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선택형 문항
Ⅱ. 서답형 문항
Ⅱ. 서답형 문항
본문내용
유사한 답지끼리 인근답지 되게 배열한다.
정답의 번호가 일정 번호에 치우치는 것을 삼가야 한다.
Ⅱ. 서답형 문항
(1) 서답형 문항의 의미
서답형이란 문두만 제시하고 학생으로 하여금 답을 생각해서 쓰도록 하는 형식의 문항이다.
이 형식은 응답자로 하여금 답을 스스로 작성하고, 이를 채점자의 기준에 의해 판단한다고 해서 ‘주관형’이라고도 불린다.
(2) 서답형의 종류 - 서답형 문항에는 단답형, 완성형, 논문형 등이 있다.
(3) 서답형의 장점
선택형 문항에 비해 고타적인 학습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추측으로 정답을 맞힐 가능성 최소화
(4) 서답형의 단점
채점이 어렵다.
객관도가 낮다.
1) 단답형
(1) 장점
추측요인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문항제작이 용이하다.
도식지도 및 모형에 표시된 명칭과 관련된 여러 가지 지식을 측정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학생의 반응의 자유도가 크다.
(2) 단점
단편적이고 사실적인 지식수준 이상의 지적 능력을 측정하는데 부적합하다.
채점이 어렵다.
채점의 주관성을 완전 배제하기 어렵다.
2) 완성형
(1) 장점
간단한 지식, 사실, 공식, 계산결과, 절차, 명칭, 술어 등을 손쉽게 출제하고 단시간에 광범위하게 검사하는 데 유용하다.
문항형식이 간단히 대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선택형처럼 구조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추측의 요인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다.
문항제작에 별로 경험이 없는 사람도 쉽게 출제할 수 있다.
도표, 그림, 지도 등 언어로 설명하기 어려운 자료에서 그 명칭, 구조 등을 묻는데 유용하게 이용가능.
(2) 단점
추리, 해석, 비판, 비교, 분석 등의 고등정신기능을 측정하기 어렵다.
채점이 쉽지 않다. 유사한 정답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단답형이나 완성형은 학생들의 학습방향을 피상적이고 단순한 방향으로 몰아가게 할 가능성이 많다.
3) 논문형
(1) 장점
반응의 자유도가 크다.
고등정신기능을 측정하는 데 효과적이다.
문항제작이 쉽다.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개선해 준다.
표현력과 조직력을 학습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2) 단점
채점의 객관성과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문항의 표본수가 제한된다. : 논문형은 한 검사 속에 출제할 수 있는 문항 수가 많아야 5개를 넘어 갈 수 없다. 이렇게 되면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낮게 할 가능성이 높다.
정답의 번호가 일정 번호에 치우치는 것을 삼가야 한다.
Ⅱ. 서답형 문항
(1) 서답형 문항의 의미
서답형이란 문두만 제시하고 학생으로 하여금 답을 생각해서 쓰도록 하는 형식의 문항이다.
이 형식은 응답자로 하여금 답을 스스로 작성하고, 이를 채점자의 기준에 의해 판단한다고 해서 ‘주관형’이라고도 불린다.
(2) 서답형의 종류 - 서답형 문항에는 단답형, 완성형, 논문형 등이 있다.
(3) 서답형의 장점
선택형 문항에 비해 고타적인 학습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추측으로 정답을 맞힐 가능성 최소화
(4) 서답형의 단점
채점이 어렵다.
객관도가 낮다.
1) 단답형
(1) 장점
추측요인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문항제작이 용이하다.
도식지도 및 모형에 표시된 명칭과 관련된 여러 가지 지식을 측정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학생의 반응의 자유도가 크다.
(2) 단점
단편적이고 사실적인 지식수준 이상의 지적 능력을 측정하는데 부적합하다.
채점이 어렵다.
채점의 주관성을 완전 배제하기 어렵다.
2) 완성형
(1) 장점
간단한 지식, 사실, 공식, 계산결과, 절차, 명칭, 술어 등을 손쉽게 출제하고 단시간에 광범위하게 검사하는 데 유용하다.
문항형식이 간단히 대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선택형처럼 구조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추측의 요인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다.
문항제작에 별로 경험이 없는 사람도 쉽게 출제할 수 있다.
도표, 그림, 지도 등 언어로 설명하기 어려운 자료에서 그 명칭, 구조 등을 묻는데 유용하게 이용가능.
(2) 단점
추리, 해석, 비판, 비교, 분석 등의 고등정신기능을 측정하기 어렵다.
채점이 쉽지 않다. 유사한 정답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단답형이나 완성형은 학생들의 학습방향을 피상적이고 단순한 방향으로 몰아가게 할 가능성이 많다.
3) 논문형
(1) 장점
반응의 자유도가 크다.
고등정신기능을 측정하는 데 효과적이다.
문항제작이 쉽다.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개선해 준다.
표현력과 조직력을 학습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2) 단점
채점의 객관성과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문항의 표본수가 제한된다. : 논문형은 한 검사 속에 출제할 수 있는 문항 수가 많아야 5개를 넘어 갈 수 없다. 이렇게 되면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낮게 할 가능성이 높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