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는 학생들의 태도를 다소 강제성을 동원해서라도 바꿔야 할 것이다. 이는 또한 교사의 권위를 회복하게 하고, 교사와 학교의 권위를 유지시키는 풍토를 조성하는데 조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곱 번째 특징인 기성관리에 대한 승진은 과거제의 장점이자 오늘날에도 유효한 가치를 지닌 점이라고 생각한다. 현대에도 승진시험은 존재하지만 과거제도와 같이 신인선발과 함께 실시하지는 않고, 규모면에서도 약소하다. 물론 오늘날은 사회가 다양하고 세분화되었으며, 다양한 시험이 존재한다는 것을 감안해야겠지만 인사제도에서 이러한 고속승진의 길을 열어두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승진에 눈이 멀어 업무에 소홀 할 수 있고, 연공서열의 관행이 잔존하는 우리나라에서 고속승진을 탐탁지 않게 여기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제도는 분명히 사회적·국가적 단위에서 발전과 이익을 위해서는 참작하여 확대·시행해볼만한 좋은 제도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과거제도의 특성을 통해 도출한 몇 가지 교육적 함의를 통해서 한국교육의 발전방향을 논의해보았다. 과거제도는 현재와의 물리적 시간 간극이 큰 만큼 과거제도의 특성이자 장점들이 오늘날에 소실되거나 약화된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그 기저에 깔린 정신적 자산들은 아직까지 유효한 것들이 있었고, 그것들을 통해 한국교육에 대해 조심스럽게 전망할 수 있었다. 우리는 교육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열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이 안타까웠고, 이러한 관심과 열의의 원천은 과거제도까지 소급할 수 있음도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의 교육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과거제도의 특성에 내포되어 있다는 것도 알아보았다. 수백 년 전의 과거제도를 통해서 오늘날의 한국교육을 논의하는 것은 자칫 과거에 얽매이는 것으로 비춰질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이유와 온고지신의 정신을 생각해본다면 과거제도는 더 활발하게 연구되어야할 중요한 콘텐츠일지도 모른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 주로 언급한 입시제도, 임용시험, 인재선발제도 등이 한국교육을 대표하는 것은 분명 아니지만 교육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뜨거운 감자인 만큼 한국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데 나쁘지 않은 소재라고 생각했다. 교육학과 학생으로서 교육의 미래가 밝다고 전망한 이 글이 훗날 부끄럽지 않길 소망하면서 글을 마친다.
4. 참고문헌
이성무, 『韓國의 科擧制度』, 집문당, 1994.
일곱 번째 특징인 기성관리에 대한 승진은 과거제의 장점이자 오늘날에도 유효한 가치를 지닌 점이라고 생각한다. 현대에도 승진시험은 존재하지만 과거제도와 같이 신인선발과 함께 실시하지는 않고, 규모면에서도 약소하다. 물론 오늘날은 사회가 다양하고 세분화되었으며, 다양한 시험이 존재한다는 것을 감안해야겠지만 인사제도에서 이러한 고속승진의 길을 열어두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승진에 눈이 멀어 업무에 소홀 할 수 있고, 연공서열의 관행이 잔존하는 우리나라에서 고속승진을 탐탁지 않게 여기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제도는 분명히 사회적·국가적 단위에서 발전과 이익을 위해서는 참작하여 확대·시행해볼만한 좋은 제도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과거제도의 특성을 통해 도출한 몇 가지 교육적 함의를 통해서 한국교육의 발전방향을 논의해보았다. 과거제도는 현재와의 물리적 시간 간극이 큰 만큼 과거제도의 특성이자 장점들이 오늘날에 소실되거나 약화된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그 기저에 깔린 정신적 자산들은 아직까지 유효한 것들이 있었고, 그것들을 통해 한국교육에 대해 조심스럽게 전망할 수 있었다. 우리는 교육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열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이 안타까웠고, 이러한 관심과 열의의 원천은 과거제도까지 소급할 수 있음도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의 교육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과거제도의 특성에 내포되어 있다는 것도 알아보았다. 수백 년 전의 과거제도를 통해서 오늘날의 한국교육을 논의하는 것은 자칫 과거에 얽매이는 것으로 비춰질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이유와 온고지신의 정신을 생각해본다면 과거제도는 더 활발하게 연구되어야할 중요한 콘텐츠일지도 모른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 주로 언급한 입시제도, 임용시험, 인재선발제도 등이 한국교육을 대표하는 것은 분명 아니지만 교육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뜨거운 감자인 만큼 한국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데 나쁘지 않은 소재라고 생각했다. 교육학과 학생으로서 교육의 미래가 밝다고 전망한 이 글이 훗날 부끄럽지 않길 소망하면서 글을 마친다.
4. 참고문헌
이성무, 『韓國의 科擧制度』, 집문당, 199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