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인프라코어의 M&A 성공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Introduction
(1) 경영이념
(2) 주요 사업부문

2. 산업구조 분석
(1) 산업의 특성
(2) 경쟁구조

3. SWOT 분석

4. M&A 성공사례 분석
(1) 잉거솔랜드 소개
(2) 밥캣 인수 배경
(3) 밥캣 인수 효과

5. 최종 결론

본문내용

융자해 주는 중장기 대출이다.
이다.
결국 두산인프라코어는 2007년 8월 30일, 미국 뉴욕에서 두산인프라코어 박용만 부회장과 美 잉거솔랜드(Ingersoll Rand)社 허버트 헨켈(Herbert L. Henkel)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Bobcat 건설 중장비(Compact Equipment), 어태치먼트 (Attachment), 유틸리티(Utility)등 3개 사업부문을 49억 달러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 규모는 국내 업체가 해외에서 추진한 기업 M&A 중 사상 최대 규모였다.
(3) 밥캣 인수 효과
두산인프라코어는 이번 인수로 기존의 중대형 건설 중장비 사업 이외에 부족했던 컴팩트 건설 중장비 사업을 보완함으로써 완벽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게 됐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첨단 기술 및 브랜드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두산인프라코어는 전 세계에 3,700여개의 딜러망과 중국, 벨기에, 북미, 프랑스, 체코 등에 20여개의 생산 공장 등 글로벌 판매 및 생산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되어 중국시장과 더불어 미국, 유럽 등 세계 3대 건설 중장비 시장에서 명실상부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게 되었다. 김은정 기자. 뉴스핌경제 2008.1.24
이로써 두산인프라코어는 매출 규모가 2007년 4.4조에서 7조원으로 증가 되었다.
두산인프라코어 박용만 부회장은 “이번 인수 사업부문에는 인수 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인 우수한 경영진과 엔지니어를 확보하고 있는 만큼 기존 경영진의 전문성과 경영 역량을 최대한 유지하며, 이사회 중심의 경영방식을 적용해 나감으로써 진정한 글로벌 기업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두산인프라코어는 비전 달성을 위하여 지속적인 해외 기업 M&A를 추진해 왔으며 지난 3월 중국 휠로더 생산업체인 연대유화기계를, 또 친환경 엔진기술 부문의 원천기술을 보유한 미국 CTI社를 각각 인수한 바 있다. 밥캣 인수금융은 피 인수기업인 Bobcat에서 대부분 이루어지므로 두산인프라코어는 약 7억 달러 수준만 투자하게 되어 자금부담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밥캣 인수의 Advisor로는 Citi, Kim &Chang, Paul &Weiss가 참여 하였으며, 특히 인수금융은 한국산업은행이 담당할 예정으로 국내기관의 해외 인수 금융으로서는 가장 큰 규모였다.

5. 최종 결론
"지성에서는 그리스인에, 체력에서는 게르만인에, 기술력에서는 에트루리아인에, 경제력에서는 카르타고인에 뒤떨어지는 것이 로마인들이다."
'로마인 이야기'를 쓴 작가 시오노 나나미는 로마인들을 이렇게 묘사했다. 그렇다면 이렇게 보잘것없던 로마인들이 '1000년 제국'을 일궈낸 비결은 어디에 있을까. 해답은 끊임없는 인수합병(M&A)에 있다. 내세울 것 없던 이탈리아 반도의 작은 국가가 무수한 M&A(식민지 정복)를 통해 유라시아의 패권을 거머쥔 것을 놓고 '로마는 오늘날 기업이 벤치마킹해야 할 좋은 모델'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고 동시에 기업의 전략으로서 M&A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한 기업의 운명을 하룻밤 사이에 뒤바꿔 놓을 만한 M&A가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합병으로 초대형 기업들이 탄생하고, 업계의 질서가 재편되기도 하며 업종을 망라한 M&A는 산업 재편은 물론 새로운 성장을 이끌어내는 강력한 동인이기도 하다. 성장 정체와 '샌드위치 위기'로 인해 고민에 빠진 국내 기업들엔 희망의 빛줄기와도 같다. '먹지 않으면 먹히고 마는' 살벌한 경영 환경 속에서 M&A가 기업들의 생존을 좌우하는 핵심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두산은 밥캣을 인수할 때 중국과 아시아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밥캣은 미국과 유럽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는 점, 두산인프라코어가 중대형 장비를 중심의 제품라인을 갖추고 있는 반면 밥캣은 소형장비 중심의 제품 라인을 갖추고 있어 시너지 효과가 매우 크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재훈·한애란 기자. 중앙일보 2008.05.21
즉 두산은 밥캣 인수를 통해 제품과 시장이라는 두 가지를 얻겠다는 목표가 명확했기 때문에 성공적인 M&A가 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또한 두산은 2002년 한국중공업 인수, 2005년 대우인프라코어 인수를 통해 사업구조를 바꾼 경험을 가지고 있는 데다 이후 영국의 미쓰이밥콕(현 두산밥콕), 미국의 AES, 루마니아의 IMGB 등 중소규모의 글로벌 M&A를 통해 M&A의 본고장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에서 45억 달러 규모의 대형 M&A를 성공시킬 수 있는 역량을 키워왔다.
하지만 두산그룹에게는 과제는 시장과의 끊임없는 소통을 통해 그룹의 성장전략을 이해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과제가 남아있다. 밥캣 인수사례의 경우 불과 1년여 만에 유동성위기설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밥캣(현 두산인프라코어인터내셔널, 이하 DII)의 실적 둔화가 일정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시너지 효과는 2012년 이후에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정준화 기자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에 대해 두산그룹 고위 관계자는 최근 시장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인수합병을 통한 성장은 계속 될 것이라고 밝혔고 유상증자의 경우 시장이 미처 예상하지 못한 갑작스런 것이어서 시장의 신뢰를 잃은 측면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시장상황에 비추어 보았을 때 두산그룹이 앞으로 밥캣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 시간을 가지고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참고자료>
www.doosan.com
www.doosaninfracore.co.kr
www.seri.org
www.kocema.org
www.hani.co.kr
www.donga.com
www.edaily.co.kr
기업경영 WAY 2009 : 경영전략 부문 - 고려대 기업경영연구원, 에프케이아이미디어, 2009
한국경제의 도전 - 김광수 경제연구소, 휴먼&북스, 2008
한국기업을 살리는 9인의 경영학 - 이채윤, 머니플러스, 2008
실전 M&A 특강 - 한국 M&A협회, 새로운 제안, 2008
M&A전략과 실전사례 - 윤종훈 외, 매일경제신문사, 2007
블루오션 M&A전략 - 박상호, 도서출판 두남, 2005
두산인프라코어 내부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1.19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2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