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징계절차위반과 부당노동행위 성립
2. 단체협약을 위반한 징계절차와 부당노동행위 성부
2. 단체협약을 위반한 징계절차와 부당노동행위 성부
본문내용
의 부당노동행위와 관련되어 있음이 인정되지 아니한다는 것이며 소론의 갑제8호증이나 원심증인 이○○, 권○○의 증언에 의하여도 이를 인정하기 어려워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은 수긍이 되는 바이므로 설사 기아기공이 생산직근로자인 원고를 해고함에 있어 정계위원회를 거쳐야 하는데 인사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서 하였고 또 원고를 해고함에 있어 변명의 기회를 주지 아니한 것이 절차상 잘못이라고 하더라도 이와 같은 사유가 해고무효의 이유가 될 수 있음은 별론으로 하고 이 때문에 기아기공의 해고행위가 부당노동해위가 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며 따라서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판단을 유탈한 부분이 있다고 하여도 이는 판결에 영향이 없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89. 5. 23. 선고 88누4508 판결)
추천자료
우리 나라 해고제한 법리 및 기간제 근로
행정법의 일반원리에 대하여(신뢰보호원칙, 비례의 원칙, 행정의 자기구속 원칙, 부당결부금...
직장 내 성희롱을 중심으로 살펴본 피해자 보호의 문제 및 해결 방안
위법한 쟁의행위의 책임에 대한 쟁점
쟁위행위의 정당성
해고협의 및 동의조항에 대한 법적 검토
노동위원회를 통한 권리분쟁 해결의 문제점
최근 우리나라 노사관계와 노동계 중요쟁점 (비정규직/공무원 노조/청년실업)
쟁의행위 정당성 요건 중 시기 절차 관련 판례 검토
군무이탈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세상읽기와 논술 C형] 최근 쌍용 자동차, 한진중공업 노동자 파업과 해직사태와 관련하여 해...
비정규직노동자의 법률적 문제점, 경기보조원의 법률적 문제점, 계약이전제도의 법률적 문제...
[공인노무사][노동관계전문가][노무사]공인노무사(노동관계전문가)의 업무, 공인노무사(노동...
징계해고와 관련한 노동법 판례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