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용가리(Yonggary , 1999作)
2. 구미호(1994作)
3. 퇴마록(1998作)
4. 자귀모(자살한귀신들의모임, 1999作)
2. 구미호(1994作)
3. 퇴마록(1998作)
4. 자귀모(자살한귀신들의모임, 1999作)
본문내용
은 블루 스크린 앞에서 연기를 하고 구조물들을 만들기 위해 와이어 프레임으로 모델링을 해서 3D작업을 했다.
와이어 프레임에 질감을 입히는 맵핑을 먼저 했고, 이를 위해서 조명의 위치를 설정하고,
움직이는 각도에 따라 그림자의 위치도 컴퓨터에 프로그래밍시켰다. 그리고 애니메이션
작업을 거쳐 한프레임씩 움직임을 잡아주는 렌더링을 시켜 완성본을 만들었다.
(칸토라테스와 채별을 쫓는 저승사자)
같은 장소에서 먼저 차가 지나가는 장면을 찍고, 나중에 차가 없는 도로로 뛰는 저승사자
를 찍어서 둘을 합성시켰다.
(영혼을 접수하러 오는 저승열차)
사전에 먼저 배경을 촬영하고, 3D로 기차를 만들어서 합성시켰다. 기차에서 뿜어져나오는 연기장면은 파티클 애니메이션기법이 사용되었다.
또한 저승행 열차와 수천명의 엑스트라가 등장하는 것처럼 보이는 장면에서는 소수의
엑스트라 숫자를 매우 서사적인 수천명의 사람으로 바꾸는 'Crowd replication'기법이 사용
된다.
(롯데월드에 나타난 물귀신)
먼저 3D로 물귀신 캐릭터를 만든후 와이어 프레임을 만들어 물의 질감을 만들고 물귀신
의 움직임에 따라 빛의 반사를 맞추고, 배경 또한 물을 통해 보이는 모습으로 만들었다.
와이어 프레임에 질감을 입히는 맵핑을 먼저 했고, 이를 위해서 조명의 위치를 설정하고,
움직이는 각도에 따라 그림자의 위치도 컴퓨터에 프로그래밍시켰다. 그리고 애니메이션
작업을 거쳐 한프레임씩 움직임을 잡아주는 렌더링을 시켜 완성본을 만들었다.
(칸토라테스와 채별을 쫓는 저승사자)
같은 장소에서 먼저 차가 지나가는 장면을 찍고, 나중에 차가 없는 도로로 뛰는 저승사자
를 찍어서 둘을 합성시켰다.
(영혼을 접수하러 오는 저승열차)
사전에 먼저 배경을 촬영하고, 3D로 기차를 만들어서 합성시켰다. 기차에서 뿜어져나오는 연기장면은 파티클 애니메이션기법이 사용되었다.
또한 저승행 열차와 수천명의 엑스트라가 등장하는 것처럼 보이는 장면에서는 소수의
엑스트라 숫자를 매우 서사적인 수천명의 사람으로 바꾸는 'Crowd replication'기법이 사용
된다.
(롯데월드에 나타난 물귀신)
먼저 3D로 물귀신 캐릭터를 만든후 와이어 프레임을 만들어 물의 질감을 만들고 물귀신
의 움직임에 따라 빛의 반사를 맞추고, 배경 또한 물을 통해 보이는 모습으로 만들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