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적영역의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의적 특성의 개념과 평가의 중요성
1) 정의적 특성의 개념과 평가의 중요성
2) 정의적 특성의 유형
3) 정의적 영역의 교수목표 분류

2. 정의적 특성의 측정 절차
1) 정의적 행동 특성의 측정 절차
2) 측정시 고려사항

3. 정의적 특성의 측정방법
1) 질문지법
2) 평정법
3) 관찰법
4) 의미분석법
5) 투사적 방법

본문내용

좋은 학생', '말썽꾸러기 학생' 등으로 파악하고 있는 학생의 다른 특성을 평정할 때, 학생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점으로 인해 이를 보다 좋게 혹은 나쁘게 평정하는 경향을 말한다.
③논리적 착오
전혀 다른 두 가지 행동 특성을 비슷한 것으로 판단해서 평정하는 현상이다.
④표준의 착오
이것은 평정자가 평정의 표준을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 생기는 오류이다.
⑤대비의 착오
자신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평정 받는 학생에게 있으면 신통치 않게 평정하고, 평정자 자신에게 없는 특성이 평정 받는 학생에게 있으면 좋게 보는 현상을 말한다.
⑥근접의 착오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가깝게 평정하는 특성 사이에 상관이 높아지는 현상이다.
3) 관찰법
관찰법: 연구대상을 통제하지 않고 일정한 시간에 걸쳐서 연구대상의 행태를 지켜보고 들으며 관찰 결과를 기록하는 방법을 말한다. 관찰법은 자료의 근거가 되는 조사대상의 특성, 언어적, 비언어적 행위 등을 감각기관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① 비통제적 관찰: 자연히 발생하는 사상이나 행동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이다.
② 통제적 관찰: 관찰의 시간, 장면 행동 등을 의도적으로 설정해 놓고 그러한 조건하에서 나타나는
행동을 관찰하는 방법
③ 참여관찰: 관찰자가 피관찰자와 함께 생활하면서 피관찰자의 자연스런 행동을 관찰하는 방법
④ 비참여관찰: 관찰자가 관찰장면에서 참여하나 그들과의 공동생활에는 참여하지 않고 외부인으로서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방법
4) 의미분석법
의미분석법: ①의미분석법이란 Osgood이 창안한 것으로, 여러가지 사물, 인간, 사상 등에 대해 가지는 개념의 심리적 의미를 의미공간상의 위치로 표현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②사람들이 사용하는 어떤 개념은 비록 같은 용어로 표현하지만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제각기 다를 수 있다.
③이처럼 사람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개념의 의미를 양극적으로 대비되는 일단의 형용사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삼차원의 의미공간에 표시하려는 방법이다.
5) 투사적 방법
투사적 방법(투영법): 동기조사의 한 방법으로서, 간접적으로 내용을 파악하려는 것을 말한다. 피험자의 자기방어의 본능을 없애는 동시에 의식 가운데 숨겨진 것을 어떤 방식으로든 간접적으로 파악하려는 것이다.
Rorschach의 잉크반점검사: 좌우 대칭의 불규칙한 잉크 무늬가 어떠한 모양으로 보이는가에 따라 그 사람의 성격이나 정신 상태, 무의식적 욕망 따위를 판단하는 인격 진단 검사법.
주제통각검사(TAT): 문학적인 창조성을 자극하여 상상한 내용에서 무의식의 복합(complex)을 분석하는 방법.
심리테스트의 하나로 테마해명검사 또는 주제통각검사라고도 한다. 주로 인물이 등장하는 그림(30매)을 보여서(과제를 주어) 자유로운 공상적 이야기를 만들게 하고(의미를 부여시켜), 그 의미 부여의 방법이나 이야기의 전개방법 또는 표현방법을 분석함으로써 본인이 뚜렷하게 의식하지 못하는 마음의 응어리나 숨은 욕구를 찾아내기도 하고, 퍼스널리티 전체를 진단하기도 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2.23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94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