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베어올린 사람을 포상하며 효행을 권장했다.
중국인들은 단지 인육뿐만 아니라 인체의 일부분, 예컨대 사람의 쓸개나 뼈, 머리털, 손톱발톱 등을 비롯해서 그밖에 기묘한 것까지, 모두 의약으로서 효능이 있다고 믿고 있다. 때문에 병을 치료할 목적으로 타인의 생명을 끊고, 그의 살이라든가 간 따위를 베어가는 흉악한 행위가 고대로부터 꽤 많이 있었다.
마지막은 문학작품 속의 식인 이야기다. 중국의 잡극·패사·소설 등의 내용 중에도 인육 식용에 관한 묘사가 적지 않다. 『삼국지연의』를 보면 유비가 유안의 집에 묵게 되었을 때 그의 처의 살로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는 장면이 묘사 되어있고, 『수호지』,『서유기』에도 곳곳에 인육을 먹는 내용이 보인다. 근대에 이르러 서양인들이 대거 중국에 와서 활동하면서, 중국을 무대로 한 문학 작품을 발표하기도 했는데 그 가운데 펄 벅의『대지』의 앞부분에는, 극심한 가뭄이 든 해의 상황과 인육을 먹은 것을 암시하는 대목이 묘사되어 있다.
중국에서의 식인 사건을 보면 대부분은 전쟁 중 식량고갈,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발생하였고 특수한 경우 기호식품으로서, 약품으로서 인육이 쓰였다.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난세의 극단의 상황에서의 살아남기 위해서 식인을 했기 때문에 인정머리 없는 짓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나는 그런 상황을 겪어본 적이 없어서 그런지 굶어 죽으면 죽었지 사람을 잡아먹는 짓은 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책을 읽으며 얼마나 극한 상황이면 식인행위까지 하게 되었는지, 민들이 식인을 하게끔 만들었던 중국역사가 얼마나 참담했는지를 깨달을 수 있었다.
중국인들은 단지 인육뿐만 아니라 인체의 일부분, 예컨대 사람의 쓸개나 뼈, 머리털, 손톱발톱 등을 비롯해서 그밖에 기묘한 것까지, 모두 의약으로서 효능이 있다고 믿고 있다. 때문에 병을 치료할 목적으로 타인의 생명을 끊고, 그의 살이라든가 간 따위를 베어가는 흉악한 행위가 고대로부터 꽤 많이 있었다.
마지막은 문학작품 속의 식인 이야기다. 중국의 잡극·패사·소설 등의 내용 중에도 인육 식용에 관한 묘사가 적지 않다. 『삼국지연의』를 보면 유비가 유안의 집에 묵게 되었을 때 그의 처의 살로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는 장면이 묘사 되어있고, 『수호지』,『서유기』에도 곳곳에 인육을 먹는 내용이 보인다. 근대에 이르러 서양인들이 대거 중국에 와서 활동하면서, 중국을 무대로 한 문학 작품을 발표하기도 했는데 그 가운데 펄 벅의『대지』의 앞부분에는, 극심한 가뭄이 든 해의 상황과 인육을 먹은 것을 암시하는 대목이 묘사되어 있다.
중국에서의 식인 사건을 보면 대부분은 전쟁 중 식량고갈,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발생하였고 특수한 경우 기호식품으로서, 약품으로서 인육이 쓰였다.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난세의 극단의 상황에서의 살아남기 위해서 식인을 했기 때문에 인정머리 없는 짓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나는 그런 상황을 겪어본 적이 없어서 그런지 굶어 죽으면 죽었지 사람을 잡아먹는 짓은 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책을 읽으며 얼마나 극한 상황이면 식인행위까지 하게 되었는지, 민들이 식인을 하게끔 만들었던 중국역사가 얼마나 참담했는지를 깨달을 수 있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