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재의 최연단에 부분적인 소성영역이 발생하다가 하중이 증가하여 최대굽힘모멘트가 소성 모멘트Mp의 값에 근사할 때 소성영역이 중립축쪽으로 점점 확장해 Mmax가 Mp와 같게되면 보는 완전소성이 되어 마치 Hinge로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작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성설계는 각각의 보의 소성 모멘트 능력과 연속 뼈대 구조의 극한 강도에 근거를 두고 있다. 소성모멘트강도는 부재단면내의 모든 부분이 항복응력의 상태에서 구한 모멘트강도이다. 부재 전단면이 소성모멘트에 도달한 경우에 소성힌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03.2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멘트가 증가하면 중립축에서 거리에 비례하여 응력이 증가하게 되고 제일 외각의 재료가 먼저 소성 항복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아직 재료내부는 탄성 상태를 유지하여 보는 외부 하중에 견딜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휨 모멘트가 계속 증가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멘트 도표를 이용하여 소성 붕괴 모멘트 M을 계산한다.
하중을 풀고 보를 제거한다. 붕괴된 보의 형상을 그린다.
3. 실험결과
처짐(mm)
부하하중(N)
0
0
3
23
6
42
9
70
12
91
15
117
18
127
21
158
24
170
27
197
30
213
33
222
36
236
39(소성붕괴시점)
250
42
258
45
263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멘트, 이론굽힘모멘트는 증가하였고, 반력값들은 하중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3
단순지지 보의 소성 휨 측정
◎실험 결과 (L=0.75m)
처짐(mm)
부하하중(N)
0
0
3
23
6
47
9
71
12
97
15
116
18
136
21
164
24
184
27
208
30
229
3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3.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