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3
Ⅱ. 자질이론
1. 의미와 특성 3
2. 비판과 의의 5
Ⅲ. 행태이론
1. 발달과정과 특징 5
2. 주요이론과 연구사례 6
3. 비판 7
Ⅳ. 상황이론
1. 발달과정과 특징 8
2. 주요이론과 의의 8
3. 비판 12
Ⅴ. 현대의 새로운 이론들 13
Ⅵ. 결어 13
* 참고문헌 15
Ⅱ. 자질이론
1. 의미와 특성 3
2. 비판과 의의 5
Ⅲ. 행태이론
1. 발달과정과 특징 5
2. 주요이론과 연구사례 6
3. 비판 7
Ⅳ. 상황이론
1. 발달과정과 특징 8
2. 주요이론과 의의 8
3. 비판 12
Ⅴ. 현대의 새로운 이론들 13
Ⅵ. 결어 13
* 참고문헌 15
본문내용
맡을 능력은 없으나
의욕이나 자신감이 있을 때에는 설득적 리더십이 효과적이다.
③ S3형 : 종업원의 성숙도가 보통 수준 이상(M3), 즉 지도자가 원하는 일을
수행할 능력은 있으나 자발적인 의욕이 없을 때에는 참여적
리더십이 효과적이다.
④ S4형 : 종업원의 성숙도가 높은 수준(M4), 즉 책임을 맡을 능력도 있고 자
발적인 의욕이나 자신감이 있을 때에는 위양적 리더십이 효과적이
다.
(2) 비판과 의의
이 이론은 가정된 관계에 대한 논리가 빈약하며, 또한 추종자의 성숙도를 단지 피상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상황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키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경험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판을 많이 받고 있다.
하지만 이 이론은 리더십 행사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 융통성을 발휘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는 점과 지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3. 비판
1) 상황이 리더십의 결정요인이면 시대적 상황이 바뀌었음에도 오랜 세월에 걸
쳐 지도자 역할을 하는 사람을 설명할 수 없다. 또한, 지도자 자신의 자질과
리더십의 유형을 시대적 요청에 맞추어 변화시켜 나가는 것은 결코 쉬운 일
이 아니다.
2) 리더십의 효과성이 상황적 요인에 달려져 있다고 하지만, 이러한 상황적 변
수 및 집단 구성원 관련 변수, 그리고 그들 변수들과 리더십과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히기는 어렵다.
3) 각 이론들은 편의적으로 한두 가지 변수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였다.
Ⅴ. 현대의 새로운 이론들
최근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 leadership)은 조직 성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특정 개인의 뛰어난 자질 또는 카리스마(charisma)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한 유형(Kouze & Posner, 1990; Howell & Frost, 1989; 249-269) 또는 특성(자질)이론의 재등장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한 유형이라 보는 것은 그 변혁적 리더십의 근원에서 볼 수 있다. 그 근원은 멀리는 베버(M.weber)의 권위의 유형에 따른 리더십 모형에서, 가까이는 하우스의 카리스마적 리더십 이론에서 찾을 수 있다. 베버에 의하면, 카리스마적 권위는 규칙, 직위 또는 전통이 아니라 리더의 초자연적인 또는 초인간적인 자질에서 획득된다고 하였다. 이와는 달리 하우스(House, 1977: 189-207)는 카리스마적 권위의 정당성은 리더의 초자연적인 특성보다는 카리스마적 리더의 특성이나 행태, 그리고 카리스마적 리더십이 발휘되는 상황적 조건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기존의 전통적 리더십 이론의 대부분은 리더십은 주로 부하의 인지와 작업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물질적 유인에 의존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으며, 리더의 행동은 리더와 부하의 교환 관계, 부하에 대한 지시와 지원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이에 비하여 변혁적 리더십은 상징적 리더 행동, 미래지향적이고 영감적인 리더 행동, 이념적 가치의 호소, 지적 자극, 부하에 대한 자기희생과 기대 이상의 성과 및 상위 욕구로의 전이 등을 강조한다. 이처럼 변혁적 리더십은 업무와 조직에 도덕적 목적과 몰입을 주입시킴으로써 업무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므로 전통적 리더십과는 분명한 개념적 차이가 있다.
