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민족적인 것이 가장 한국적인 것이다. - 오방색, 공동체의식, 한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장 민족적인 것이 가장 한국적인 것이다. - 오방색, 공동체의식, 한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오방색
ㄱ.유래
ㄴ.종류
ㄷ.의의

2. 공동체의식
ㄱ.정의
ㄴ.기원(유래)
ㄷ.발전방향

3. 한지
ㄱ.개념과 분류
ㄴ.제작방법
ㄷ.고유문화로서의 가치

본문내용

이야기가 지록으로 전해지고 있을 정도이다. 우리나라의 종이 문화는 삼국시대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그 후 2천년 가까이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종이 생산국으로서의 명성을 떨쳐왔다, 그러나 외래문물이 쏟아져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전통 한지는 점차 뒷전으로 밀려나게 되고 그 자리를 서양종이가 차지하게 되었다. 결국 우리는 서양종이라는 ‘물건’을 취하게 됨으로써 우리한지의 ‘스밈과 여백의 문화’를 잃어버리게 된 것이다.
그러면 한지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하고 오래가는 중성지인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한지의 재료와 그 만드는 과정에 비밀이 숨어있다. 한지는 닥나무로 만든다. 닥나무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 한지를 만드는데 1년생 가지가 좋은데 길이는 2~3m정도이다. 같은 종류의 닥나무라도 기후, 토질에 따라 섬유의 폭, 길이 등이 달라져 품질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닥풀 (황촉규:Hibiscue mamihot.L)은 아욱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이다. 닥풀은 뿌리에 점액이 많기 때문에 종이만들 때 지통에서 섬유가 빨리 가라앉지 않고 물속에 고루 퍼지게 하여 종이를 뜰 때 섬유의 접착이 잘 되도록 한다. 또한 발에서 물 빠지는 속도를 조절하여 물지를 쉽게 하여 종이의 질을 고르게 하는 작용을 한다. 그래서 닥풀의 농도가 낮으면 종이를 뜰 때 물 빠짐이 빨라 두꺼운 종이가 만들어지고 농도가 높으면 물 빠짐이 나빠 얇은 종이가 된다. 우리한지는 우리 선조들이 재료의 성질을 잘 파악하여 닥나무에 리그닌과 홀로셀룰로오즈 성분이 이상적으로 함유되어 있는 시기인 가을에 채취하여 알칼리성을 전통 잿물로 표백하고 닥풀 (황촉규)을 접착제로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우수하고 오래가는 중성지를 탄생시켰다. 잿물은 주성분이 산화칼륨으로 이성분의 양에 따라 잿물의 염기도가 증가되며 이밖에도 인, 산화나트륨 및 산화칼륨의 양이 많으면 약알칼리로 만든다는 것이 분석결과 나타났다. 특히 닥풀은 주성분이 당류로서 종이를 뜰 때 닥나무의 섬유 점착을 좋게 해주어 종이의 가도를 증가시키며 얇은 종이를 만드는데 유리하고 순간적인 산화가 빨라 겹친 젖은 종이가 떨어지기 쉽게 한다. 한지를 만드는 송정 또한 펄프종이보다 더 과학적이라는 사실에 우리 조상들의 과학슬기가 얼마나 우수했는가를 알 수 있다.
우리가 보편적으로 쓰고 있는 종이는 로진사이즈 처리와 황산알루미늄의 사용으로 강한 산성(ph4-5.5)을 띠게 되어 세월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가수분해로 종이가 열화 되어 100여년 정도 지나면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분해 되고 만다. 또한 우리 고유의 방법으로 만들지 않는 한지는 비록 펄프종이의 함유성분이 우리 한지를 만드는 성분과 비슷하다고 할지라도 표백용으로 첨가되는 수산화나트륨과 차아염소산으로 인하여 산성을 띠게 되고 표백 과정 중에 종이의 섬유조직이 상하게 되어 보존성이 훨씬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조과정의 차이로 우리한지는 천년이 지나도 종이가 보존되는 반면 펄프종이는 오랜 기간의 보존이 불가능 하게 된다. 이러한 우리 겨레의 과학슬기가 듬뿍 담긴 전통한지의 많은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현대 제지공업과 접목한다면 새로운 용도, 즉 장판지, 도배지, 한지 장식품, 장기간의 보존을 필요로 하는 서적용은 물론이고 기계적으로 흡음성과 밀도가 뛰어나 스피커의 음향 판이나 밀폐용 개스킷 등 첨단 소재개발에 얼마든지 응용이 가능하다. 그런 까닭에 옛 문헌과 옛 유물의 철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대량생산을 위한 기술개발에 노력하고 한지의 우수성을 정량화하여 수출전략에 힘씀으로써 우리 선조들의 지혜를 세계만방에 떨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진정한 과학기술의 세계화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11.22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21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