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마을 언어학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마을 언어학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반지 vs 가락지

\'동무\' 이데올로기적 콤플렉스?

알맞은 단어 넣기

\'애련\' 그녀의 이름 속 의미

어설픈 중국말의 조합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덮으며

본문내용

우리말 실력은? 반지와 가락지의 차이'를 주제로 잡아서 감상문을 쓰는 이유는 다른 장들 보다 우리 스스로가 우리말을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 또 우리말에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한 생각을 가장 많이 하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제 8장으로 인해서 내가 국문학도로서 가지고 있었던 헛된 자만심을 버릴 수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는 아름다운 고유의 우리나라 말보다 시대의 흐름에 맞춰나가기 위해 무조건적으로 영어만을 고집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발맞춰 영어를 공부하는 것은 필수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자기 나라의 말조차 제대로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영어를 배우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심지어 영어를 우리나라의 공용어로 지정하자는 터무니없는 주장이 과연 적당한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해본다. 우리말은 내팽겨 둔 채 영어만을 고집하고 한글을 천시하는 조선의 후손들을 보며 하늘에 계신 세종대왕께서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리고 계실지는 모를 일이다. 나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모든 국민들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우리나라의 말을 아끼고 발전시키는 것이 진정한 나라의 발전을 도모하는 길임을 깨닫기를 바라면서 이 글을 마무리 짓는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11.05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96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