Ⅵ. 결론
현대인의 시점에서 리더십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자질론과 상황론은 늘 대립되어 왔다. 종래의 일반적인 접근방법은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성격특성 및 자질 그 자체를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의 실증적 연구에 의하면 리더십이란 리더부하 및 상황의 변화에 따라 상황마다 달라지는 동태적 과정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행동과 상황을 강조함으로서 리더십의 행동유형을 여러 가지 상황에 접합시키기 위한 훈련이 강조되고 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교육훈련개발을 통해 리더십 역할의 유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그러나 또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과 카리스마적 리더십에서는 자질론과 행태론, 상황론의 명확한 구분이 모호해 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현대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리더십 패러다임이 변화된 것은 그 동안 여러 리더십 패러다임의 연구와 비판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수많은 학자들의 실험과 연구, 시행착오와 비판이 있었기에 오늘날의 리더십 패러다임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렇듯 현대인에게 필요한 리더십 패러다임은 과거 리더십 패러다임의 발전, 보완의 연장선에 있는 것이므로 과거 리더십 패러다임의 이해와 변천과정을 숙지하는 것은 현대의 복잡한 조직의 리더가 가장 먼저 수행해야할 필수과제인 것이다.
때문에 이 보고서가 장차 현대 조직을 이끌어 나가는 리더가 될 학생들이 공부하게 될 현대적 관점의 리더십 패러다임의 기초가 될 것이라 생각하며 보고서를 마친다.
참고문헌
1. 김정기. 「현대사회의 인간관계론」. 서울: 학문사, 2006.
2. 김호섭 외 5인. 「조직행태의 이해」. 서울: 대영문화사, 2002.
3. 박연호. 「현대인간관계론」(9쇄). 서울: 박영사, 2005.
4. 박동서 외. 발전행정론 . 서울: 법문사, 1985.
5. 윤대혁. 「인간관계론」. 서울: 삼영사, 2004.
6. 임영제 외 4인. 「인간관계의 이해」(초판 2쇄). 서울: 법문사, 2005.
7. 김석희. “리더십 이론의 통합적 접근.”「가톨릭 대학」. (1999).
8. 안광호. “리더십 유형에 관한 연구.” 「단국대」.
9. Chester I. Barnard. Oragarnization and management. Cambridge: Harbard
University Press, 1948.
10. Ordaway Tead. The Art of Leadership. New-York: McGraw-Hill Press, 1935.
11. Stogdill. Manual for Leader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 Ohio
State university. Bureau of Business Research. Columbus. Ohio, 1963.
의욕이나 자신감이 있을 때에는 설득적 리더십이 효과적이다.
③ S3형 : 종업원의 성숙도가 보통 수준 이상(M3), 즉 지도자가 원하는 일을
수행할 능력은 있으나 자발적인 의욕이 없을 때에는 참여적
리더십이 효과적이다.
④ S4형 : 종업원의 성숙도가 높은 수준(M4), 즉 책임을 맡을 능력도 있고 자
발적인 의욕이나 자신감이 있을 때에는 위양적 리더십이 효과적이
다.
(2) 비판과 의의
이 이론은 가정된 관계에 대한 논리가 빈약하며, 또한 추종자의 성숙도를 단지 피상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상황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키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경험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판을 많이 받고 있다.
하지만 이 이론은 리더십 행사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 융통성을 발휘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는 점과 지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3. 비판
1) 상황이 리더십의 결정요인이면 시대적 상황이 바뀌었음에도 오랜 세월에 걸
쳐 지도자 역할을 하는 사람을 설명할 수 없다. 또한, 지도자 자신의 자질과
리더십의 유형을 시대적 요청에 맞추어 변화시켜 나가는 것은 결코 쉬운 일
이 아니다.
2) 리더십의 효과성이 상황적 요인에 달려져 있다고 하지만, 이러한 상황적 변
수 및 집단 구성원 관련 변수, 그리고 그들 변수들과 리더십과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히기는 어렵다.
3) 각 이론들은 편의적으로 한두 가지 변수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였다.
