 없으나, 입 안에는 입천장과 움직임이 매우 재빠른 혀와 입술이 있어서, 하고많은 말소리는 주로 여기에서 분화된다. 그러므로 발음부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부분이 입안이다.
혀끝으로 윗니 뒤쪽에서 안으로 핥아 들어가면, 윗니 뒤쪽에 두두룩한 데가 있는데, 여기가 ‘잇몸’ 이다. 그 안쪽으로 단단한 입천장이 있으니, 여기를 ‘센 입천장(경구개)’이다.
잇몸 - 센 입천장 - 여린 입천장은 각각 그 특색이 뚜렸하여 입안의 천장을 이 세 부분으로 나누기는 쉽다. 그러나 혓바닥에는 이런 경계가 없음으로, 혓바닥 자체만으로는 몇 부분으로 나뉠 수 없다. 하지만 입을 다물었을 때 입천장에 맞닿아 있는 혀의 모습으로 몇 부분나뉜다.
혀의 아주 끝은 ‘혀의 부리’인데, 이부분은 윗니의 뒤쪽에 닿는다. 윗잇몸에 닿는 혀의 부분은 ‘혀끝’, 센 입천장에 닿는 부분은 ‘앞 혓바닥’ 여린 입천장에 닿는 부분은 ‘뒤 혓바닥’ 인두벽과 맞서 있는 부분은 ‘혀뿌리’이다.
센 입천장과 앞 혓바닥, 여린 입천장과 뒤 혓바닥은 그 범위가 넓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앞과뒤, 또는 앞과 가운데와 뒤로 나누는 일도 있다.
결론
앞서 우리는 우리가 소리를 낼 수 있게 하는 음성기관에 대해 알아 보았다. 음성을 내기 위해서는 발성부, 발동부, 발음부 에 속해 있는 기관 하나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었으며, 그 중 일부만이라도 이상이 있거나 손상이 있으면 언어 장애로 까지 갈 수 있다는 것을 알 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인류를 사회화로 이끈 음성과 음성기관의 중요성을 항상 숙지해야 할 것이며, 우리 신체를 성하게 하는 일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음성기관의 의미와 역할을 앎으로써 음성학을 더더욱 이해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목젖을 인두의 뒷벽에 갖두 붙이면, 공기는 입 안으로 나오게 된다. 이렇게 하여 내는 소리를 ‘입소리’라한다. 우리말의 홀소리는 모두 입소리 이다.
목젖을 인두벽에서 떼어서 밑으로 늘어뜨려 놓고, 입안의 어떤 자리를 막으면, 공기는 코로 나오게 되는데, 이렇게 해서 내는 소리를 ‘콧소리’ 라 한다.
목젖을 늘어뜨리고 입안의 어떤 자리에서 막지도 않으면, 공기는 코와 입으로 동시에 나오게 된다.
코안은 그 꼴이 고정되어 있어서, 목청을 떨어울려서 내는 소리에 대한 공명기의 구실밖에 하는 일이 없으나, 입 안에는 입천장과 움직임이 매우 재빠른 혀와 입술이 있어서, 하고많은 말소리는 주로 여기에서 분화된다. 그러므로 발음부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부분이 입안이다.
혀끝으로 윗니 뒤쪽에서 안으로 핥아 들어가면, 윗니 뒤쪽에 두두룩한 데가 있는데, 여기가 ‘잇몸’ 이다. 그 안쪽으로 단단한 입천장이 있으니, 여기를 ‘센 입천장(경구개)’이다.
잇몸 - 센 입천장 - 여린 입천장은 각각 그 특색이 뚜렸하여 입안의 천장을 이 세 부분으로 나누기는 쉽다. 그러나 혓바닥에는 이런 경계가 없음으로, 혓바닥 자체만으로는 몇 부분으로 나뉠 수 없다. 하지만 입을 다물었을 때 입천장에 맞닿아 있는 혀의 모습으로 몇 부분나뉜다.
혀의 아주 끝은 ‘혀의 부리’인데, 이부분은 윗니의 뒤쪽에 닿는다. 윗잇몸에 닿는 혀의 부분은 ‘혀끝’, 센 입천장에 닿는 부분은 ‘앞 혓바닥’ 여린 입천장에 닿는 부분은 ‘뒤 혓바닥’ 인두벽과 맞서 있는 부분은 ‘혀뿌리’이다.
센 입천장과 앞 혓바닥, 여린 입천장과 뒤 혓바닥은 그 범위가 넓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앞과뒤, 또는 앞과 가운데와 뒤로 나누는 일도 있다.
결론
앞서 우리는 우리가 소리를 낼 수 있게 하는 음성기관에 대해 알아 보았다. 음성을 내기 위해서는 발성부, 발동부, 발음부 에 속해 있는 기관 하나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었으며, 그 중 일부만이라도 이상이 있거나 손상이 있으면 언어 장애로 까지 갈 수 있다는 것을 알 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인류를 사회화로 이끈 음성과 음성기관의 중요성을 항상 숙지해야 할 것이며, 우리 신체를 성하게 하는 일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음성기관의 의미와 역할을 앎으로써 음성학을 더더욱 이해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추천자료
[5 18 광주민주화운동][광주항쟁][광주사태][5 18광주민주항쟁][5 18민주화운동]5 18 광주민...
[IMT-2000][차세대이동통신]IMT-2000(차세대이동통신)의 의의, 추진배경, 역할과 IMT-2000(차...
[텔레비전토론][TV토론][토론프로그램][공론장][토론][티비토론]공론장으로서 텔레비전 토론...
[노인교육][노인][노인교육 의의][노인교육 기관][노인교육 법적지원]노인교육의 기능, 노인...
[노인복지시설][노인복지관][노인복지]노인복지시설의 중요성, 노인복지시설의 분류, 노인복...
[광고매체] 광고매체의 개념(의의)과 유형, 역할, 중요성
[유아교육] 극놀이(정의, 개념, 구성, 환경구성, 극놀이의 발달단계, 교육적 의의, 교사의 역할)
[사회복지조사론] (A+) 사회복지조사의 개념, 필요성, 의의, 특성, 기능 및 역할에 대해 서술
사회보험제도인 국민연금법과 공공부조제도인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의의 및 사회안전망 차원...
의료기관醫療機關인증제도의 이해 - 의료기관인증제도의 도입 배경과 의의, 의료기관인증제도...
[중앙인사행정기관 (中央人事機關機關)] 중앙인사행정기관의 의의(개념)와 기능, 외국의 중앙...
[책임운영기관 責任運營機關] 책임운영기관의 의의(개념) 및 등장배경, 주요내용 및 특징, 책...
중앙인사기관 (中央人事機關) - 중앙인사기관의 의의(개념)와 조직형태, 중앙인사기관 기능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의미와 의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고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