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성 해석 ( Plastic Analysis )
2. 소성과 탄성
(1) 소성(plasticity)
(2) 탄성(elasticity)
3. 응력의 관계
(1) 허용 응력
(2) 탄성한계
(3) 항복점
(4) 인장강도
(6) 항복모멘트 (Yield Momeny : My)
(7) 소성모멘트 (Plastic Momeny : Mp)
(8) 형상계수 ( Shape Factor : f )
(9) 구조형상계수 ( Shape Factor )
(10) 소성힌지 ( Plastic Hinge )
2. 소성과 탄성
(1) 소성(plasticity)
(2) 탄성(elasticity)
3. 응력의 관계
(1) 허용 응력
(2) 탄성한계
(3) 항복점
(4) 인장강도
(6) 항복모멘트 (Yield Momeny : My)
(7) 소성모멘트 (Plastic Momeny : Mp)
(8) 형상계수 ( Shape Factor : f )
(9) 구조형상계수 ( Shape Factor )
(10) 소성힌지 ( Plastic Hinge )
본문내용
부재의 최연단에 부분적인 소성영역이 발생하다가 하중이 증가하여 최대굽힘모멘트가 소성 모멘트Mp의 값에 근사할 때 소성영역이 중립축쪽으로 점점 확장해 Mmax가 Mp와 같게되면 보는 완전소성이 되어 마치 Hinge로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작용하는데 이 Hinge를 소성 Hinge라 한다. 소성Hinge는 항상 최대굽힘모멘트가 생기는 단면에서 형성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