Ⅴ. 현대의 새로운 이론들
최근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 leadership)은 조직 성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특정 개인의 뛰어난 자질 또는 카리스마(charisma)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한 유형(Kouze & Posner, 1990; Howell & Frost, 1989; 249-269) 또는 특성(자질)이론의 재등장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한 유형이라 보는 것은 그 변혁적 리더십의 근원에서 볼 수 있다. 그 근원은 멀리는 베버(M.weber)의 권위의 유형에 따른 리더십 모형에서, 가까이는 하우스의 카리스마적 리더십 이론에서 찾을 수 있다. 베버에 의하면, 카리스마적 권위는 규칙, 직위 또는 전통이 아니라 리더의 초자연적인 또는 초인간적인 자질에서 획득된다고 하였다. 이와는 달리 하우스(House, 1977: 189-207)는 카리스마적 권위의 정당성은 리더의 초자연적인 특성보다는 카리스마적 리더의 특성이나 행태, 그리고 카리스마적 리더십이 발휘되는 상황적 조건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기존의 전통적 리더십 이론의 대부분은 리더십은 주로 부하의 인지와 작업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물질적 유인에 의존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으며, 리더의 행동은 리더와 부하의 교환 관계, 부하에 대한 지시와 지원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이에 비하여 변혁적 리더십은 상징적 리더 행동, 미래지향적이고 영감적인 리더 행동, 이념적 가치의 호소, 지적 자극, 부하에 대한 자기희생과 기대 이상의 성과 및 상위 욕구로의 전이 등을 강조한다. 이처럼 변혁적 리더십은 업무와 조직에 도덕적 목적과 몰입을 주입시킴으로써 업무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므로 전통적 리더십과는 분명한 개념적 차이가 있다.
Ⅵ. 결론
현대인의 시점에서 리더십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자질론과 상황론은 늘 대립되어 왔다. 종래의 일반적인 접근방법은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성격특성 및 자질 그 자체를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의 실증적 연구에 의하면 리더십이란 리더부하 및 상황의 변화에 따라 상황마다 달라지는 동태적 과정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행동과 상황을 강조함으로서 리더십의 행동유형을 여러 가지 상황에 접합시키기 위한 훈련이 강조되고 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교육훈련개발을 통해 리더십 역할의 유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그러나 또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과 카리스마적 리더십에서는 자질론과 행태론, 상황론의 명확한 구분이 모호해 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현대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리더십 패러다임이 변화된 것은 그 동안 여러 리더십 패러다임의 연구와 비판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수많은 학자들의 실험과 연구, 시행착오와 비판이 있었기에 오늘날의 리더십 패러다임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렇듯 현대인에게 필요한 리더십 패러다임은 과거 리더십 패러다임의 발전, 보완의 연장선에 있는 것이므로 과거 리더십 패러다임의 이해와 변천과정을 숙지하는 것은 현대의 복잡한 조직의 리더가 가장 먼저 수행해야할 필수과제인 것이다.
때문에 이 보고서가 장차 현대 조직을 이끌어 나가는 리더가 될 학생들이 공부하게 될 현대적 관점의 리더십 패러다임의 기초가 될 것이라 생각하며 보고서를 마친다.
참고문헌
1. 김정기. 「현대사회의 인간관계론」. 서울: 학문사, 2006.
2. 김호섭 외 5인. 「조직행태의 이해」. 서울: 대영문화사, 2002.
3. 박연호. 「현대인간관계론」(9쇄). 서울: 박영사, 2005.
4. 박동서 외. 발전행정론 . 서울: 법문사, 1985.
5. 윤대혁. 「인간관계론」. 서울: 삼영사, 2004.
6. 임영제 외 4인. 「인간관계의 이해」(초판 2쇄). 서울: 법문사, 2005.
7. 김석희. “리더십 이론의 통합적 접근.”「가톨릭 대학」. (1999).
8. 안광호. “리더십 유형에 관한 연구.” 「단국대」.
9. Chester I. Barnard. Oragarnization and management. Cambridge: Harbard
University Press, 1948.
10. Ordaway Tead. The Art of Leadership. New-York: McGraw-Hill Press, 1935.
11. Stogdill. Manual for Leader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 Ohio
State university. Bureau of Business Research. Columbus. Ohio, 1963.
추천자료
한국 지방자치단체장들의 리더십 유형분석 및 요인분석 (리더쉽)
[조직행위론]리더의 자질과 조직몰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리더십 리더쉽
[리더십] 리더쉽 분석
[기업 리더십]e-비즈니스 리더쉽(안철수)
리더쉽 경영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경영자][기업경영][최고경영자][CEO][리더십][리더쉽]기업가(경영자)의 정의와 기업...
[리더쉽] 리더십에서의 상호영향력 과정
리더쉽 보고서
[리더십] 리더의 권력과 리더쉽 이론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쉽에 대하여 설명-
리더쉽 레포트
오늘날을 만든 위대한 그들의 리더십(leadership) - 이병철과 정주영의 리더쉽.ppt
고차원 리더십의 요소:겸손함과 강력한 의지(레벨5리더쉽)
세종대왕의 행동 리더십,백성을 섬김,토론과 경청,솔선수범,혁신적 행동의 리더,리더쉽사례 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