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쟁의행위의 정당성 판단 관련 법리
2. 정당성 판단 기준 관련 주요 판례
2. 정당성 판단 기준 관련 주요 판례
본문내용
단체교섭의 주체로 될 수 있는 자에 의하여 행해진 것이어야 하고 둘째로, 노사의 자치적 교섭을 조성하기 위하여하는 것이어야 하며 셋째로, 사용자가 근로자의 근로조건의 개선에 관한 구체적 요구에 대하여 단체교섭을 거부하거나 단체교섭의 자리에서 그러한 요구를 거부하는 회답을 했을 때에 개시하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사전 신고를 거쳐서 행하여야 하고(노쟁법 제16조) 넷째로 쟁의권의 행사방법은 노무의 제공을 전면적 또는 부분적으로 정지하는 것이어야 함은 물론 공정성의 원칙에 따라야 할 것임은 노사관계의 신의칙상 당연하며 사용자의 기업시설에 대한 소유권 기타의 재산권과도 조화를 기해야 하고 폭력의 행사는 신체의 자유, 안전이라는 법질서의 기본원칙에 반하는 것이므로 허용될 수 없다(노쟁법 제13조). (대법원 1990. 5. 15. 선고 90도357 판결) 같은 취지의 판례들로 대법원 1991. 5. 14. 선고 90누4006 판결, 1992. 1. 21. 선고 91누5204 판결, 1992. 3. 13. 선고 91누10473 판결, 1992. 5. 12. 선고 91다34523 판결, 1992. 6. 26. 선고 91다42982 판결 등이 있다.
추천자료
노동조합의 언론의 자유
[헌법]근로3권의 의의 및 내용에 대한 검토
노동조합 활동이란 무엇인가
세계노동운동의 역사
준법투쟁
일조권 및 조망권에 대하여
직위해제에 대하여
조합활동과 노무지휘권의 충돌 문제
[노동분쟁][노동분쟁조정제도][미국 노동분쟁조정제도]노동분쟁의 대상과 노동분쟁조정제도의...
조합활동의 범위에 대한 법적 검토
기업윤리와 사회적 책임 대해서
[벤처기업 창업절차][벤처기업 창업절차 전략]벤처기업 창업절차의 확인신청, 벤처기업 창업...
[노사관계론] 코레일 철도노조 파업 사례 - 합법파업에의 노력을 불법으로 만든 국가와 법체...
2018년 1학기 지적재산권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생명공학 발명 대표적인 3가지 종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