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주의와 고전적 조건형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실험과정와 행동치료프로그램의 특징 설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합주의와 고전적 조건형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실험과정와 행동치료프로그램의 특징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연합주의와 고전적 조건형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실험과정와 행동치료프로그램의 특징 설명
연합주의,고전적 조건형성,행동주의치료방법,체계적 둔감화,혐오치료,행동치료,증상치환,인지분석,고전적 조건형성실험과정,행동치료프로그램의 특징,연합의 법칙,수반성과조건형성,맛-혐오학습,연합학습에서 근접성의 역할,조건형성의 순응적 가치,차폐,

본문내용

감치료 시행
두번째 집단 - 이완과 뱀공포와는 무관한 위계항목을 짝짓는 치료 실시
세번째 집단 - 이완을 유도하지 않고 뱀에 대한 위계항목에 노출시킴
네번째 집단 - 비치료 통제집단
결과: 다른 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간에 아무런 변화가 없었으나, 둔감집
단(첫번째 집단)은 불안감소에 향상을 보였다.
Davison의 연구는 체계적 둔감법의 효과에 관한 부가적 지지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둔감절차가 역조건 형성의 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확실한 증거를 제
공했다고 하겠다.
많은 실험연구들은 다양한 문제에 관한 둔감법의 가치를 지적하고 있으나 이러
한 문제들이 둔감법을 적용할 수 있는 전부는 아니다. 또한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도 필수적으로 둔감법을 치료법으로 선택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광범위한 문제에 둔감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잠정적 가치를 지적하는 것
에 불과하다.
2) 혐오치료
혐오기법의 사용은 내담자에게 신체적 위험이 없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조
심스럽게 고려하고 탐사해야 한다. 어떤 경우든 간에 이러한 기법에 능숙한 치료
자의 직접적인 감독없이 작용해서는 안된다.
→ 혐오통제기법에 대한 윤리적 문제
1. 혐오기법의 사용에 관한 내담자의 자의적 승인이 있어야 한다.
2. 치료가 시작된 후라고 하더라도 언제든지 그러한 승인을 철회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한 내담자의 확실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3. 치료과정이 법적 및 도덕적으로 인정될 수 있다는 확실한 증거가 있어야
한다.
4. 자신의 결정에 대하여 책임질 수 없는 사람에 대해서는 법적인 대리인을
선정해야 한다(아동, 불구자, 정신병자).
→ Raymond실험
담배를 끊기를 바라는 14세 소년에게 맨처음 1그램의 아포모르핀 주사를 맞
았고, 7분후 그에게 담배를 피우게 하였다. 11분쯤 후에 속이 메스껍고 구토를
하게 되었다. 나흘후 담배를 피우고 싶다고 말했으나 실제로 흡연을 시도하려
했으나 구역질을 느꼈기 때문에 담배를 피우지 않았다. 두달후 다시 시도했으
나 곧 어지럽고 열이 나서 담배를 피울 수가 없었다. 치료를 한 지 일년이 된
후에 그가 더이상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고 확신하였다. - Raympnd는 아몬몰핀
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아주 위험스런 약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추후 연구에서
는 전기쇼크를 사용하였다.
→ Martin과 Conway(1976)의 실험
앉은 자세로 밤에 몸을 앞뒤로 흔들고 어깨나 머리가 침대벽에 닿도록 몸을
앞뒤로 흔드는 2세된 여자어린이의 치료.
갓을 씌우지 않은 100W전구를 침대 발치쪽에 장치하고 소음작동기에 연결하
였다. 불빛은 아동에게 혐오적인 것이고 밤에는 주위의 어둠과는 대조적이기
때문에 더 혐오적이었다.
몸을 흔들어서 연결장치가 폐쇄될 때마다 전등이 5초동안 켜지게 되어 있었
다. 10일간의 치료로 야밤에 몸을 흔드는 행동은 감소되었는데 1년후 추적조
사에서도 유지되고 있었다.
→ 알콜중독
Vogetlim and Broz(1949)
치료후 첫해 동안은 70~85% 금주
10년후 20~30% 완전히 금주
술을 마시는 친구와 교제를 계속한 사람들은 다시 음주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
다.
금주 단체에 가입한 사람의 금주율87%
금주 단체에 가입하지 사람의 금주율 40%
부유한 사람 〃62%
중류계층 〃49%
하류계층 〃20%
알콜중독은 음주행동의 빈도 및 양과 알콜자체의 매력에 촛점을 둔 중다요소적
프로그램(multiple-component program)에 의해 가장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고
하겠다.
3) 행동치료
(1) 행동치료 프로그램의 특징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의 행동이론은 Freud와 정신분석에 의해 널리 퍼진
정신내적, 정신역동적 모델이 아닌 행동주의적 학습이론에 확고한 뿌리를 두고 생
겨났다. 이탈행동은 이면의 동기갈등 및 성격특성에 매달려 설명하지 않고 개인
의 사회적 경험과 강화내력을 통해 획득된 개인의 습관으로 설명한다.
행동치료의 목적은 이전에는 결핍되었던 친사회적 행동을 가르치거나 반사회적
혹은 이탈적 행동을 제거함으로써 새로운 학습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2) Rim의 행동치료
대학을 졸업한 이 환자는 불안신경증이라는 진단을 받은 40세의 남자였는데 지
능도 평균이상의 범위였다. 오랜 입원기간 동안에 그는 항상 전통적인 의학모델의
입장을 고수하는 치료자에게 치료를 받았다.
이 환자는 자신의 문제가 정신질환 때문이라고 확신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는 특정한 상황에서 자신이 느끼는 긴장이나 혹은 어떤 상황에서 자
기 자신에게 말하는 것과 같은 자기언어가 자신의 불편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
을 알지 못했다.
즉 그는 의사가 자신의 질환을 치료해 줄 때까지 기다릴 수 밖에 없다고 믿고
있었다. 그를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은 그를 마치 비참한 신세인 것처럼 보게 만들
었다. 말하자면 자신의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는데 실패한 결과로 얻어진
것은 자신의 실제적인 불편을 능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4) 인지분석
→ Lazarus(1971)보고
<교량에 대한 공포증 때문에 치료받으러 온 환자의 이야기>
Lazarus는 그 환자가 결코 다리에 대한 어떤 불쾌한 경험도 없었다는 것을 발견
했고 그의 공포증은 교량을 건너야만 할 수 있는 어떤 일을 잘하면 승진시켜 준
다는 제의를 받은 직후에 갑자기 나타난 것이었다. 그 환자는 이 승진에 요구되는
일을 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해 같은 두려움을 지녔고 결국 Lazarus는 다리
에 대한 공포가 승진을 회피하기 위한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변명으로
나타났다고 결론지었다.
Lazarus는 승진에 관련된 환자의 공포증을 치료하는데 둔감화를 사용했고, 환자
의 다리에 대한 공포는 곧 사라졌다.
Lazarus의 접근방법은 행동적 접근방법과 정신역동적 접근방법을 결합한 것이다.
행동주의자들은 학습이 자극-반응 연합들로 설명되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반면
에 인지 심리학자들은 학습은 새로운 기대들의 형성에 기인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두 접근방법들은 이론과 치료 모두에서 많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우
리는 아직 어떤 것이 가장 효과적일지는 모른다.
  • 가격4,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1.13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38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